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 Download: 0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유치원 통합학급 유아들의 자기결정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유치원 통합학급 유아들의 자기결정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 Role-play program with a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on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Inclusive Classroom
Authors
기현정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증진은 일반교육 과정 접근 및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서 궁극적으로 한 개인의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학령기를 마친 후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아갈 때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자기결정과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증진에 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증진은 전 생애에 걸쳐 주체성을 가지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유치원 통합학급에서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에게 함께 실시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통합학급의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통합학급의 모든 유아의 자기결정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K 병설 유치원의 만 4세에 재학 중인 장애 유아 2명과 비장애 유아 20명,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유치원의 특수교사인 연구자가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유치원 일과시간의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주 1회씩 총 13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를 마친 후,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의 비장애 유아와 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및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고, 장애 유아의 경우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치원 통합학급의 비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점수는 중재를 실시한 후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 유아의 자기결정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즉,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의 모든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치원 통합학급 비장애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가 평정한 사회적 기술 점수와 하위요소들이 중재 후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해서도 교사와 학부모가 평정한 사회적 기술이 중재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유치원 통합학급의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함으로써 자기결정과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 요소를 적용한 역할놀이를 통해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가진 주제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독립성과 자율성을 존중한 환경 속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nhancement of self-determin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considered a crucial factor for approaching the general curriculum and ensur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ultimately contributing to an improvement in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it is highlighted as one of the key elements for individuals to live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when entering society as an adult after the end of the school age. As the interest in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ows, research in this area has increased domestically, reflecting a rising concern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important because it lays the foundation for empowerment and self-actualization throughout their lives. However, research on programs apply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targeting preschoolers is notably insufficient. Considering this gap,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apply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and can be implemented jointly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tegrated kindergarten classrooms.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role-playing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of bo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non-disabled counterpart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22 children, comprising tw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2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ll aged four, enrolled in a K-kindergarten in Seoul.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t the kindergarten, who is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role-playing program apply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during the kindergarten’s free-choice activity time over a period of 13 sessions. To assess the impact of the role-playing program, incorporat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of both non-disabled and disabled children in the integrated classroom after the intervention, the study conducted a paired-sample t-test to analyze the pre- and post-assessment results for non-disabled childr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evaluated the degree of change in pre- and post-assessment results. The summari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ore of self-determination for non-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role-playing program with the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is chang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self-determination scor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 other words, it was evident that the role-playing program with self determination compon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children in the integrated class. Secondly, for non-disabled children in the integrated kindergarten class who participated in the role-playing program apply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both teacher- and parent-rated scores for social skills, including sub-factor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by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ole-playing program apply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for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the integrated kindergarten class. This study finds significance in creating a program to elicit th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hildren. It includes elements that help children make their own choices, promoting independence and freedom in a respectful set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