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 Download: 0

예비 미술교사의 미술교육 경험에 따른 교사 정체성 형성 연구

Title
예비 미술교사의 미술교육 경험에 따른 교사 정체성 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ow Pre-Service Art Teachers Form Their Teacher Identity Based on Art Education Experiences
Authors
서화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예비 미술교사, 정체성, 미술교육 경험,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중등미술교육, 질적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Prospective teachers are intermediaries transitioning from students to educators through their educational journey, developing their role perception and educational beliefs as they evolve into teachers. Since educational beliefs are shaped by personal experiences and values, examining the lives and identities of these individuals serves as a foundational step in understanding teacher education. This is particularly pertinent for prospective art teachers, who experience a dual identity transformation—not only from students to teachers but also from art practitioners to art educators. Traditional research on art teacher identity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conflict between artist and teacher identities, assuming the formation of a strong artist identity. However, this approach excludes diverse and complex cases. Given that art education is evolving with new media and approache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that incorporate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rom various art disciplines, moving beyond the pure art-centric approach.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s to observe prospective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uniquely offers a master's program that embraces the most diverse range of art majors. TSince they commenced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fter graduating from an art college, they are expected to be well-suited for observing identity transform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in art education and analyze the formation of their teacher identities based on these experiences. To this end, 11 participant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ir art educational backgrounds. Through written responses and in-depth interviews, their lifelong art education experiences were examined, an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were collected, encompassing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stages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commonality among them was the discovery of their talent for expressive skills, which led to the serious preparation for art entrance examinations. However, majoring in art at university required more than expressive skills, leading to the most intense identity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at this stage. Each participant, after their own exploration, determined their suitability for teaching and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bsequently, they reconstructed their perceptions of art subjects, general students, and the role of art teachers, forming their teacher identities based on their existing understandings derived from art education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adopted different forms of teacher identities based on their life goal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First, those who prioritize the re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over art education were seen as having a `prospective teacher identity.' Their life goal is to help others and create a better world, viewing art education as a means to support student growth. They favored a contextual approach to art education and had a weak art practitioner identity. Second, those who find happiness in communicating with students through art and conveying the value of art were seen as forming an `art educator identity.' They had a pronounced artist identity and were already active in art education institutions. Their mission in art education was to help even non-major students appreciate the value of art. While they agreed with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art and education, they also pondered the essence of art and sought common ground. Third, those who viewed art teaching as a career in the art field were seen as having a `job-seeker identity.' They denied their artist identity due to the difficulty of reconciling their highly pragmatic mindset with the artistic world. They exhibited weak intrinsic motivation as teachers but attempted to find alternative evidence of teaching aptitude. Lastly, those who struggled because their teacher identity did not align with their self-identity were labeled as `wandering obedient student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need to be actively explored and reinterpreted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a robust teacher identity. If their teacher identity does not align with their self-identity, they may find themselves merely performing the role of a teacher. This study aims to share the challenges faced by prospective art teachers, leading to the necessary support in teacher education.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is will provide a moment of reflection and change for other prospective art teachers struggling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 예비교사는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에서 교사로 나아가는 중간자적 존재이며, 교사로서 역할 인식과 교육적 신념 등을 갖추며 교사가 되어간다. 교육적 신념은 이들의 경험과 가치관을 토대로 형성되기에, 그 삶과 정체성을 살펴보는 것은 교사 교육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특히 예비 미술교사의 정체성에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 이들은 학생에서 교사가 될 뿐 아니라 미술 전문가에서 미술교사가 되는 이중의 정체성 변동을 겪는다. 기존의 미술교사 정체성 연구는 이들이 예술가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전제로 예술가-교사 정체성 충돌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그 밖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례를 배제한다. 미술 교과가 새로운 시대에 발맞추어 다양한 매체를 수용하며 발전하고 있는 만큼, 기존의 순수예술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술 분야의 경험과 인식을 포함하는 정체성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교사 양성 과정 중 유일한 석사과정으로서 가장 다양한 미술 전공자를 포용하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은 미술대학 졸업 후 교직과정을 시작하였기에 정체성 변화를 비교적 수월하게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미술교사의 미술교육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교사 정체성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의 예비 미술교사 중 미술교육적 배경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11인의 참여자를 표집하였다. 서면 문답과 심층 면담을 통해 이들의 생애 전반에 걸친 미술교육 경험을 살펴보았고, 미술교육적 인식이 변화하는 양상을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정서적 변화를 포함하여 수집하였다.이들의 경험과 인식은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는 교육대학원 전후로 구분되었다. 초기 미술 입문기에는 표현기능에 재능을 발견하여 입시미술을 시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미술대학의 전공미술은 표현기능 이상의 미술적 감각을 요구하기에 이 시점에 가장 치열한 정체성 형성 및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들은 각자의 탐색 끝에 교직 적성을 판단하여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이후에는 미술교육 경험에서 비롯된 기존 인식을 기반으로 미술 교과, 일반 학생, 미술교사 역할 등에 대한 인식을 재구성하며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참여자들은 각자 삶의 지향점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교사 정체성을 수용하였으며, 그 양상은 다음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로, 미술과 교육 이전에 바람직한 공교육의 실현을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이들을 ‘예비교사 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이들의 삶의 지향점은 타인을 돕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에게 미술교육이란 학생의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맥락주의적 관점의 미술교육을 지향하였으며 미술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은 희박하였다. 둘째로, 학생들과 미술을 매개로 소통하며 예술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행복한 이들을 ‘예술교육자 정체성’을 형성하였다고 보았다. 이들은 예술가 정체성이 두드러졌으며, 이미 미술교육 기관에서 활동해온 경우가 많았다. 비전공자인 일반 학생도 예술의 가치에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들의 미술교육적 사명감이다. 이들은 미술과 교육의 맥락주의적 관점에 동의하면서도 미술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며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로, 미술교사를 미술계열 직업으로 인식하여 구직자의 자세를 한 이들을 ‘미술교사-구직자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예술가로서 정체성을 부정하였다. 이들의 지극히 현실적인 사고방식과 예술적 세계는 융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들은 교사로서 내적 동기가 약한 대신, 대안적인 적성의 근거를 찾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아 정체성에 교사 정체성이 합치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방황하는 모범생’으로 명명하였다. 예비 미술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교사 정체성 형성을 독려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되고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교사 정체성을 피상적으로 학습한 예비교사는 결국 교사를 연기하며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 미술교사들이 겪는 부침이 공유되어 교직과정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는 교사 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또 다른 예비 미술교사들에게 성찰과 변화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