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ating Method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High School Art Textbook: Focusing on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uthors
윤다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유니버설 디자인, UDL,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현대사회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살아가며 다름을 차별이 아닌 차이로 인지하고, 지구상의 공존하는 모든 것들을 배려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이 시민운동, 환경운동과 같은 움직임으로 학계와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과 배려는 상호 간 성숙한 관계로 이끌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든다. 이는 인간관계는 물론 사물이나 공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교과서에‘배려하는 디자인’ 혹은‘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필요성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은 자아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배려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연관이 깊다. 따라서 이 둘은 청소년기 배려하는 태도를 기른다고 할 수 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해 미술교육이 사회성을 함양하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유의미한 연구주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같이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함양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구체화한다. 둘째,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학자별 정의와 하위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2015 개정 미술교과서 내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을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기준 및 세부 사항 등을 선정하여 분석 틀을 제시한다. 넷째, 분석기준을 토대로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서 10종을 분석한다. 다섯째, 현직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위한 설문 문항을 제시하고 인터뷰를 수행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교육 현황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채택하여 구성분석과 내용분석을 세부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성분석으로는 교과서 내 비중, 단원 반영 구성비를 통계 분석하였고, 내용분석으로는 내용 위계, 교과내 텍스트, 도판, 활용도에 대하여 사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교과서의 설명글과 도판, 학생활동을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미술 교과서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얼마나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교과서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직 미술교사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교육과 관련된 현장 경험을 듣고 의견을 수집하여 방향 설정에 참고했다. 교과서 분석 내용과 심층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내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영역이 교과서를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5쪽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독으로 구성되지 않고 적정기술 디자인, 에코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 테크놀로지컬아트 등 다양한 디자인영역과 혼합된 맥락 속에서 제시하고 있어 온전히 비중을 추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영역분석 결과 표현영역에 치중하며 체험과 감상 영역 비중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든 교과서가 일관성 있는 디자인 주제와 연계해 유니버설 디자인 분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은 주로 안정성, 편리성, 보편성과 같은 키워드로 다뤄지고 있었다. 개념과 원칙설명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이론이나 도판에 따른 출판사별 편차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UD의 7원칙에 대한 내용이 많은 교과서에서 생략되어 전반적으로 개념설명에 대한 보충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인지, 심동, 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학습목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성교육으로 정의적 태도 변화가 가능한 주제임에도 인지적 학습목표에만 치중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교과서 도판을 살펴본 결과 출판사별 소개하는 도판이 상이하였다. 도판의 성격은 각 단원의 소제목과 연관되었다. 이중 안전을 주제로 하는 교과서는 「비상교육」이며, 일상의 편리함을 주제로 한 교과서는「해냄에듀」, 환경을 주제로 한 교과서는「씨마스」,「지학사」, 과학기술와 접목한 교과서는「천재교과서」, 사회참여를 주제로 하는 교과서는 「YBM」등이 대표적이다. 교과서 도판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분석틀에 의해 5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일상생활 을 지원하는 디자인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를 완화시키는 디자인, 노화를 배려하는 디자인, 작업 활동을 고무시키는 디자인, 어린이의 성장을 도모하는 디자인 순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교과서 도판이 대부분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가져다주거나, 장애인을 지원하는 디자인에 해당하고 있어 다양한 용도와 주제를 고려한 도판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출판사별 학습활동을 살펴본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학습목표를 제시하지 않는 교과서도 있었으며 개념학습 정도에 그치고 있어 학습활동과 연계성이 떨어져, 질적ㆍ양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활동과 연계성을 높여야 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직 미술 교사 심층 인터뷰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효과 및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현황으로 5년차 이상 교사들은 최소 1회 이상 수업에서 다뤄지는 주제임을 파악했다. 또한, 다른 디자인 영역의 주요 주제를 통해 개념설명 위주로 언급하거나 가볍게 다뤄지고 있었다. UD교육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교과 시수 부족, 학생의 흥미도 고려, 중요도에 따른 후순위 선택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따라서 미술 교과서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많은 상황 가운데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없어 따로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UD 효과 및 필요성에 관한 답변으로는 모든 교사가 UD수업을 통해 사회성과 배려, 소통, 능력을 강화해 사회적 조망수용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데에 동의했으며 교사와 교육계의 관심이 지속되도록 UD교육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자면, 유니버설 디자인은 사회적 필요를 채우는 적정기술 디자인, 에코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같은 맥락에서 제시되어야 하며, 교사ㆍ교육계의 관심과 노력, 기관들의 협조와 정부 정책의 지원, UD교육의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교과서 속 유니버설 디자인 영역은 타 디자인 영역과 연계성이 높으나 출판사마다 내용구성에 통일성이 없어 교과서별 편차가 커 전반적으로 개념과 원칙에 대한 보충설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교과서 분량을 확대해 포괄적이고 현재 트랜드에 맞게 반영된 도판으로 대체되어야 하며, 능동적인 학습자로서 조별 활동과 토론하기 등과 같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상호 배려하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디자인 교육이 생활 영역에 기능하는 역할수행을 학습자로 하여금 일깨워주며, 유니버설 디자인이 사회에서 범국민적 교육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앞두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에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간구하기 위해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확인하고, 미술 교사 인터뷰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의 확대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함양 효과를 기대하는 현장의 필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 10권과 미술 교사 6명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 등을 고려 했을 때 일반화하기에 어려우며 연구 범위를 넓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차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서 도입을 앞둔 현시점에 유니버설 디자인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는 의미 있는 연구물이 되기를 바란다. ;Contemporary society is witnessing a paradigm shift where diverse members coexist and recognize differences not as discrimination but as distinctions, fostering movements such as civic activism and environmental advocacy for the benefit of all entities cohabiting on Earth. E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lead to mature and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enriching our lives. This applies not only to human relationships but also to objects and spaces. In textbooks, Universal Design is defined as "design that considers others" or "design for all."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which involve moving away from self-centered thinking and considering others and the world. Therefore, both can be seen as cultivating a caring attitude in adolescence,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ducational effect of fostering social skills through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viewed Universal Design as a meaningful research topic that enhance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ea of Universal Design in the revised 2015 high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explore ways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Universal Design that fosters empath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such as the ability to engage in social perspective-taking.