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 Download: 0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에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사 사례 연구

Title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에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사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ogram for educators
Authors
공윤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VTS, Visual Thinking Strategies, 시각적사고전략, 생태전환교육, 생태소양, 문화예술교육사, 질적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In the context of global warming, art education is gain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and strategy for ecological transition. Art education has evolved in response to the times and social needs, with an increasing focus on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Ecological art education, Nature art education, and Art education based on ESD. These attempts in art education are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ve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aims to cultivate an ecological civilization by applying transitional values from individuals to social system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designed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citizens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transition toward an ecological civilization. The ways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re not limited to school-age education but need to be implemented throughout life. To this end, education personnel who are able to carry out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settings are required.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cological literacy of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hich operates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encompass education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for children and youth as well as citizens and community. Therefore,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significant in promoting the scalability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s education experts also emphasize the role of arts educators in shaping learners' consciousness and encouraging concrete actions and social solidarity to build a sustainable futur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for arts educators to facilitate such lear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Thinking Strategies(VTS)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indings of this study will implement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r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arts educators to impleme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arts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ploys Constructivist Learning methods to enable learners to develop ecological literacy independent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based on Constructivism, as it recreates the viewer's inner world while appreciating the meaning implied in the artwork. In particular,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ecause it is a Social Constructivist Education that allows viewers to share experiences, acquire knowledge, and form solidarity based on interaction among viewers. Consequently, the researcher designed and conducted a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educators and studie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Theatr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Performing Arts field, which does not have relatively sophisticated visual thinking strategies but has great interdisciplinary scalability a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e research classes were held at Shared Office S near Hapjeong Station and Nanji Ecological Park in Seoul, Korea, for five irregular sessions from April 24 to May 20, 2024, for 21 sessions. The participants' consent was obtained during the program. Additionally, class conversations were recorded at each session, and pre-and post-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and last sessions to record and transcribe the contents.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with two participants selected as boundary cases and various data collected. These were categorized through open coding, and meaning was derived through category checking and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er-order category of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the lower-order category of ecological literacy were interpreted.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er-order category of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the lower-order category of Ecological Literacy. The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superordinate categories of , , and strategies in this study are ‘ecological knowledge' in the and ‘ecological values and attitudes' in the of ecological literacy. The subcategories of the parent category, strategies, are ‘ecological sensitivity' in the and ‘ecological practice and engagement' in the . The subcategories of the parent category, strategies, are ‘ecological knowledge' and ‘knowledge of the effects of behavior' in the , ‘ecological values and attitudes', and ‘ecological sensitivity' in the . Finally, the subcategories of the parent category of strategies can be summarized as ‘ecological sensitivity' in the and ‘ecological practice and engagement' in the . Furthermore, the eco-citizenship derived from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two participants in the class, which consisted of ecological identity and ecological career pathways, was analyzed as follows. Participant A developed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the experience of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r educators. This involved the formation of an ecological identity that sustains "subjective exploration of ecological knowledge and practices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pathway as a cultural arts educator. This pathway involved the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of VTS as an improvement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aterializing the possibility of its arts education a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articipant B developed an ecological identity through her continued engagement with ecological transition practices in daily life.