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김영지-
dc.creator김영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6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 and correlation in parenting behavior, parents´ perceptions about importance of social skills and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of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I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other researchers. The subject was 62 children-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92 children-parents without disabilities of children in 4-5 years of age in integrated and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 center in Seoul and Kyung-gi area. In study metho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In overall parents´ perceptions about importance of social skills doesn´t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oth group. But parenting behavior was consisted in sub-factors (intimacy, reasoning guidance, responsiveness, limit setting, parental involvement) all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oth group. 2. In overall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of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s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of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doesn´t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gressive factor. But It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asocial and exclude factor. 3. Parents´ perceptions about importance of social skills and parenting behavior for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appear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it is needed that can meaningfully and noninstrusively of evaluate family influences associated with children's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The integration of thes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tools may well prompt and support quality prospect of children without and with disabilities.;아동은 또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나가고, 또래를 사회적 비교준거로 삼아 자신을 평가할 뿐 아니라 또래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제공받는다는 점에서 또래와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은 이후의 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런 관심에서 장애유아가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잘 수용되기 위해서는 교사와 또래중재만큼 부모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모든 유아의 최초 사회적 경험은 가족 상황 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관계형성을 위한 아동의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또래와의 접촉기회를 제공하거나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술을 가르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또래관계 양육행동을 통한 부모의 지원은 유아의 또래관계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많은 부모들과 교육자, 연구자들이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과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음에도 지금까지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상호작용은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에 대한 부모 역할차이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장애여부에 따라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장애유아부모와 일반유아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은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통합 유치원과 어린이집, 종합복지관 조기교육실에 다니는 만 4-5세 발달장애유아를 둔 부모 62명, 일반유아를 둔 부모 92명과 장애유아 및 일반유아를 현재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 및 양육행동에 관한 질문과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알아보거나 장애유아집단과 일반유아집단간에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정을 실시하고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장애유아집단과 일반유아집단간의 인식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아부모나 일반유아부모 모두 사회적 기술에 대해 나름대로 중요하게 인식하는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에서는 장애유아부모집단과 일반유아부모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하위영역에서 살펴보면, 온정성, 합리성, 반응성, 한계설정과 적극참여에 관한 모든 양육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유아부모가 장애유아부모보다 온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며 자녀의 말과 행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에서 장애유아집단과 일반유아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공격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친사회성, 반사회성, 배척성에 관한 사회적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장애유아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은 중요도 인식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양육행동의 온정성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장애유아부모들이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은 발달수준(장애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간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장애유무와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인식, 양육행동이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요인에 따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의 이해와 발달에서 그 역할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따라서 앞으로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사회성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에 관한 더 구체적인 측정기술의 발달과 포괄적이고 질적 측면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긍정적인 또래관계의 중요성에 따라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 및 양육행동과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해 보고 부모가 직접 촉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중재방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 = 8 1.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의 정의 = 8 2.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 10 3.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 평가방법 = 13 B.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 16 1.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 = 17 2.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 관계 = 20 3. 부모 양육행동과 장애아동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31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연구도구 = 39 C. 자료 수집 및 절차 = 44 D. 자료 처리 방법 = 45 Ⅳ. 연구결과 = 46 A.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양육행동 차이 = 46 B.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의 비교 = 48 C. 중요도 인식, 양육행동과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간의 상관관계 = 48 Ⅴ. 논의 및 제언 = 53 A. 논의 = 53 B. 연구의 제한점 = 59 C. 제언 = 61 참고문헌 = 62 부록 = 75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0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반유아 및 장애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 및 양육행동과 또래관련 사회적 능력(peer-related social competence)과의 관계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s' Perceptions about Importance of Social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
dc.creator.othernameKim, Young Jee-
dc.format.pageix,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