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 Download: 0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 습득 연구

Title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i/hi and ghe adverbials in Korean - Focused on Thai L1 Korean learners -
Authors
안수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한국어, 습득, 부사어, 이/히, 게,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의 분포 및 의미 기능을 살펴보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국어 부사어 교육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교육방안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한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를 논의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그중에서도 대부분이 어미 ‘-게’의 통합적 연구의 일환인 ‘-게’형 부사어에 집중되어 있다.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는 문장에서 상보적으로 나타나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숙달도 고급에 가까운 학습자일수록 문장에 반영되는 어휘의 미세한 차이를 파악하기를 희망하기에 두 부사어의 습득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를 중심으로 진행된 습득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두 부사어를 사용하는 것에 차이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한국어 교육학에서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의 분포 및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은 두 부사어가 문장에서 상보적 분포를 보일 때와 두 부사어의 분포가 비슷한 경우를 함께 검토하였다. 또한 두 어형에 대응되는 태국어 부사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태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30명, 태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30명,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으로 총 90명이다. 연구 도구는 준생산 과제로 ‘-이/히’형 부사어가 정답인 문항 6개, ‘- 게’형 부사어가 정답인 문항 6개, ‘둘 다 가능’이 정답인 문항 6개 등 총 18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실험 종료 후에는 집단 간의 평균 점수 차이 및 답안 선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IV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에 따라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이/히’형 부사어를 정답으로 하는 문항과 ‘-게’형 부사어를 정답으로 하는 문항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학습자 상·하 집단은 평균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습자 상 집단과 학습자 하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두 부사어의 분포가 비슷하여 ‘둘 다 가능’을 정답으로 하는 문항의 경우 답안 선택 양상에 개인어가 반영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아 모든 답안을 정답으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해당 문항에서의 평균 점수를 비교하지는 않았으나 ‘-이/히’형 부사어 및 ‘-게’형 부사어를 정답으로 하는 문항과 함께 각 집단의 답안 선택 양상을 추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답안 선택 양상을 살펴본 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도 있었으나 그렇지 않은 문항도 있었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문항의 경우 한국어 수업의 교수 효과 및 사용 빈도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학습자 집단에서는 전반적으로 ‘-이/히’형 부사어보다 ‘-게’형 부사어를 정답으로 선택하는 양상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게’형 부사어가 정답인 문항에서의 정답률 역시 보다 높았다. 뿐만 아니라 ‘국제 통용 한국어 어휘 목록’에 수록된 부사어가 아니거나 사용 빈도가 낮은 부사어들은 정답으로 선택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V장에서는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해 태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 이/히’형 부사어와 ‘-게’형 부사어의 사용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두 부사어의 습득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결론지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에서 좀처럼 논의되지 않은 ‘-이/히’형 부사어와 ‘- 게’형 부사어의 특성을 밝히고 습득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두 부사어 사용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두 부사어와 관련된 논의를 포함하여 고급 한국어 학습자 배출을 위한 새로운 논의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s well as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i/hi and ghe adverbials in Korean and to explore their usage patterns among Thai L1 learners of Korean. While previous studies on Korean adverbials have primarily taken a pedagogical approach, in-depth analysis of i/hi and ghe adverbials remains limited and is frequently incorporated into broader studies on the ghe verb ending. Since i/hi and ghe adverbials can impart different meanings in sentenc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se adverbials, especially for advanced learners, who strive to grasp nuanced lexical distinctions in Korean sentences.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not addressed that these adverbials may cause confusion for Korea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duct an experiment to reveal differences in the usage of i/hi and ghe adverbials between Thai L1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I outlin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reviews previous research. Chapter II examines the i/hi and ghe adverbials’ theoretical background, highlighting cases where the two adverbials exhibit complementary or similar distribution in sentences. The corresponding adverbials in Thai are also discussed in this chapter. Chapter III pres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experiment involves 30 intermediate Thai L1 Korean learners and 30 advanced Thai L1 Korean learners,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earch tool consists of 18 structured items, with six items each for correct i/hi and ghe adverbial usage, and six items for situations where both are possibl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ward to examine inter-group average differences and identify answer selection patterns. Chapter IV analyze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averag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native Korean speaker group and the Thai L1 Korean learner groups for questions that asked participants to identify correct i/hi and ghe adverbial us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 groups. Additionally, for questions where participants could answer that ‘both usages are possible’ due to similarities in adverbial distribution, all participants’ answers were considered correct,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idiolect on response patterns. Consequently, the average scores for these questions were not compared, and instead the answer selection patterns for each group were examined. Thai L1 Korean learners generally showed a preference for ghe adverbials over i/hi, and they were more accurate when choosing ghe adverbials as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than i/hi adverbials. In addition, the learner groups tended to avoid choosing uncommon adverbials or those not foun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Vocabulary List, which is often used as a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proficiency level of Korean in textbooks, as responses. The final chapter concludes from the research analysis that i/hi and ghe adverbial usage, among intermediate and advanced Thai L1 Korean learners differs from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ndicating the learners’ lack of proficiency in acquiring these adverbials. This research illu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hi and ghe adverbials, which are scarcely discussed in Korean L2 education, and demonstrates significant findings after observing learners’ usage patterns and acquisition of these adverbials.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future discussions and research in Korean L2 educ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