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 Download: 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 연구

Title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 연구
Other Titles
Integrating Design Thinking in Ar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Insights from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Authors
장수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미술교사 대상의 인식조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한 혼합 연구로, 중등 미술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자료와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중등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디자인 사고에 대한 인식 및 수업 현황과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미술교사의 필요 및 요구를 조사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9.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처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자유로운 의견을 수집하기 위한 개방형 문항의 경우 John W. Creswell(2010)의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디자인 사고 활용 수업 경험이 있는 미술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의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미술교사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사는 미술 교과 수업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이유를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자료의 부족’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찾았다. 둘째, 디자인 사고 수업 경험이 있는 미술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공감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디자인 사고의 교육적 효과라고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디자인 사고의 특징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미술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가 디자인 사고의 적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디자인 사고 적용 적합성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미술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은 지속가능발전 관련 주제에 대한 문제 해결 중심 수업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에 참여한 미술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디자인 사고는 ‘공감을 통한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다양한 문제에 디자인 사고를 통해 공감하는 태도로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디자인 사고 적용 미술 수업은 팀 단위의 협동 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수업이 적합하다. 미술교사들은 협동 학습을 통해 디자인 사고의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협력적 의사소통과 타인을 통해 배우는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의 환경, 사회, 경제적 차원의 다양한 문제를 수업의 주제 및 내용에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술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기후변화 대응’, ‘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역사회’가 미술 교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그 외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다양한 영역에 균형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넷째,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미술 교과 수업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타 교과와 연계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미술교사들은 이러한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학교와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섯째,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 의지와 태도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술 교사들은 디자인 사고의 적용을 통해 과정에 집중하는 수업이 가능하며,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 미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디자인 사고의 적용은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밀접한 교육적 관련이 있으며, 지속가능발전에 관련한 지식을 융합하여 활용하고 구성원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디자인 사고의 적용을 통해 활성화되고, 학교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gration of design thinking into art education to enha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focusing on secondary art teachers' perceptions.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 approach, blend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t involved collecting and analyzing quantitative data through a survey of secondary art teachers and complementing this with qualitativ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The survey, which gathered responses from 53 art teachers, aim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ESD and design thinking in art education, including their needs and requirements for applying design thinking in ESD.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 IBM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9.0. Open-ended questio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John W. Creswell's (2010) qualitative analysis stages.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art teachers experienced in lessons incorporating ESD and design thinking, and the data from these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findings, derived fro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reveal art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incorporation of design thinking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irstly, teachers recognize the underempha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art classes, attributing this to a lack of specializ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econdly,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sign thinking recognize its impact in enhancing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empathy and deem these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art classes incorporating design thinking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focus on 'problem-solving through empathy'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emes. These classes ought to be project-based and employ team-based cooperative learning to address a variety of issues across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dimen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Moreover, these classes should extend beyond the art curriculum to address real-world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and collaborate with other disciplines. This interdisciplinary and empathetic approach provides a broader, more contextual learning experience, making education more relevant and effective. Ultimately, such an approach in art education is instrumental in fostering a proactive and committed attitude towards a sustainable future among students.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art subjects is closely linked with an empathy-based problem-solving process. This approach allows for the integr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knowledge, fostering essential competencies for a sustainable future. The study anticipates that its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energiz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rough design thinking in art subjects, making them applicable in educationa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