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6 Download: 0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실태

Title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실태
Other Titles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uthors
신소니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ictur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2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u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or by calculat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x² verification were us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ckgrou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llaboration was little to be found for the evaluation in special classes.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ed students based on IEP. They selected the evaluation criteria in accordance with IEP's goal. The most frequently taught and evaluated areas were Korean, Mathematics. The evaluation methods mainly used were observation and collection portfolio. Evaluation results were informed to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a written report. Results were utilized in order for IEP to be planned and revis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oint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setting the evaluation-related criteria and writing reports. 2. The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compared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ckground. As a result, we can see whether every student in the class is evaluated or not is different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below 10 years experience showed the higher percentage in evaluating all students than teachers having over 11 years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spect of evaluation area selection standard and evalu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IEP. Which grade a teacher was in charge of also made no differ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llaborative program be formulated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evaluation. And, governmental support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evaluation-related personnel to be professionally trained.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also be well-educated. Lastly, guidelines, forms and the system of eval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needed in order to insure their qualified education.;특수교육 전달체계에서 평가는 교수-학습과정에 피드백을 제공하여 교수의 질을 높이고,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평가를 실행함으로써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특수교육제공에 대한 학교와 교사의 책무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특히, 특수교육대상자 중 50% 이상을 차지하는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실태를: ①평가 주체; ②평가 대상; ③평가 영역; ④평가 기준; ⑤평가 방법; ⑥평가 결과 기록; ⑦평가 결과 보고 및 활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제기하고 각각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연구에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전국 200개 초등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20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129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이 지나치게 많은 질문지를 제외하고 127부의 질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문헌연구와 현장 교사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 실태 비교를 위해서는 x² 검정과 교차분석, 평균 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실태를 조사한 결과, 특수학급 수업의 평가를 위해 협력하는 사람들이 주로 통합학급 교사로 제한되었으며, 평가를 위한 협력 방법 또한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특수학급 교사는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라 특수학급 학생을 평가하지만, 평가에서 제외되는 학생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 선정은 개별화교육계획의 교수목표에 따르고 있었다. 특수학급 교사가 실제로 가장 많이 교수하고 평가하는 영역은 국어, 수학, 사회성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방법은 주로 관찰과 학습 성과물을 수집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평가 방법의 수정을 자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를 주로 서술식으로 기록하여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에게 알리며, 통지표, 별도의 평가서, 구두로 학부모나 본인에게 알렸다. 학기말 통지표에는 특수학급 교사가 보낸 자료를 참고하여 통합학급 교사가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는 다음 개별화교육계획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거나 현재 개별화교육계획의 수정을 위해 활용되었다. 특수학급 교사는 평가와 관련된 기준을 설정하고 문서를 작성하는데 대한 부담감과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영역에서 다른 방법으로 평가를 실행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평가 실행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2.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를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비교한 결과, 특수학급의 모든 학생들의 평가 실행 여부에 있어서 특수학급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 10년 이하의 특수학급 교사가 경력 11년 이상의 특수학급 교사보다 모든 학생을 평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른 평가 실행과 평가 영역 선정 기준에 있어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과의 평가 방법으로 경력 10년 이하의 특수학급 교사는 관찰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경력 11년 이상의 특수학급 교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생활기술 영역의 평가 방법으로 경력에 관계없이 관찰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경력에 관계없이 서술식으로 가장 많이 기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경력 11년 이상의 특수학급 교사는 현재 개별화교육계획의 수정을 하는데, 경력 10년 이하의 특수학급 교사는 다음 학기 개별화교육계획에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담당 학년에 따라서 모든 학생들의 평가 실행 여부,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른 평가 실행, 평가 영역 선정 기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학년과 고학년 담당 특수학급 교사는 교과의 평가를 위해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기능적 생활기술 영역에서는 담당 학년에 관계없이 관찰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담당 학년에 관계없이 서술식으로 가장 많이 기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년과 고학년 담당 교사 모두 특수학급의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다음 개별화교육계획의 기초 자료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사 이외의 다른 구성원들의 협력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급 학생 중 평가 대상에서 제외되는 학생이 있으며, 교수 영역과 평가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나타나는 등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책임 공유와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는 적합한 협력 방안 마련, 개별화교육계획의 공동 실행 등으로 특수학급 학생의 평가에 대한 책임을 공유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은 교사의 경력, 담당 학년, 평가 영역에 관계없이 주로 관찰과 포트폴리오 평가에 치중해 있으며, 평가 결과 기록 방법에 있어서도 서술식 기록에 집중되어 다양한 평가 방법과 평가 결과 기록 방법이 활용되지 않는 것은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양질의 특수학급 학생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 평가 방법의 수정, 평가 결과 기록 방법 등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 실행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특수학급 학생의 평가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간과되지 않도록 교사양성과정과 현장 교사 대상 연수에서 이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학교 관리자나 행정가에게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고, 평가 결과 활용 역시 개별화교육계획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거나 수정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행과 결과 보고 등을 위해서 현재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가 사용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 생활기록부, 통지표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전반적인 특수학급 학생의 평가 실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평가 실행에 대한 지침과 양식이 만들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