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기업 내 HRD 담당자의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기업 내 HRD 담당자의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f HRDs' experiences with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in the workplace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교육이 기업교육에 도입되는 현상에 있어 기업 내부의 시선으로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을 도입하고 운영한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을 둘러싼 맥락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자는 성인교육의 한 갈래인 기업교육에 미술이 활용됨으로써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와 문화적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기업교육은 일반적인 성인교육과 다르게 학습자 자신의 자발적인 동기가 아닌, 기업교육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기업 내 HRD담당자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HRD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활동과 변화촉진활동 등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HRD의 목적 내에서 미술교육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5명의 기업의 HRD담당자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했다. 또한 HRD담당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증거물이 되는 교육과정 운영안과 제안서 문서와 교육결과물 사진도 수집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하나의 과정을 설명하거나 이해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이 없을 때 적절한 설계 형태인 근거이론을 도구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층 면담 진행 후 전사한 자료와 문서 자료는 Glaser와 Strauss(1967)가 근거이론 방법의 자료분석법으로 제안한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단계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개방 코딩 과정에서 99개의 개념과 32개의 하위 범주, 16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범주들은 Strauss와 Corbin(1998)의 패러다임 모형을 활용하여 범주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관시켰다. 선택 코딩 과정에서는 핵심 범주로서 ‘미술로 조직과 긍정적 관계 맺게 하기’를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관련 범주들을 연관시켜 범주들 간 관계를 정립하여 이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 내 HRD담당자들의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에 대한 경험은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 도입하기’를 중심현상으로 하여 다양한 맥락 속에서 현상이 일어나고, 그들의 반응과 다양한 전략을 통해 결과를 획득하는 것으로 보았다. 분석결과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핵심 범주로는 ‘미술로 조직과 긍정적 관계 맺게 하기’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HRD담당자가 미술교육을 기업교육에 도입하는 것에는 미술교육의 주제와 형식을 통해 학습자들이 조직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갖게 함으로써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기업교육에 미술교육이 도입되는 현상에는 사회적 배경, 기업이라는 조직, HRD담당자, 미술교육 담당자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이 도입되고 운영되는 과정에 대한 모형을 만듦으로써 이론화 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을 도입한 동기와 목적은 힐링, 비전내재화 등의 미술교육의 주제적 목적과 미술활동이라는 형식을 통한 분위기 전환, 교육과정 마무리 등의 목적으로 학습자들이 조직과 긍정적 관계를 맺게 하기 위함이다. 미술이 기업교육에 도입된 데에는 사회적인 배경과 기업 조직의 환경, HRD담당자의 성향과 미술교육 담당자의 활동이 관계하고 있었다. 개인주의화와 힐링 트렌드, 감정노동자에 대한 관심 등의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미술이 기업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발생하게 되었고, 특히 감정노동자를 직원으로 둔 기업에서 이들을 다독일 수 있는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미술교육 담당자들은 기업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홍보하였고, HRD담당자들은 본인의 미술에 대한 관심, HRD트렌드로 만족도를 중시하고 활동위주의 교육을 지향하는 등의 성향으로 인해 미술교육을 기업교육에 도입을 고려하게 되었다. 미술교육이 기업교육에 수용되는 데에는 기업 내 의사결정권자의 의향과 미술에 수용적이고 힐링이나 동기 부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기업 분위기 등이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업 내 HRD담당자의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에 대한 경험은 미술교육을 도입하기 위해 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의사결정권자를 설득하며 미술교육 담당자에게 교육 목적 달성을 위한 요구를 하는 등 설계, 개발 단계에서 어려움은 있었지만, 실제 운영 경험과 결과에 대해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을 통해서 교육을 운영하고자 한 힐링, 비전 내재화 등의 초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조직과 긍정적 관계 맺기라는 의도 또한 실현할 수 있었다. HRD담당자들은 미술교육만의 차별점으로 시각적 결과물이 남는 것으로, 전시나 개인 소장을 통해 교육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셋째,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은 기업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미술교육 그 자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그 효과가 즉각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성과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적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지출을 줄여야 하는 경우나 전염병, 사회적 재난 등의 상황에서는 교육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변화들은 일시적이어서 이슈가 사라지면 다시 교육을 재개하게 된다. 하지만 장기적인 기업환경 변화인 채용 감소와 비대면 교육 지향은 미술이 기업교육에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이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미술교육 담당자의 적극적인 활동과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역량적으로는 미술교육 담당자의 기업과 HRD에 대한 이해는 물론, 미술교육자로서의 전문성과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미술교육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컨설팅 하여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HRD담당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이 기업의 관점으로 봤을 때 어떤 맥락에서 도입되고 운영되며 그 효과는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미술교육은 기업의 구성원과 그 조직에게 힐링과 소통, 역할 구체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조직과 그 구성원은 결국 사회의 일원이기에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은 더 나아가 사회적 가치에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새로운 형식의 기업교육을 개발하여 도입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기획자와 성인 학습자의 미술교육 참여 동기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후속 연구로서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길 기대하며,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들로 미술을 활용한 기업교육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surrounding the introduction of art education into corporate education and to discuss future developments through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experience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art-based corporat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anies themselve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use of art in corporate education as a branch of adul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social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spread of cultural values. However, unlike general adult education, corporate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not motivated by the learners themselves, but by HRD personnel in the company who design and operate corporate educ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HRD i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change promotion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within this purpose of HRD, we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HRD managers who have experience in running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as research participants.