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초등학교 통합학급 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한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교실"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정서능력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통합학급 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한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교실"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정서능력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n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and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by one intervention program ,"Let's make a happy class", in three incl
Authors
이미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emotional competen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통합교육은 초기의 물리적 통합의 수준을 넘어 보다 질적인 차원의 통합으로 발전해 가면서 최근에는 사회적 통합이나 교육 과정적 통합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아동들의 사회적 통합의 증진과 관련된 대부분 연구들이 별도의 제한된 장소나 상황에서 소수의 선별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 태도나 인식,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질적 연구에 대부분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효과는 실제로 장애아동이 일반아동이 함께 공부하고 상호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해 가는 통합교육의 현장 속에서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장애아동이 속한 통합교육의 현장에서 장애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들의 변화를 함께 모색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환경을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시켜 실제적으로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에게 혜택이 주어지는 구체적인 통합교육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장애아동(3명)과 장애아동이 속한 통합학급의 일반아동(79명)이며, 특수교사가 학교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교실"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일반아동들의 사회, 정서능력 및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학급"프로그램은 일반아동들의 사회, 정서능력을 고양시키고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하여 계획된 정서능력향상프로그램이다. 일반아동의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정서능력 측정 도구로는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EQ) 진단검사"(1997)를 사용하였고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장애아동의 실험절차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교과학습 이외의 시간(쉬는 시간, 우유급식시간,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부분간격기록법(12초 관찰, 3초 기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통합학급에서 모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교실"프로그램의 시행으로 첫째, 일반아동의 경우, 중재 시행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장애아동의 경우, 대상 아동 모두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가 만드는 따뜻한 교실"프로그램은 일반아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산출해 내지 못하였으나,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중재가 장애아동의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통합교육 현장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지원과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This study included three 6th-grade children with disability of one elementary school (one for each class) and seventy-nine children without disability of the same grade in three inclusive classes that they learned together the same curriculums there.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observed both groups with one intervention program,"Let's make a happy class", during extra-activity hours of three inclusiv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answer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Does this intervention program will increase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inclusive classes? 2. Does this program practically increase the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in the inclusive classes? 3. Do the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ill b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main contents of this program were the awareness of children's own emotion and those of others, the control of their own emotion, the cooperations with each o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each other, and the thinking before doing anything. In the ca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e procedures involved the pre-test,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Also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the same as that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valuate the influences on the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by this program ,"Let's make a happy class ", dependent t-test was used.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multiple-probe-design was used, and total 10 sessions (each 2 sessions per week) were practiced during intervention steps . The social interactions were observed and collected through the resting hours of inclusive classes. ( i.e. a break, milk-supply hour, lunch etc. ) Thereafter, to evaluate the maintenanc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 total 3 sessions ( 15 minutes for each session) were observed separately for each child after 2 weeks from the intervention program at the same environments and by the same methods as the intervention ste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f emotional competency were observ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is intervention program. 2.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the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of all of them were increased by this intervention program. 3.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were maintained for two weeks after the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