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중첩 사용 연구

Title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중첩 사용 연구
Other Titles
A Corpus based Analysis of Case-Particle Stack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표영선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한국어의 조사는 자립성 있는 말에 붙어 문장 성분들 간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품사로 정의된다. 조사는 체언 뒤에 하나만 쓰이기도 하지만, 여러 개의 조사가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다양한 조사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결합 및 조사 중첩의 사용시 다양한 유형의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말뭉치를 통해 학습자가 조사 결합과 조사 중첩을 사용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표현의 사용 빈도, 오류, 다양성이 구어와 문어 말뭉치 또는 학습자 숙달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사용 양상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Ⅱ장에서는 조사 간 결합의 정의와 종류 및 순서를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조사를 2개 이상 결합하여 사용할 때 일으키는 오류를 분류하고 본고에서 사용할 오류 유형을 모색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고에서는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구어 및 문어 말뭉치 중 조사 사용(체언+조사)과 조사 간 결합(체언+조사 중첩)의 사용 비율과 학습자의 경우 그 오류율을 추가 산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는 국적과 관계 없이 2015~2021년 구축된 말뭉치 중 전체 숙달도를 대상으로 각 급수별 170개의 ID를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모어 화자 말뭉치의 경우 구어(뉴스)와 문어(신문 기사) 각 20개씩을 선정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학습자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말뭉치의 조사 결합과 조사 중첩에 대한 사용 빈도, 다양성, 오류율을 수치화하고 집단간 차이를 사후비교분석으로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말뭉치 분석 결과 학습자 숙달도의 상승에 따라 조사 사용의 평균치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오류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때 숙달도가 올라감에도 조사 중첩 사용 비율의 증가폭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문어 말뭉치 분석 결과 조사 결합의 오류율과, 조사 중첩의 오류율이 숙달도에 반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장 낮은 오류율을 보인 등급이 숙달도 최고 등급이 아닌 결과는 문어에서의 조사 결합 및 조사 중첩 사용의 습득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가 ‘재구조화(restructuring)’되어 가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문어 말뭉치에서도 숙달도와 조사 중첩 표현의 다양성이 정비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1~6급)의 조사 결합 사용 양상에 관한 분석 결과 구어 말뭉치의 경우 초급 학습자 집단의 조사 결합 사용 빈도가 모어 화자 대비 변동성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조사 사용에 있어 학습자간 일관성을 보이며 모어 화자 수준에 가까워지지만, 동일한 숙달도 집단 안에서 상대적으로 큰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불어 문어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조사 결합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 집단의 조사 결합 사용률이 모어 화자 대비 높게 나타났지만 그 사용의 안정성은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적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 학습자의 말뭉치 연구의 경우 조사 결합의 사용 빈도, 오류, 다양성에 관하여 구어와 문어 말뭉치 모두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구어 및 문어 말뭉치 중 숙달도 전 등급에서 변화하는 조사 결합 사용을 분석하고 그 특이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어 말뭉치의 경우 숙달도가 올라감에 따라 조사 결합 사용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냈지만, 문어의 경우 구어와 달리 예상 가능한 사용 양상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는 사실을 포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한국어 교육 중 조사 결합과 조사 중첩에 대한 실제 교육에 적용해 볼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인 교수 방안의 형태로 발전시키는 작업이 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presents a corpus based analysis of case-particle stack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examining the complexities that they encounter in mastering this aspect of the language. Korean particles, which denote gram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sentence elements, can be used either individually or in stack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likelihood of errors and limitations in expression increases for learners particularly when dealing with these case-particle stacking. Chapter I outlines the study’s necessity and objectives, as well as the questions that guided it, followed by a review of the literature. It focuses on the frequency, errors and diversity of case-particle stacking in the speech and writ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recounts the comparison of these components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Chapter Ⅱ explores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case-particle stacking and identifies the common errors that learners make in this context. Chapter III details th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analysed the use of single particles and particle stacking in the spoken and written corpora of both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with concentration directed to frequency, diversity and error rates among the latter. The examination encompassed learners of all proficiency levels who produced corpora from 2015 to 2021. A comparison against native speaker data was also conducted. Chapter IV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as proficiency increases, there is a rise in correct particle usage and a decrease in errors. However, only a modest increase in particle stacking occurs at higher proficiency levels. The analysis of the written corpora indicated that error rates in case-particle stacking usage do not consistently decrease with increased proficiency, pointing to a complex restructuring 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s. Chapter V summarises th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its comprehensive scope, encompassing both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cross all proficiency levels. It highlights the evolving nature of particle stacking usage by learners, suggesting a need for customised educational approaches. The study also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further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relation to case-particle stacking, with a view to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on the basis of these insigh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