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 Download: 0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adolesc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Authors
박현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청소년,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PTSD 증상, 비자살적 자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비자살적 자해는 죽고자 하는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를 직접적이고 고의적으로 훼손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비자살적 자해는 청소년들에게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고 유병률이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은 힘의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해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피해자에게 가하는 부정적인 행위이다. 또래 괴롭힘 피해는 외상 사건을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반추와 외상 사건 경험 이후 개인에게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증상인 PTSD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청소년기 비자살적 자해 경험을 탐색하여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PTSD 증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와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청소년에 대한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청소년기 비자살적 자해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은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및 PTSD 증상에 의해 매개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도권 및 비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1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와 빈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청소년기 비자살적 자해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중등도/중증도 수준의 자해 방법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자해 빈도는 2-10회, 자해 방법은 2-4가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대부분은 중학교 시기에 자해를 처음 시작하여 평균 지속기간이 4.4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해 시작 전 대부분은 숙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충동적으로 자해를 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해 시 약한 고통을 느끼거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 시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의 다양한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자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직접 경로를 제외한 연구모형(완전매개모형)과 직접 경로를 포함하는 경쟁모형(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두 모형 간의 △χ2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인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PTSD 증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세 가지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우선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PTSD 증상을 완전매개하여 비자살적 자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PTSD 증상을 유발시키기 전에 빠른 위기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침습적 반추와 PTSD 증상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피해학생에게 침습적 반추에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칠 필요성과 침습적 반추를 줄여서 PTSD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PTSD 증상을 매개하여 비자살적 자해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담자에게 의도적 반추의 양방향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담자와의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국내에서는 최초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단순히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에 이르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축척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합한 가장 최신의 모델인 수정된 통합적 모델을 이론적 틀로 삼고 이를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비자살적 자해 예방과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괴롭힘 피해 경험뿐만 아니라 사이버 괴롭힘을 포함하여 청소년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을 확인함으로써 확장된 개념의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섯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이르는 경로에서 인지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여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Non-suicidal self-injury refers to the act of directly and intentionally damaging one's own body without the intention of dying. This occurs at a high rate in adolescents who lack strategies and abilities to appropriately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s, and the prevalence rate continues to increase. Considering that it can lead to suicide, research 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the need for is raised. Meanwhile, adolescent peer bullying is a negative act that is repeatedly inflicted on the victim by the perpetrator, who has the upper hand in power, with the intention of harming the victim. This causes a variety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has been found to particularly affect 'non-suicidal self-injury'.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non-suicidal self-injury' by explor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suffered from bullying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adolescence. Through this, we sought to prepare basic data for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non-suicidal self-injur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ce? Second, is the effect of bullying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ce on non-suicidal self-injury mediated by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who had experiences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their youth, and data from a total of 214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non-suicidal self-injury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during their adolescent years, there was a high rate of using moderate/severe self-injury methods, such as using tools to hurt their own bodies. The frequency of self-harm was found to be 2-10 times, and the most common methods of self-harm were 2-4.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first started self-harming in middle school and stopped within the past year. It was confirmed that most people did not deliberate before starting self-harm, indicating that they committed self-harm impulsively, and felt mild pain or no pain when self-harming. Second, a research model that did not include a direct path between peer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harm (full mediation model) and a competing model that included a direct path (partial mediation model) were set up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model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χ2 between the two model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fully mediated model, which was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Third,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ree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Above all, a single mediating effect of PTSD symptom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rapid crisis intervention is necessary before the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ization causes PTSD symptoms. Next,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need to teach victims how to deal with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PTSD symptoms by reducing intrusive rumination. Lastly, the trip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D symptoms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counselors to conduct counseling with client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two-way characteristics of deliberate rumin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he first in Korea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is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and increases understanding of the path through which bullying victimization leads to non-suicidal self-injury.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d the revised integrated model, which is the most recent model that integrates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on nonsuicidal self-inju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xpanded it.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Fourth, this study explored the path from the expanded concept of bullying victimization to non-suicidal self-injury by identifying not only traditional forms of bullying victimization but also bullying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ce, including cyberbullying. Fifth,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non-suicidal self-injury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ath from bullying victimization to non-suicidal self-inj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