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숙향-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2:30Z-
dc.date.available2024-08-19T16:32:3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641-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64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9178-
dc.description.abstract특수교육대상자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중복장애 학생의 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교육부에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0조의 개정 및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2023-2027)을 통해 중도중복장애를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에 추가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전문적 지원을 위해 권역별 거점센터 운영 내실화를 명시했다(교육부, 2023). 전체 특수교육대상자의 약 24% 이상의 특수교육대상자가 재학 중인 경기도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시각장애 거점센터, 청각장애 거점센터, 시·청각장애 거점센터,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건강장애 거점센터 각 1개씩 총 5개의 거점센터가 운영되고 있는데(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히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에서 시각 또는 청각장애 거점센터가 설치 및 운영되는 것에 비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는 5곳(서울, 경기, 부산, 인천, 전북)만 운영 중이어서 관련 정보와 홍보가 부족한 실정이며, 장애 유형별 거점 센터 관련 선행연구가 있으나 업무담당자와 이용자 양측의 의견을 듣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를 연구 대상으로 경험과 지원 요구를 모두 고려한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내실 있는 운영 방안, 현장의 요구와 관련된 구체적 운영 방향에 대해 심층적인 의견을 들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업무를 6개월 이상 담당하고 현재 교직에 근무하고 있는 업무담당자(특수교사) 3인과 경기도교육청에서 거점센터 업무를 6개월 이상 담당한 장학사 1인, 2023년~2024년 사이 학생(학부모) 또는 교사 본인이 경기도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프로그램을 1개 이상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재직 중인 특수교사 8인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종료 후 일주일 이내에 전사한 자료와 현장 노트를 질적연구의 분석 방법의 하나인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이 3개의 대주제(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운영 실태,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이용의 실제,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를 위한 지원 요구)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경기도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운영은 경기도 현안 사업 및 의회 요구 사업,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는 경기도 현안 사업인 휠체어용 특수 가방의 지원,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보조공학기기 전문가 컨설팅 제공 등이 보고되었다. 운영에 관련된 어려움으로는 업무담당자의 전문성 부족 및 업무 연계의 어려움, 복잡한 행정절차 및 연계 기관과의 마찰, 부족한 예산 배정액 및 경직된 예산 집행 등이 드러났으며 명료하지 않은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입지와 역할, 대상자 범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이용의 실제로 이용자들은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운영계획 공문 또는 전임자로부터 업무 인수인계를 받아 지체 중복장애 거점센터를 이용 중이었고, 그 동기로는 대여 보조공학기기를 교수·학습에 활용하거나 교사 역량을 개발하기 위함이었다.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친구 이해 수업으로 활용하거나 대여 불가능한 보조공학기기를 추가로 구매 신청하여 활용하기도 하였으며, 그 효과로는 수업 결손 예방 및 학습 연계, 지체중복장애 학생에게 다양한 경험의 제공 등이 있었다. 이용 관련 어려움으로는 복잡한 행정절차, 예산 부족으로 인한 제한적 프로그램 이용, 보조공학기기 지원시스템 및 기반 시설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이 보고되었다. 셋째,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경기도 단위의 상위 특수교육 기관 설립 및 전문 인력 확충 등을 통한 운영의 전문성 확보, 내실있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재정적 기반 마련, 지체중복장애 학생지도 관련 역량 강화 프로그램 확대 및 인력 지원, 장애 특성 및 요구를 고려한 프로그램 지원 등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내실화를 위한 지원 요구가 드러났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실 있는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운영을 위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입지와 역할의 명료화,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만의 전문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정책적 기반 마련 방안이 논의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는 업무담당자와 이용자 양측모두의 의견을 담은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 지역적 특색과 경기도교육청의 운영 방향을 고려하여 경기도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에 적합한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했다는 점, 현장에서 실제로 요구하는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운영 방향을 탐색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As the number of peopl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increases every year, the number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is also increasing.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e Ministry of Education specified the strengthening of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through the 6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2023-2027). In Gyeonggi-do, where more than 24% of all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belong, as of 2024, five center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visual disability, hearing disability, visual/auditory disability,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health disabilities) are operated. We provide support appropriate to the need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health disabilities. However, the clear role of the center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work of the center is becoming too much for the staff in charge, and users are also having difficulty utilizing the center for various reasons. In particular, while most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enters for visual or hearing disabilities, only five centers for overlapping physical disabilities (Seoul, Gyeonggi, Busan, Incheon, and Jeonbuk) are in operation. Research related to the center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staffs and us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Gyeonggi-do, and provide in-depth opinions on the substantive operation pla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aking into account both their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and the specific direction of operation related to the needs of the field. To this en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the 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Gyeonggi-do for more than 6 months and one school supervisor who has been in charge of the work of the center at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for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as the staff, and by 2023 afterwards,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used at least one program at the Gyeonggi-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users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terview transcripts, field note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analyzed using the continuous comparison analysis method, and Three main themes and 10 sub-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eriv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taff. Regarding the operational statu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operation plan, operation performance, and operation-related difficulties appeared as sub-themes. Second, the reality of us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erived from Users' experiences, and sub-themes included reasons and motivations for us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how to use the program, effects of using the program, and difficulties related to use. Third, the demand for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eveloped as a theme, and the sub-themes that followed were securing expertise in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establishing a stable financial foundation, and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ocation and role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fficient operation. Secondly,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unique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demanded. Thirdly, discussions include the requirement for policy-based support to ensure the substantive op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s research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both staff and us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capturing the opinions of both sid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realistic opin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Gyeonggi-do were gathered. By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could identify the operational dire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demanded in practice, thereby finding significance in this asp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5 1.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법적 근거 및 역할 5 2.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현황 7 B.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8 1.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및 역할 8 2.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선행연구 10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참여자 15 B. 연구 기간 17 C. 연구 절차 18 D. 연구의 진실성 23 Ⅳ. 연구 결과 25 A.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운영 실태 27 B.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이용의 실제 35 C.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의 질적 제고를 위한 지원 요구 42 Ⅴ. 논의 및 제언 51 A. 논의 51 B. 연구의 의의 57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8 참고문헌 60 부록 63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31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경기도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지원 요구-
dc.subject.ddc300-
dc.title경기도 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taffs and Us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Gyeonggi-do.-
dc.creator.othernameKim, Jiwon-
dc.format.pagev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