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nhancing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in Art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미술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도래하며 우리 삶의 모습은 크게 변화하였으며 특히 교육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는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만을 강조하기보다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복합적인 역량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로 제시되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미술 교과는 본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데 관심을 두고 다양한 활용 방법을 모색해왔다. 따라서 급속도로 변화한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기 위한 가장 적합한 교과로써 미술교육이 운영되기 위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행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적 의의를 확인하였다. 둘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강조를 확인하였다. 셋째, 현행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구성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현직 고등학교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고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문헌 자료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분석, 미술 교과서 분석결과, 심층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하여 미술 교과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적합한 교과임을 확인하였다. 미술은 전통적으로 리터러시 개념을 교육내용으로 선정해왔다. 시각문화 미술교육(VCAE)와 연결지어 현대 사회에 다양한 매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재 시행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강조가 없으나 2025년 전면 시행 예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이를 수정·보완하여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미적 체험·표현·감상 세 영역에 모두 디지털 환경과 매체의 적용과 관련된 강조가 명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반영을 높이고 전체 영역에 고르게 배치할 필요를 확인하였다. 전체 고등학교 교과서 10종은 표현을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수준과 깊이가 교과서별로 그 편차에 매우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감상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반영이 매우 저조하였다. 학습활동 대부분이 디지털 콘텐츠 및 작품의 창의적 제작과 관련한 내용이었으며 디지털 윤리 및 성찰이나 비판적 이해와 관련된 학습활동과 도판은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을 구상하고 실행하기 위해 실제 수업에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수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교육 현장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적극적이고 열린 자세와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활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시설과 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최신 기술과 현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교과서 내용의 개선도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자면 디지털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의 가장 필수적인 역량으로 디지털 기술의 활용 능력과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여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디지털 시민성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미술교육에 적용하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개선, 교사의 인식 변화, 정책 및 제도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 교과서 내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표현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으며, 현대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새로운 기술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차원의 학습활동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에서 서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활동과 관련 도판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가 더욱 긍정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교육에 반영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심적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가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 앞서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 교과서 분석과 현직 미술 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여 원활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5명의 적은 면담 대상자 수를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 범위를 넓힌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실행하기에 앞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물이 되길 기대한다.;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our lives have changed significantly, and education in particular has begun to actively utilise various digital media. Rather than simply emphasising the ability to use digital technologies, society is now focusing more on the complex ability to adapt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live independently. These capabilities are presented as digital literacy and have become essential to living in the modern world. Art education has always been interested in utilising various media and exploring various ways to use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vigorous discussion on how art education can best serve as a subject to develop digital literacy skills to adapt to and live in a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urrent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propose ways to promot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based on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in-service high school art teachers. To achieve this, this study followed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digital literacy in art curriculum were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a literature review. Second, we examined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to identify the emphasis on digital literacy skill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ird, 10 current high school art textbooks were systematically examined through composition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ur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ervice high school art teacher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rt textbook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e proposed a plan to promot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art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firms that art is a suitable subject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rt has traditionally been chosen as the content for teaching literacy concepts. By linking it to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VCAE), i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critically accept and utilise various media in contemporary society. Secondly, while the current 2015 curriculum does not directly mention or emphasise digital, the 2022 curriculum, which is scheduled to be fully implemented in 2025, has been revised and complemented to actively reflect the use of digital media. In particular, the three areas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ll include an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environments and media. Third, a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identified a need to increase the inclus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textbooks and to distribute it more evenly across the disciplines. All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presented digital literacy concepts with a focus on expression. However, the level and depth of this varied widely across the texts, with digital literacy concepts being particularly under-represented in appreciation.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creative production of digital content and works, and there is a lack of learning activities and diagrams related to digital ethics and reflection and critical understanding, which needs to be improved. Fourth, teachers need practical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actively design and implement digital literacy lesson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We also found that teachers need to be proactive and open-minded in order to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classroom. Sufficient support in term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s well as improved textbook content that reflects the latest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are also necessary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mmary, digital literacy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competencies in modern society and is a complex skill that includes both the ability to use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citizenship, which is the ability to adapt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live independently. In order to apply and teach these digital literacy skills in 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xtbooks, change teachers' perceptions, and support policies and institutions. The digital literacy skills in textbooks are overly focused on representation and do not fully reflect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and new technologi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not only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se digital technologies, but also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and related diagrams that enable student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n a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teachers in practice should be supported in various ways to reduce their psychological burden so that they can more positively incorporate digital literacy into their teaching, and in particular,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practical and specific training programmes. This will enable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to become more activ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education and identify improvements in advance of the upcoming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we analysed art textbook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in-service art teachers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a small sample size of five interviewees, which limits the generalisability of the results, so a follow-up study with a broader scope should be conduct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result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