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is research informed her formation of an ecological identity as an Art&Culture Education Instructor for Participant B. Participant B conducted a study to assess the potential benefits of VTS 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and developed action items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as an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of the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ose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ogram for educators developed several skills and knowledge. Firstly, the participants developed visual thinking skills and learned the cognitive, defini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of ecological literacy. Secondly,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their own ecological citizenship by constructing their personal ecological identity and an ecological career they could practice as cultural arts edu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TS art appreciation-base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r educators fosters active learning and social interaction among cultural educators, thereby enabling the formation of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development of action strategies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in art education.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as they identify innovative avenues for art education to contribute to a sustainable future. The insight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 educators who are equipped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and can inform the scalability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지구 가열화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예술교육은 생태 전환을 위한 기술이자 전략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미술교육은 시대적 상황이나 사회적 요구에 응하며 꾸준히 발전하여 기후, 환경 문제에 생태미술교육, 자연미술교육, ESD에 기초한 미술교육 등으로 대응해 왔다. 미술교육의 이러한 시도는 최근 대두된 생태전환교육의 관점에서 통합적인 실행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개인에서 사회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전환적 가치를 적용하여 생태문명을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한 생태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그러나 생태전환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는 학령기 교육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형식 교육과 비형식 교육 현장에서 두루 생태전환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에서 국가 자격제도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생태소양에 주목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전 생애주기에 걸친 교육을 표방하며, 문화예술교육사는 형식 교육 현장인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포괄하는 비형식 교육 현장에서 두루 활동한다. 이에 생태전환교육의 확장성을 도모하는 데 유의미하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 또한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을 위해 학습자의 의식을 형성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행위와 사회적 연대를 독려하는 예술교육가의 역할에 집중한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대상 생태소양 교육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사에게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을 실행하여 시각적 사고 전략과 생태전환교육의 관계와 역할을 탐구하고,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사가 생태전환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토대를 만드는 것이다. 생태전환교육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생태소양을 학습하기 위해 구성주의 학습 방법을 선호한다. 미술감상교육은 작품에 내포된 의미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감상자의 내면을 재창조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를 따른다. 특히, VTS 미술감상교육은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으로 감상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경험을 공유하고, 지식을 습득하며 연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태전환교육의 학습 방법으로 적합하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을 설계 및 진행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학습 경험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비교적 시각적 사고 전략이 정교하지 않으나 생태전환교육으로서 간학문적 확장성이 큰 공연예술 분야의 연극, 국악 문화예술교육사로 선정하였다. 연구 수업은 2024년 4월 24일부터 5월 20일까지 비정기적으로 5회에 걸쳐 총 21차시 동안 합정역 인근 공유사무실 S와 난지 생태공원에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시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고 매 차시 수업 대화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첫 차시와 마지막 차시에는 사전·사후 설문 및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내용을 기록 및 녹음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의 참여자 2인을 경계가 분명한 사례로 선정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 코딩 작업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범주 확인 및 분석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로 상위범주인 시각적 사고 전략과 하위범주인 생태소양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전체 학습 내용을 종합하여 두 참여자의 학습 경험에 따른 생태시민성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상위범주인 시각적 사고 전략 중 <관찰>, <추론>, <근거>에 해당하는 하위범주는 생태소양 중 <인지적 영역>의 ‘생태학적 지식’과 <정의적 영역>의 ‘생태적 가치관 및 태도’이다. 상위범주 <추측> 전략의 하위범주는 <정의적 영역>의 ‘생태적 감수성’과 <행동적 영역>의 ‘생태적 실천 및 참여’이다. 상위범주 <정교화> 전략의 하위범주는 <인지적 영역>의 ‘생태학적 지식’과 ‘행동의 효과에 대한 지식’을 비롯해 <정의적 영역>의 ‘생태적 가치관 및 태도’와 ‘생태적 감수성’이다. 마지막으로 상위범주 <수정> 전략의 하위범주는 <정의적 영역>의 ‘생태적 감수성’과 <행동적 영역>의 ‘생태적 실천 및 참여’로 요약할 수 있다. 두 참여자의 학습 경험에서 비롯된 생태시민성은 생태적 정체성과 생태 진로로 구성되며 각 참여자의 생태시민성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 A는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의 생태적 지식과 실천 방법에 대한 주체적인 탐구’를 지속하는 생태적 정체성과 문화예술교육사로서 ‘국악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안으로서 VTS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생태전환교육으로서 국악 예술교육의 가능성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생태 진로를 정교화함으로써 생태시민성을 형성하였다. 참여자 B는 학습 경험에 기초해 ‘일상에서의 생태 전환 실천’를 지속하는 생태적 정체성과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서 VTS의 장점을 탐색‘하고, ‘연극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의 생태적 실천 항목 정교화’하는 방향으로 생태 진로를 정교화함으로써 생태시민성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사고력을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생태소양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을 고루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개인의 생태적 정체성뿐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실천할 수 있는 생태 진로를 구성하는 등 각자의 생태시민성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자 대상 VTS 미술감상 기반 생태전환교육이 문화예술교육사의 주체적인 학습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생태시민성을 형성하고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실천 전략을 구축하는 토대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을 위한 미술 교육의 창의적인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 생태전환교육의 확장성을 강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