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 Download: 0

베트남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보조사 습득 연구

Title
베트남어권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보조사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2 Korean acquisition of Auxiliary Particles ‘kkaji’, ‘maje o’, ‘jocha’ and ‘to’ delimiters by L1 Vietnamese learner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형태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국어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의 언어적 특성에 따른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보조사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국어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는 문법적인 측면보다 의미적인 측면이 더 복잡한 보조사이다. 각각의 보조사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의미와 함께 화자의 태도가 더해져 발화 의도를 확실하게 전달하는 의미로 확장되는데, 맥락에 따라서 보조사를 교체하여 사용해도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까지’, ‘마저’, ‘조차’, ‘도’를 유사한 의미를 가진 보조사로 인식하고 해당 보조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서 쓰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어떤 보조사를 선택해서 발화했는지에 따라 보조사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차이를 알고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만 한국어 학습자들은 해당 보조사가 가지고 있는 공통된 의미 또는 상이한 의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의미를 지닌 보조사는 학습하기 까다로운 문법 항목 중 하나로 여겨지며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경우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보조사 사용 양상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그 필요성에 관하여 기술하고 한국어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의 사용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조건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해당 보조사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제2언어 습득 연구에 있어 주요 쟁점 중 하나인 학습자의 모국어 역할에 관한 이론과 가설을 살펴보고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에 관한 형태·통사·의미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는데 연구 실험 절차, 실험 참여자, 실험 측정 도구와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는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총 89명을 표집하였는데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 59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이었다.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숙달도 검사를 통하여 중급 학습자 29명을 하 집단, 고급 학습자 30명은 상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의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 ‘도’의 사용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총 50개의 한국어 문항으로 이루어진 과제를 개발하여 진행하였으며 각 집단의 응답 결과는 엑셀로 자료를 정리한 후 IBM SPSS 25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집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교체 사용이 불가능한 조건과 교체 사용이 가능한 조건의 문항에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와의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의 선택 양상을 살펴보았고 보조사 교체 사용이 가능한 조건에서 학습자의 보조사 선택 양상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보조사 선택 양상을 응답 빈도를 통해 비교하였다. 교체가 가능한 조건에서 모어 화자의 응답은 문맥에 적절하게 여러 보조사를 선택한 반면,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중복 응답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지만 단일 응답이 대부분이었으며 보조사 선택 빈도는 ‘도’에서 가장 높았고 ‘마저’에서 가장 낮았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사한 의미 기능을 지닌 보조사 ‘까지’, ‘마저’, ‘조차’, ‘도’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 해당 보조사 사용 양상에 대하여 관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유사한 의미를 지닌 보조사에 대하여 다양한 맥락을 제시한 과제를 통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학습자의 이해와 생산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acquisition patterns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Korean postpositions ‘kkaji’, ‘majeo’, ‘jocha’, and ‘to’, which carry multiple meanings within a single form. These postpositions are more complex semantically than grammatically. Each conveys not only its basic meaning but also a speaker’s emotions and feelings, thus clearly delivering the intent of an utterance. However, their meanings can sometimes remain largely unchanged, even when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context. This complexity often leads to misinterpretations by learners of Korean, who may perceive ‘kkaji’, ‘majeo’, ‘jocha’, and ‘to’ as denoting similar ideas, leading to misuse in non-interchangeable settings. Unlike native Korean speakers, who discern and respond to the nuanced meanings of these postpositions, learners frequently exhibit errors given inadequate comprehension of overlapping or distinct postposition meanings. Postpositions with more than one meaning are considered challenging grammatical el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this study compared the use of the aforementioned postpositions by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in contexts where interchanging is possible. Chapter I delineates the study’s purpose and necessity, presents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e aforementioned postpositions, and provides the questions guiding the research. The first question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se postpositions are used by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under conditions that allow for interchangeable use. The second question was meant to explore differences in usage among Vietnamese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their proficiency levels. Chapter II documents the examination of relevant theories and hypothese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a learner’s native languag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also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attributes of ‘kkaji’, ‘majeo’, ‘jocha’, and ‘to’.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the experimental procedure, participant selection, measurement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experiment involved 89 participant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59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The Vietnamese learners wer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proficiency into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comprising 29 and 30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study developed and administered a task comprising 50 Korean sentences to inquire into the patterns of postposition usage, and the results of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Chapter IV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underlying the selection of ‘kkaji’, ‘majeo’, ‘jocha’, and ‘to’ among the Vietnames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in contexts that allow and restrict interchangeable usage. In situations permitting interchangeability, the native speakers showed a nuanced selection of various postpositions, whereas the Vietnamese learners mostly opted for single responses, predominantly choosing ‘to’ and seldom using ‘majeo’. Chapter V concludes the thesis by summarizing the findings and emphasizing the study’s significance. It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 patterns of ‘kkaji’, ‘majeo’, ‘jocha’, and ‘to’, which have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for Vietnamese learners. The study anticipates inspiring subsequen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focus on postpositions with similar meanings across diverse contexts to enhance learner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