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박하빈-
dc.creator박하빈-
dc.date.accessioned2024-08-19T16:31:51Z-
dc.date.available2024-08-19T16:31:51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3258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58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9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종결어미 기능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표를 둔다. 하나의 형태이지만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명사형 어미 ‘-(으)ㅁ’, ‘-기’는 문장의 서술어를 명사화하여 내포절을 만드는 전성어미로 기능한다. 또한 문장의 서술어와 결합해 하나의 문장을 종결하는 종결어미의 기능을 하기도 하는데, 종결어미로 분류되지 않음에도 문장을 종결하는 이러한 현상을 두고 ‘명사형 어미의 종결어미 기능’이라 칭한다. 한국어 문법에서 ‘-(으)ㅁ’과 ‘-기’가 종결어미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두 명사형 어미로 종결된 문장은 일상에서 쉽게 발견되며 한국어 모어 화자도 그러한 형태의 문장이 문법적이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으)ㅁ’, ‘-기’ 관련 연구는 전성어미 기능과 관련한 것이 대부분으로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 습득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종결어미 기능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는데,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명사형 어미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학습자 집단의 오답 유형을 살펴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II장에서는 한국어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기능과 언어적 특성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고 베트남어에서 나타나는 명사화 현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한국어 명사화 현상과 베트남어의 명사화 현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III장은 연구 방법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는 장으로, 연구 참여자와 연구 절차,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 베트남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30명, 베트남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30명, 총 90명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도구는 통사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 15개와 의미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 15개로 이루어진 총 30개 문항의 준생산 과제를 활용하였고 실험으로 수집된 응답은 IBM SPSS 28을 통해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수집된 응답의 분석 결과를 다루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형 어미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 사용 양상과 숙달도에 따른 오답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에 따라 명사형 어미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 사용 양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숙달도에 따라 오답의 유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명사형 어미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V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요약함으로써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명사형 어미 ‘-(으)ㅁ’, ‘-기’의 종결어미 기능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또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이제까지 다루어지지 않은 ‘-(으)ㅁ’과 ‘-기’의 종결어미 기능에 대한 습득 연구를 진행했음에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으)ㅁ’, ‘-기’를 통한 문장 종결에 대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명사형 어미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function of ‘-m’ and ‘-ki’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lthough they are single forms, the noun endings ‘-m’ and ‘-ki’ serve two functions: they nominalize the predicate of a sentence to create embedded clauses, functioning as transformative endings. Additionally, they also function as sentence-ending markers, combining with the predicate to conclude a sentence. Despite not being classified as sentence-ending markers, this phenomenon, where they conclude a sentence, is referred to as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nominalizing endings'. In Korean grammar, ‘-m’ and ‘-ki’ are not classified as sentence-ending markers, yet sentences concluded with these nominalizing endings are commonly found in everyday language. Native Korean speakers rarely consider such sentences ungrammatical. However,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 studies related to ‘-m’ and ‘-ki’ have focused on their transformative ending function, and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m’ and ‘-ki’.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the noun endings ‘-m’ and ‘-ki’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noun endings ‘-m’ and ‘-ki’ is reviewed to formulate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compare the usage patterns of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the noun endings ‘-m’ and ‘-ki’ between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rror distribu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s of Vietnamese learners. Chapter II describes the function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oun endings ‘-m’ and ‘-ki’ and summarizes the nominalization phenomena in Vietnamese, there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ominalization phenomena in Korean and Vietnamese. Chapter III deals with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procedures,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study involves 90 participants in total: 30 native Korean speakers, 30 advance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30 intermediate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The research tool consists of 30 quasi-production tasks, with 15 items related to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15 items related to semantic characteristics. The responses collect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28. Chapter IV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cted responses,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m’ and ‘-ki’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error distribution patterns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the noun endings ‘-m’ and ‘-ki’ depending on the group, and also differences in acquisition patterns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experience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the noun endings ‘-m’ and ‘-ki’. In Chapter V,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concluding that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struggle with acquiring the sentence-ending function of the noun endings ‘-m’ and ‘-ki’.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its significance by addressing an area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explo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id in the education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regarding sentence conclusions using ‘-m’ and ‘-ki’, and that further research on noun endings will be actively pursu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4 C. 연구 문제 및 연구가설 12 Ⅱ. 이론적 배경 14 A.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기능 14 1. 전성어미 기능 14 2. 종결어미 기능 15 B.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 17 1.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의미적 특성 17 2.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의 통사적 특성 25 C. 베트남어의 명사화 표지 30 Ⅲ. 연구 방법 38 A. 연구 참여자 38 B. 연구 절차 41 C. 연구 도구 43 D. 자료 분석 방법 4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50 A. 베트남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으)ㅁ', '-기' 사용 50 B. 베트남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오답의 유형 61 Ⅴ. 결론 65 참고문헌 69 부록1. 준생산 과제 설문지 73 부록2. 한국어 학습자 숙달도 검사지 79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18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한국어교육, 한국어, 문법, 명사형 어미, 어미, 베트남인, 베트남어-
dc.subject.ddc900-
dc.title베트남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형 어미 '-(으)ㅁ', '-기'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종결어미 기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2 Korean acquisition of Nominalizing Suffixes ‘-m’, ‘-ki’ by L1 Vietnam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dc.creator.othernamePark, Habin-
dc.format.pagev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24.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