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 Download: 0

드라마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싶다' 구문의 화용적 기능 연구

Title
드라마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싶다' 구문의 화용적 기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agmatic Functions of the “Sentence Ending + Sipda” Construction in Korean Drama Script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Authors
Pham Xuan Mai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종결어미+싶다' 구문, 내포문,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 화용적 기능, 화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드라마 대본과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종결어미+싶다' 구문이 맥락에 따라서 어떠한 화행을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화용론적 측면에서 완형보문에 후행하는 '싶다'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종결어미+싶다' 구문이 부담스러운 화행의 발화수반력을 약화시키는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mitigation devices)로서 어떠한 화용적 특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실제 담화 상황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언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제 언어생활이 반영된 드라마 대본의 준구어 말뭉치를 사용하여 담화 분석을 진행하였고, 한국어 교육에서 '종결어미+싶다' 구문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재에서 종결어미 결합형인 '싶다'가 포함된 문법 항목을 살펴보았다. '종결어미+싶다' 구문은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의 대화나 드라마 등에서도 자주 노출되거나 출현하는 표현이다. 특히 해당 표현은 화자가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단언하지 않고, 조심스럽고 완곡하게 제시할 때 흔히 쓰이곤 한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재에서는'종결어미+싶다' 구문에 대한 화용적 정보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아예 언급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종결어미+싶다' 구문은 통사적·의미적 측면에서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기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화용적 측면에서는 완곡 어법으로서의 해당 구문의 화행 기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한국어 화용 교육을 위해 드라마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싶다' 구문의 화행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고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I장에서는 본고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힌 후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와 '종결어미+싶다' 구문의 통사적·의미적·화용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그 후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화행 기능 분석'이 연구 결과의 핵심적인 부분이므로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화행 이론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 다음에 황선영(2014, 2016)에서 제시한 완화 장치의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완화 장치를 크게 어휘적 완화 장치와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로 구분하며, 각 층위마다 실현되는 완화 장치 유형과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언어 표현에 대하여 자세히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의 유형을 의미·기능별로 분류하지 않고 문법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에 속하는 언어적 표현을 정리했다. 그리고 부담스러운 화행의 발화수반력을 약화시키며 공손성을 실현하는 '종결어미+싶다' 구문에 해당하는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를 찾아서 표로 목록화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의 연구에서는 종결어미 뒤에 결합한 '싶다' 구문에 대하여 각각 다른 범주 및 특성을 기술하고 보조용언 구문, 인용 구문, 양태 용언 구문 등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싶다'의 보조용언으로서의 성격을 받아들이지 않고, 종결어미 결합형의 '싶다'구문의 인용 및 양태 범주, 그리고 완곡어법으로서의 언어적 특성을 기반으로 해당 구문의 화용적 특성과 화행 기능 실현을 검토하였다. III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고는 드라마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싶다' 구문의 화행 기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장에서는 드라마 대본과 한국어 교재를 연구 자료로 선정한 이유 및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기준을 밝혔다. IV장에서는 드라마와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종결어미+싶다' 구문을 분석하여 '종결어미+싶다'구문이 진술 화행, 제안 화행, 조언 화행, 비난 화행, 걱정 화행, 의심 화행, 반대 화행, 질책 화행, 자책 화행, 평가 화행, 불평 화행 등 11가지의 화행을 수행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화자의 겸손한 태도와 조심스러운 성격을 드러내기도 하고 완곡한 의견 제시, 자신의 판단에 대한 확실성 약화, 부담감 최소화, 체면 손상 완화, 극단적 대립 회피 등의 화용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싶다'의 선행요소로 '-나', '-는/(으)ㄴ가', '-(으)ㄹ까' 등과 같은 혼잣말 종결어미가 오는 경우에 상대방을 상정하지 않고 스스로 독백하는 발화 방식은 청자의 부담감을 낮추거나 상대의 체면 위협을 피할 수 있으며,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지위, 친밀도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언어 전략임을 기술하였다. 또한 '싶다'의 선행 요소가 부정 의문문일 때 긍정의 의미를 표현하고, 이와 반대로 긍정 의문문이 선행할 때는 부정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정리하여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후,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the sentence pattern “sentence ending + sipda” in different contexts by examining Korean drama script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Specifically, it explored the illocutionary functions of this pattern based on context,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railing “sipda” from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s, and investigated the implicature of the embedded clause in the pattern as a form of morpho-syntactic mitigator. This research also explored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treat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using a semi-spoken corpus collected from drama