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Skills requir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nter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초등학교로의 취학은 아동 본인과 가족 모두에게 중요한 시기인 동시에 어려운 시기이다. 특히 취학하는 아동이 장애를 가지고 있을 경우, 본인과 가족이 느끼는 스트레스와 불안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아동이 초등학교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전이 전략과 과정을 잘 계획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새로운 환경에 유용한 대처 기술과 일상적 활동을 가르치는 전략은 아동이 익숙지 않은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들은 다양하다. 그러나 필요한 모든 기술을 준비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준비시켜야 할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과 하위영역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봄으로 써 장애아동의 초등학교로의 전이와 관련된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며, 교사 집단에 따른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의 하위 영역별 중요도 인식결과 비교를 통하여 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끌어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 조기교육기관의 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Byrd, Rita, Rous 와 Beth(1997)의 연구에서 제시된 입학-단계 기술 체크리스트(Helpful Entry Level Skills Checklist: HELSC)를 번안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69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55%인 37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결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를 구하였으며, 기술의 하위 영역별 중요도 인식에 대한 교사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와 Scheffe 사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교사와 특수학급, 일반학급, 조기 교육기관 교사의 세 집단 모두 장애아동이 일반 초등학교에 취학할 때 필요한 기술의 상위 5개 항목에 포함된 기술들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기술 중 1순위는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공격적 행동하지 않기로 나타났다. 2.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세 집단의 인식 또한 비슷하였으며 6가지 영역 중 사회적 행동 기술과 자기 관리 기술 영역이 각각 1·2 순위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장애 아동의 초등학교에 취학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의 하위 영역 중 자기관리 기술 영역에서는 조기교육기관 교사가, 학업기술 영역에서는 일반학급 교사가 다른 두 집단의 교사들보다 높게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장애 아동의 일반 초등학교 취학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서 높은 순위로 나온 기술들은 교사들이 초등학교에 취학하기 전에 준비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 기술의 목록들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조기교육기관의 교사들에게는 장애아동의 취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며, 초등학교 교사에게는 취학을 앞둔 장애아동의 부모 상담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활용 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세 집단의 교사들의 견해가 대체적으로 유사하다는 결과는 장애 아동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초등학교 취학준비를 위한 기술 목록을 집단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In the process of children's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entrance represents an important but difficult turning point for both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if the child has disability, not only the child but also his/her family would be stressed more with a higher level of anxiety. So,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adapt themselves effectively to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plan and apply a transition strategy and process effectively. A strategy teaching children about the useful skills of handling a new environment and every-day activities may well help the children to feel comfortable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The skills required to be adapted to a new environment are diversifi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have the children learned about every necessary skill, it is important to inform them of the skills which should be learned above all. With such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how teachers would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 skills requir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nter normal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690 gener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them; 37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r area as well as for priorities among them.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 to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p 5 skills perceived important by three groups of teachers - gener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requir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nter normal elementary school were more or less similar. The most important skill perceived by them was "Exhibit self-control regarding aggressive behaviors". 2. Three groups of teachers almost agreed to importance of each area;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perceived more important for social behavior skills and self-management skills than other ones. 3. Whil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self-management skill was more importa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nter regular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felt important for learning ski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kills perceived highly important by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enter normal elementary school may be a profile of the skills desirable also for normal children's elementary school entrance. Such a profile may be useful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are obliged to have the pre-school children prepared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helpful, too, for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need to counsel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y aged for elementar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overall agreement to the profile of skills among three groups of teachers suggests may be a desirable phenomenon in that educational experts should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help children with disability for their successful transition, while suggesting that a list of skills required for being prepared for elementary school entrance can be determined in common regardless of groups. Mean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more important for learning skill than other two sub-areas, which suggests that the general perception of importance of learning skill is reflected i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