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 Download: 0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비동의 화행 비교 연구

Title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비동의 화행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Disagreement Speech Acts between Dutch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uthors
이민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대화 참여자 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자신의 의견을 밝히고 의견 차이를 조율해 나가는 과정을 의사소통의 ‘꽃’으로 보고 이 과정에서 수행되는 ‘비동의 화행’에 주목한 것에 그 출발점이 있다. 이에 비동의 화행 수행을 꺼리는 경향이 있는 한국인 집단과 대비되는 집단으로 논쟁과 비동의가 ‘진실을 향한 길의 중요한 발돋움’으로 인식되는(Erin Meyer, 2016: 154)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선정하고 의사 결정 상황에서 두 집단의 비동의 화행 수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비동의 화행 연구, 화행 관련 완화 장치 연구, 네덜란드인 대상 화행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후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는데 [연구 문제 1]에서는 사회적 지위와 사회적 거리에 따라 두 집단의 비동의 화행 실현 여부 및 유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연구 문제 2]에서는 두 집단이 사용한 비동의 화행의 세부 전략이 어떻게 다르며 사회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를, [연구 문제 3]에서는 집단 간 완화 장치 사용 양상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사회적 변인에 따라서는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비동의 화행과 완화 장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고에서는 비동의 화행을 ‘의견 불일치 상황에서 선행 발화에서 제시된 주장이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음을 드러내는 응답 화행’으로 정의하고 단순 거절 화행은 비동의 화행에 포함하지 않기로 하였다. 또한 비동의 화행을 유도하는 선행 발화의 상황 맥락이 비동의 화행 수행에 있어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여러 비동의 화행의 상황 맥락 중 화자와 청자가 특정 사안에 대하여 결정하는 ‘의사 결정 상황’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절차를 설명하고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의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도구, 분석 방법 등을 언급하였다. 실험 도구 및 절차는 1·2차 상황 개연성 조사와 예비 실험을 토대로 확정되었고 본 실험은 네덜란드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각 30명을 대상으로 서면 DCT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한 상황 개요는 크게 사회적 지위와 사회적 거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는데 ‘사회적 지위’는 크게 화자의 지위가 청자보다 높을 때, 화자와 청자의 지위가 같을 때, 화자의 지위가 청자보다 낮을 때의 세 가지 상황으로, ‘사회적 거리’는 극소, 소, 친, 극친의 네 가지 상황으로 세분된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에서 두 집단의 명시적 비동의 화행 수행 빈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사회적 지위와 거리에서 네덜란드인 학습자가 한국인보다 명시적 비동의 화행을 더 많이 선택하고 있었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네덜란드가 적극적으로 직면하는 사회에 속한다는 Erin Meyer(2016)의 연구와 네덜란드인들이 솔직하고 직설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경향이 있다는 Brukel(2016)의 연구와 상통하는 결과다. 두 집단이 사용한 비동의 화행의 세부 전략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 문제 2]의 연구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문제점 지적하기’와 ‘반대 주장하기’ 전략 사용이 항상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부분 인정하기’ 전략은 두 집단 모두에서 선호되긴 하였으나 학습자 집단의 선호도가 더욱 높았고 학습자 집단의 답변 중 부자연스러운 표현과 연결어미 ‘-지만’에 대한 과도한 의존 양상을 포착해 낼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의견 보류하기’ 전략 실현 양상에서는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의 차이를 엿볼 수 있었다. 사회적 지위에 따른 두 집단의 전략 사용 양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청자의 사회적 지위가 화자보다 높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에서 ‘호칭 사용하기’ 전략이 유독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으로 설명 가능하다. 화자의 지위가 청자보다 높을 때는 ‘질문하기’와 ‘형식적 표현하기’ 전략에 있어서 집단 간의 차이가 드러났다. 사회적 거리의 경우 화자와 청자가 극소의 관계일 때 특히 ‘해결책 제시하기’ 전략의 사용 빈도가 높았고 학습자 집단의 ‘의견의 비논리성 지적하기’ 전략 선호가 유독 낮게 나타났다. 한국인 집단에서 ‘의견 보류하기’ 전략은 소 혹은 친의 관계에서만 선호되었는데 이는 ‘극소’의 관계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의견 불일치라는 일종의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고 ‘극친’의 관계에서는 화·청자 간의 사회적 거리가 충분히 가깝기에 굳이 공손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완화 장치에 주목한 [연구 문제 3]에서 먼저 전체 상황을 바탕으로 어휘적 완화 장치 생산 양상을 살펴본 결과 예상과 달리 학습자 집단이 한국인 집단에 비해 더욱 많은 수의 완화 장치를 생산하였다. 이는 학습자 집단에서 ‘짐작형’과 ‘주관형’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회적 지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화자의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많은 수의 완화 장치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실험 설계 시에는 고려하지 못하였던 해당 완화 장치들의 ‘담화 표지(discourse marker)’로서의 기능, 사회적 지위 차로 인한 의견의 강압적 전달에 대한 화자의 우려 등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사회적 거리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친’의 관계에서 어휘적 완화 장치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극친’의 관계에서 가장 낮은 사용 빈도를 기록하였다. 문법적 완화 장치의 경우 한국인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높은 빈도로 완화 장치를 사용하였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짐작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고 ‘의향 질문형, 시도형, 부탁형, 비개입형’ 완화 장치에 있어 집단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두 집단 모두 화자의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많은 수의 문법적 완화 장치를 사용한다는 예상외의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일부 완화 장치의 비격식성, 사회적 지위 차로 인한 의견의 강압적 전달에 대한 화자의 우려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회적 거리의 경우 두 집단 모두에서 화자와 청자가 ‘친’의 관계에 있을 때 가장 많은 수의 완화 장치를 생산하였고 ‘극친’의 관계에 있을 때 가장 적은 수의 완화 장치를 생산하였다는 공통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아닌 네덜란드인을 연구 대상에 포함하지 않아 중간언어적 관점의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점, 학습자 집단의 숙달도가 제대로 통제되지 않았다는 점,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의 자체의 한계, 공적·사적 상황을 변인으로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 등에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그럼에도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던 비동의 화행과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에 주목하여 이들을 위한 비동의 화행 교육 방안 마련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 비동의 상황과 사회적 거리를 섬세하게 통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비동의 화행 수행에 있어 내용적 측면과 언어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였다는 점, 처음으로 완화 장치와 사회적 변인 간의 관계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ealing with disagreement as a fundamental aspect of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disagreement speech act’. Native Korean speakers are considered to have a reticent approach to disagreement, while for Dutch Korean learners, argument and disagreement are considered “a critical step on the path to truth” (Erin Meyer, 2016: 154).