View : 704 Download: 0

장애학생의 일반초등학교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Title
장애학생의 일반초등학교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el for Implementing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 Focused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hors
강경숙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송준만
Abstract
The inclusion movement is the strongest tren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in place for more than 30 years. However, we are not certain yet how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y in inclusive settings. That is, teachers still do not have knowledge and skills to individualize, accommodate, and deliver their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students’different needs. There is also a lack of information about meaningful participation and peer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Thu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was on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y which supports their meaningful involvement into classroom academic activities as well as their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into school lif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investigate many inclusive factors and theories in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inclusion settings. SEM refers to a model with multiple measurement variables for each latent variable or factor. The SEM model specified in this research took into account multiple latent variables each measured by multiple indicators. Factors condu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latent variables and 16 measurement variables. Among the connections the first one,‘school environment condition factor’combined administrative/financial condition, staff assistance /awareness, inclusive culture, and parent role variables. Second,‘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factor’included awareness of inclusion, knowledge of curriculum management, will to curriculum management, and conflict between teachers variables. In the third relation,‘teacher’s cooperation factors’contained personal acquain- ta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ive effort, and general teacher’s involvement variables. As the fourth one, creating physical/social condition, and accommodating teaching content /method variables were called ‘curricular adaptation factors’. Finally, there was‘inclusion factors’ measuring the integration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y, such as their participating time amount into classroom academic activity, their social skills, and peer acceptance variables. The measurement model in this study assumed direct and indirect structural paths(relations) within the data. For example, the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the school environment condition and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had direct effects(arrows) on the teacher’s cooperation, curricular adaptation, and inclusion factors. In addition, the former both factors were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inclusion through the teachers’ cooperation and curricular adaptation. These relation paths were constructed by the basis of assumption. According to theoretical studies, the data to develop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extracted and collected. After reviewing the selected data, the thirteen inclusion expert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experienced researchers conclusively decided the measurement instrument comprised of 150 items scoring a 5-point Likert-type scale. This practice prov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203 general teachers of inclusive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came from 400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which had the experienced inclusion teachers as well as more than 4-year-old history with special classroom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all the items were po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fundamental statistics analysis such as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 was used to develop and adapt the measurement model in order to test its validation. SEM is a scientific technique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modeling of interactions and causalit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AMOS) 4.0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1.0 were applied for analysis to test the model and to summarize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β) and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MC value unit= R-squared). The results of this statist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is studied and changed for better statistics. Three paths were removed (1) low R-squared value at two measure variables such as parent’s role and teacher’s interpersonal conflict which belong to each latent variable, (2) insignificant β level at the relation between the school environment vs. the curriculum adaptation and inclusion variables, and (3) between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vs. the inclusion. At the same time, this model is considered of SEM modification indexes and improved with linking the equation error and having a good fit. Second, as the results of testing the theory structure, the previous three paths are rejected and there are 5 paths accepted and focused more on. Their relationships and significances between measurement variable(indicators) and between one latent variable and other’s measurement variables are compared in detail. The findings show that the general teacher’s emotion and willingness rather than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re related to the‘cooperation between teachers’and‘curricular adaptation’. The general teacher’s involvement is more impact on the curricular adaptation variables than the teacher’s acquaintance 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efforts, as well. Third,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school/ environment condition variabl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curricular adaptation, and inclusion. Compared to the circumstantial variables,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factors are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significant, and represent higher R-squared value. Moreover, both variables are covariance predicted by the model and corresponded to the other variance. Fourth, there was an assumption which‘cooperation between teachers’ would rely on‘teacher’s acquaintance’in Korea inclusion settings. However, the results do not meet the assumption. To the contrary, the‘personal acquaintance’is not related to its latent variables, the‘cooperation between teachers’with low R-squared value. That is not even affected on‘creating physical/social condition’at all. Further more, the‘conflict between teachers’is not related to the ‘teacher personal factors,’but make a very important impact on‘the cooperation efforts of special educators’and‘the general teacher’s involvement.’ Fifth,‘the classroom acade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y,’‘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y,’and‘the peer acceptance’in the inclusion variables are strongly correlated. The level of‘peer acceptance’is highly correlated with the‘inclusion awareness of general teacher,’‘teacher’s willingness for curriculum management,’and‘creating physical/social condition’ factors. It indicates that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on the accept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y. This study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we would need to improve teacher’s qualities and develop practical cooper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lement more active inclusion practices through curriculum implementation. On the basis of interview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further studies should address th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conflict and power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chool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whether personal acquaintances affect on the inclusion or reciprocated relationships. Besides, new model programs for qualified inclusion should be developed to adjus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In conclusion, each item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provide new standards, resource ideas, and cooperation procedures for systematic inclusion.;장애학생의 통합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2006년 현재 35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아직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교육내용과 방법이 얼마나 장애학생에게 맞게 개별화되고 조정되어 전달되는지, 학업장면에 참여는 의미있게 이루어지는지, 일반학급에서 교우관계 형성과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은 얼마나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장담할 수 없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이 물리적, 사회 ․ 심리적으로 통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교과학습 시간에 의미있게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통합’을 핵심주제로 다루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관련변인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내용을 추출하여 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관계의 모형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형은 가설적인 구조라 할 수 있는 잠재변인과 척도를 통해 직접 측정되는 문항으로 형성되는 측정변인으로 구성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잠재변인과 16개의 측정변인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학교환경적 여건’에는 행 ․ 재정여건, 관리자 인식 및 지원, 통합지향 문화, 학부모 역할, 둘째 ‘교사개인적 특성’에는 통합교육 관련 인식, 교육과정 운영 지식, 교육과정 운영 의지, 상호간 갈등, 셋째 ‘교사 간 협력’에는 개인적 친분, 협력의 기본여건 조성을 위한 특수교사의 노력, 상호협력을 위한 통합교사의 동참, 넷째 ‘교수적 수정’에는 물리 ․ 사회적 환경 조성, 교수내용 및 방법 수정, 다섯째 ‘통합’에는 장애학생의 교과학습 시간의 의미있는 참여, 장애학생의 사회성, 일반학생의 수용성과 같은 잠재변인과 측정변인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인이라 할 수 있는 학교환경적 여건과 교사개인적 특성이 교사 간 협력, 교수적 수정, 통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 두 변인은 교사 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을 거쳐 통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직접 경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의 가설이기도 하다. 측정도구의 개발 및 자료수집 절차로는, 우선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내용을 추출한 후,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현장교사 및 통합교육 연구경험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다수의 문항검토 과정을 거쳐 모형의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5점 척도 측정도구 150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특수학급이 운영된 지 4년 이상된 학교와 대상학교에서 통합교육 경력이 가장 많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00개 일반초등학교 중 203명의 통합학급 교사가 참여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적합치도와 탐색적 요인분석과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정제하였다.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라는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모형을 개발한 후 수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구조방정식은 변인 간 인과관계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알아보는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AMOS 4.0 구조방정식 통계기법과 SPSS 11.0의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모형을 검증하고 변인 간 영향력과 설명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통계분석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각 잠재변인에 속하기는 하지만 매우 낮은 설명력을 보이는 ‘학부모 역할’과 ‘교사 간 갈등’의 2개 측정변인과 표준화된 회귀계수가 유의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교환경적 여건’이 ‘교수적 수정’과 ‘통합’에 미치는 영향, ‘교사개인적 특성’이 ‘통합’에 미치는 3개의 경로를 제거하고 수정지수를 고려한 오차항을 연결함으로써 적합도지수를 향상시켜 모형을 수정하였다. 둘째, 이론구조의 검증 결과, 기각된 3개 경로를 제외하고 채택된 5개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각 측정변인 간 영향력과 하나의 잠재변인이 각 세부 측정변인에 미치는 설명력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였다. 이에 통합학급 교사는 인식이나 지식보다는 의지와 같은 정의적 측면이 ‘교사 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개인적 친분’이나 ‘특수교사의 노력’보다는 상호협력을 위한 ‘통합교사의 동참’이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아냈다. 셋째, ‘교사개인적 특성’이 ‘학교환경적 여건’에 비해 ‘교사 간 협력’, ‘교수적 수정’, ‘통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직접적인 영향력 뿐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력 면에서도 학교환경적 여건 변인에 비해 월등한 영향력과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이 두 변인은 공분산 경로로 연결되어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다른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리나라 통합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간 협력’이 ‘개인적 친분’에 의존하리라는 당초 예상은 빗나갔다. 측정변인 ‘개인적 친분’은 자신이 속한 잠재변인인 ‘교사 간 협력’에 설명력을 지니지 못할 뿐 아니라 통합교육을 위한 ‘물리 ․ 사회적 환경조성’에 대한 노력에 많은 영향력을 지니고 있지 못했다. 한편, ‘교사 간 갈등’은 자신이 속한 잠재변인인 ‘교사개인적 특성’에 설명력을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협력을 위한 ‘특수교사 노력’과 ‘통합교사 동참’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통합을 구성하는 ‘장애학생의 교과수업 참여’,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일반학생의 수용성’과 같은 변인은 상호 간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고, 일반학생의 수용성 정도는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교육과정 운영의지 그리고 물리 ․ 사회적 환경조성과 상관이 깊었다. 이는 일반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이 일반학생의 수용적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통합교육 장면에서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근간으로 한 통합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사개인적인 자질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실질적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구체적인 협력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를 위해 면담 및 관찰연구를 토대로 교사 간 갈등과 힘의 관계, 개인적 친분이 장애학생의 통합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교문화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특성에 따른 초 ․ 중등학교의 질적 통합에 대한 모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 제안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변인의 각 문항은 통합에 대한 평가지표 혹은 지원요소에 대한 아이디어와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협력절차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항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