situations. The abovementioned pattern is a commonly exposed expression in actual conversations with native Korean speakers or in contexts such as dramas. This expression is often used when speakers present their opinions or claims cautiously and diplomatically without making firm assert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however, it is common for specific pragmatic information about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to either be withheld or omitted. Furthermore,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indicated that, despite the extensive exploration of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the pattern in question, studies on its illocutionary functions as a diplomatic discourse strategy in terms of pragmatic aspects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analyze the illocutionary functions of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as it appears in Korean drama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with the aim of enhancing effective education on Korean pragmatics. The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illuminated. It then presents the exploration of previous research, with the task divided into examining morpho-syntactic mitigation devices and studying the morpho-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Subsequentl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to guide the achievement of the research objectives. Chapter II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ith emphasis placed on speech act theory and categorizing mitigation devices based on the criteria proposed by Hwang, Sun-young (2014, 2016). Since illocutionary function analysis is a crucial part of the research results, we first addressed speech act theory before referring to the criteria presented by Hwang, Sun-young (2014, 2016) to categorize mitigation devices into lexical and morpho-syntactic mitigation devices. We then examined each level of mitigation device type and corresponding linguistic expressions based on Hwang, Sun-young’s classification. We also classified morpho-syntactic mitigation devices on the grounds of grammatical categories rather than semantic or functional categories. We organized linguistic expressions belonging to these categories. Furthermore, we listed and analyzed the morpho-syntactic mitigation devices associated with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to mitigate face-threatening acts and express politeness. It is worth noting that previous research described different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for the “sipda” pattern combined with sentence-final endings, such as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quotation constructions, and modality verb constructions, with these studies offering various opinions on the matter. The current study, referencing prior research, reconsidered the nature of “sipda” as an auxiliary verb, rejecting categorization as such. Instead, it explor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llocutionary features, and pragmatic functions of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based on its use as a combination of sentence-final endings, quotation, modality, and diplomatic expressions. Chapter III explains the research methodology. As previously stated, this work probed into the illocutionary functions of the “sentence ending + sipda” pattern as it appears in Korean drama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chapter discusses why such sources were selected as research materials and outlines the criteria for analyzing such data. Chapter IV documents the analysis of the pattern of interest as it appears in Korean drama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elucidating that the pattern performs 11 illocutionary functions: declarative, suggestive, advisory, blaming, worrying, doubting, opposing, rebuking, self-accusing, evaluating, and complaining.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pattern serves pragmatic functions, such as conveying a speaker’s humble attitude and cautious nature, presenting opinions diplomatically, weakening certainty in personal judgments, minimizing conversational tension, mitigating face-threatening acts, and avoiding extreme confrontation. When the preceding element of “sipda” is a self-talk, sentence-final ending, as with “-na”, “-neun/(eu)nka”, or “-(eu)lkka”, a speaker’s monologue style, disregarding a listener’s perspective, can effectively reduce listener burden or avoid threatening the interlocutor’s reputation or dignity. Moreover, the pattern was described as an effective linguistic strategy because it disregards variations in social status, intimacy, and other factors among conversing participants. When “sipda” follows a negative interrogative, it conveys a positive expression, but when it follows a positive interrogative, it expresses a negative meaning.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and discussions, highlights key points, outlin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