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pproaches taken by these two groups when faced with disagreement in decision-making situations. Chapter Ⅰ outlines the study’s objective and rationale, and reviews three areas of the existing speech act research: disagreement speech acts, downgrad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from this literature review. The first question investigates how the manifestation of disagreement and the choice of explicit disagreement vary between the two groups depending on social variables. The second question examines how each group employs disagreement strategies and how they vary as a function of social variables. Lastly, the third question analyzes the differences in using downgraders between the groups and how the patterns vary depending on social variables. Chapter Ⅱ elucidates the theoretical framework underpinning disagreement speech acts and downgraders. In doing so, it defines the speech act of disagreement ‘a responsive speech act expressing disagreement with the claim or opinion put forward in the previous utterance’, and excludes the speech act of simple refusal. Furthermore, recognizing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preceding utterance as a potential variable influencing the disagreement speech 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decision-making situation’. Chapter Ⅲ detail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the procedure,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instruments, and analysis techniques. The experimental instrument took the form of a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validated through situational probability surveys and pre-tests. The main experiment targeted 30 Dutch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The situational scenarios were designed considering social status and social distance. Chapter IV analyzes and presents the test results. First, concerning research question 1, the frequency of performing disagreement and explicit disagreement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revealed that Dutch learners preferred explicit disagreement more than Korean learners across all social statuses and distance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Erin Meyer’s (2016) research, indicating that the Netherlands is an actively confrontational society. This also aligns with Brukel’s (2016) findings that the Dutch tend to express their opinions honestly and directly. Concerning research question 2, which explores differences in the use of disagreement strategies among the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pointing out problems strategy’ and the ‘counter-argumentation strategy’ consistently emerg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by both groups. While both groups preferred the ‘partial recognition strategy’, Dutch learners exhibited a higher preference for this strategy. Furthermore, unnatural expressions and an over-reliance on the conjunctive ending ‘-ciman (but)’ were observed in their responses. In addition,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context and low-context cultures in the application of the ‘withholding opinion strategy’. In terms of social status, the ‘terms of address strategy’ was particularly prevalent in the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primarily when the social status of the speak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istener.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collectivist tendency of Korean society. When the speaker’s status was higher than the listener’s, notabl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observed in using the ‘questioning strategy’ and the ‘formal expression strategy’. Regarding social distance, in instances of a highly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there was a heightened frequency of using the ‘solution suggestion strategy’. In contrast, the learner group’s preference for the ‘pointing out the illogicality of opinion strategy’ was particularly low. In the Korean group, the ‘withholding opinion strategy’ was only preferred for distant or close relationships. For research question 3, which examines the use of downgraders, the initial analysis focuses on the production pattern of lexical downgraders in the overall situation.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learner group exhibited a higher frequency of lexical downgraders than the Korean group.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overuse of ‘guessing type’ and ‘subjective type’ downgraders within the learner group. When considering social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peaker’s status, the greater the number of downgraders used in both groups. This result highlights the role of downgraders as ‘discourse markers’, a factor not considered in the experiment’s design. This outcome is heightened when a speaker apprehends that expressing their opinion may be perceived as coercive due to disparities in social status. Regarding social distance, both groups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lexical downgraders usage in ‘close’ relationships and the lowest frequency in ‘extremely distant’ relationships. Grammatical downgraders were us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by the Korean group than by the learners’ group,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guessing type’ was used most frequently in both group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question’, ‘attempt’, ‘request’, and ‘non-intervention’ types. Examining the differences based on social status revealed an unexpected result—both groups used more grammatical downgraders as the speaker’s status increased,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certain downgraders hiding an informal nuance, or as speakers’ concerns about their opinions coming across as coercive communication due to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Regarding social distance, a common tendency was evident whereby both groups produced the most downgraders when they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and the least when they were in an ‘extremely close’ relationship. Chapter V summarizes the research findings, highlighting the study’s significance and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research was not conducted from an interlanguage perspective, and the level of the learner group was not rigorously controlled. Moreo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DCT itself, and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were not treated as variables. Nonetheless,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eds light on disagreement speech acts and the underexplored domain of Dutch learners of Korean. In addition, the experiment was carefully controlled for the disagreement situation and social distance, addressing limitations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The study’s importance is further highlighted by its dual focus on both content and linguistic aspects, making it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owngraders and social variab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