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peration plan and proposal documents and photographs of educational results as evidence of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HRD managers.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grounded theory as a tool to conduct the study, which is an appropriate design when there is no theory available to explain or understand a process. After the in-depth interviews, the transcribed data and docu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propos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as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open coding process, 99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6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derived 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related by utilizing the paradigm model of Strauss and Corbin (1998).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we selected the core category of ‘build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rough art' and related categories around it to build a theory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Based on this, HRDs' experiences with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were viewed as occurring in various contexts with 'introducing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as the central phenomenon and achieving results through their actions/interactions. The core category that can encompass all of the findings is 'build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rough art' because ultimately, HRDs' intention in introducing art into corporate education i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making learners feel positive about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theme and format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se core categories, we theorized that the phenomenon of introducing art education into corporate education involves social background, corporate organization, HRD personnel, and art education personnel, and created a model of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ou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introducing art into corporate education is to creat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thematic purposes of art education such as healing and visioning, as well as to change the atmosphere through the form of art activities and to conclude the curriculum. The introduction of art into corporate education was related to the social background and environment of the corporate organization, the disposition of HRD personnel and the activities of art education personnel. Second, HRDs' experiences with art-based corporate education revealed that although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s, such as effectively designing the education to be introduced, convincing decision makers, and making demands on art educator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ual operation experience and results. Through corporate training using art, they were able to achieve the initial purpose of running the training and realize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HRDs positively viewed the differentiation of art education as leaving visual results, which can be perpetuated through exhibitions or personal collections. Third, corporate education utilizing art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effectiveness of art education itself is recognized positively, the effect is not immediately or substantially reflected in performance. Therefore, when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is not favorable, or when there is an epidemic, social disaster, etc. These changes were temporary and training would resume once the issue passed. However, long-term changes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e in hiring and a shift toward non-face-to-face training,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ontinued use of art in corporate training. Fourth, in order to develop and activate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art educators and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In terms of competencies, art educators ne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corporate HRD, as well as expertise and presentation skills as art educat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art education and to develop, consult, and present programs that are needed in companies based on this evidence, and to actively promote them to HRD personnel. Through this study, I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art-based corporate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operated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and its effectiveness. Art education can bring positive effects such as healing, communication, and role refinement to corporate members and their organizations. Since organizations and their members are part of society,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contributes to social valu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program planners who want to develop and introduce new forms of corporat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for those who want to study adult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will be conducted, and that research on effe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promote corporate education using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