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types of Universal Design and to clarif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Second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efinitions of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by scholars and their sub-components. Thirdly, the researcher identified and present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categorizing the area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i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s and selecting analysis criteria and details. Fourthly, the researcher analyzed 10 types of 2015 revised art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Fifthly, the researcher presented survey questions for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and conducted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Finally, the researcher interpreted and summarized the analysis results to explore measur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As for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10 types of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detailed analysis criteria. The structural analysis involv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ratios of content within the textbooks, while the content analysis included case analysis of content hierarchy, textual information, illustrations, and usability. The researcher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planations, illustrations, and stud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Universal Design is addressed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to gather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guidance for the research direc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compiled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al analysis, the Universal Design area occupies an average of 4.5 pages in textbooks. Universal Design is presented within the context of various design domains, including appropriate technological design, eco-design, sustainable design, technological art, making it challenging to extract its distinct proportion. The analysis of domains reveals a focus on the representation domain, with minimal emphasis on experiential and aesthetic aspects. Therefore, it is crucial to ensure consistency in design themes across all textbooks and establish a substantial portion dedicated to Universal Design. Secondly,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indicate that Universal Design is discussed in terms of keywords such as stability, convenience, and universality. The analysis of conceptual explanations and principles reveals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publishers, indicating a need for supplemental explanations regarding concepts and principles. Additionally,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categorized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shows a tendency to prioritize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despite Universal Design being a topic capable of facilitating attitudinal chang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Examining the layout of textbooks, it was observed that each publisher's introduction varied, with the nature of the layout related to the subheadings of each unit. For instance, textbooks focusing on "safety" are associated with "Visang Education," while those emphasizing everyday convenience are linked to "Haenam Edu," textbooks on environmental themes are represented by "Cimas" and "Jihaksa," and textbooks combining science and technology are represented by "Cheonjae Education." Analyzing the content of textbook layouts resulted in five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findings indicate that designs supporting everyday life were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designs alleviating disabilities, designs considering aging, designs facilitating work activities, and designs promoting children's growth. Thus, there is a need for diverse layouts in textbooks that consider various purposes and themes, bringing convenience to daily life, support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ncouraging multifaceted discussions on Universal Design. Furthermore, upon examining the publisher-specific learning activities, it was discovered that some textbooks do not provide learning objectiv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nd the integration of activities lacks coherence with the level of conceptual learning.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provide clear conceptual explanations of Universal Design and enhance the integration of activiti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rd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esent art teachers, the status, issues,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were identified. It was observe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recognized that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covered in at least one class session. Furthermore, it was mentioned that it is lightly touched through the explanation of concepts based on major topics in other design areas. The reasons for the poor implementation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nsufficient curriculum hours, consideration of student interest, and lower priority given to its importance. Therefore,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mount of content related to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at should be included in art textbooks, and the absence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textbooks cre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for it separately. In terms of the effects and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all teachers agreed that Universal Design classes enhance social skills,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ies, leading students to reach the stage of accepting diverse perspectives. It was concluded that concerted efforts are needed to sustain the interest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sector in Universal Design Education and improve societal awareness. To summarize the research findings, Universal Design is highly interconnected with other design areas, but there is inconsistency in content organization among different publishers, resulting in difference variations across textbooks. Proposed measures for activation is expanding the content volume in textbooks, incorporating inclusive and trend-responsive layouts, modifying student learning activities to be more proactive, and designing classe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such as group work and discussions that promote mutual consideration within the community. To achieve this, it requires the interest and efforts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sector, collaboration from institutions, and support from government policies for the holistic improvement of societal awareness regarding Universal Design Education. It is recognized that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se area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enhance Universal Design Education in high school art curriculam by examining how it is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art textbook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art teacher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educational effects such as developing social acceptance abilities through the expansion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0 high school textbooks and 6 art teacher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further research targeting a broader range of subjects is necessary. As we are currently at a point where discussions on the 2022 revised art and education curriculum are taking pla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contemplating desig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