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 Download: 0

전략적 읽기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성취도, 읽기 흥미도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략적 읽기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성취도, 읽기 흥미도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rategic Reading Collaborative program on the Reading Achievement, Interest in Reading, and Social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uthors
조유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읽기, 읽기 중재, 지적장애, 특수학급, 협동적 읽기 전략, CSR, 고등학생, 읽기 성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중요하고 필수적인 의사소통 수단이자 학습의 요소인 읽기는 성공적인 학업 성취와 사회 적응을 위해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능력이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은 낮은 읽기 역량으로 중등 이후 교육과 성인기까지 어려움을 겪고, 이것은 고등교육과 취업 및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까지 지적장애인의 읽기 교수를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중재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전략적 읽기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와 증거 기반의 실제를 적용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협동적 읽기 전략(Collaborative Strategic Reading; CSR)은 명시적 교수, 교사의 모델링과 소리 내어 생각하기, 안내된 연습 등의 증거 기반의 실제에 의한 교수를 통하여 읽기 전, 중, 후에 걸쳐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읽기 역량을 강화하고 읽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CSR을 활용한 전략적 읽기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성취도, 읽기 흥미도 및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의 A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9명으로, 모두 읽기와 사회적 통합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9명의 학생을 읽기 성취도 수준에 따라 두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함께 읽기 그룹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학생의 적극적 참여와 역할의 수행을 통한 읽기 학습, 요점 파악 등을 목표로 협동학습을 위한 함께 읽기 집단에서의 역할을 명시적으로 지도하고, 읽기 전략의 절차 습득을 위하여 기억술을 활용하며 사회적 기술 하위 변인이 포함된 읽기 자료를 선정하여 총 16회기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중재 전과 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읽기 성취도는 한국어 읽기검사(KOLRA)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여 결과를 표준점수로 환산한 후 읽기 유창성은 대응표본 t 검정을, 읽기 이해는 윌콕슨부호 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읽기 흥미도는 Mata(2011)의 읽기·쓰기 동기 검사 도구(MRWP)의 읽기 및 쓰기 흥미도 검사 중 읽기 흥미도 검사를, 사회성 기술은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SSRS)를 각각 수정 및 타당도 검사를 거쳐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유창성 점수 평균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고, 읽기 이해 점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읽기 흥미도 점수 평균은 중재 이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사전검사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평정했던 학생들의 점수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점수 평균은 중재 이전과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는 특수학급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CSR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했고, 사회성 기술 관련 읽기 자료를 선정하였으며, 읽기 흥미에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Collaborative Strategic Reading (CSR) is a strategy that involves explicit instruction, teacher modeling, think-alouds, guided practice, and other evidence-based practices to enhance reading proficiency and reduce reading-related anxiet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ategic reading collaborative program on the reading achievement, reading interest, and social skills of 9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3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A High School in Seoul. The program was designed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performance of roles, reading comprehension, and identification of get the gist. The explicit guidance of roles within collaborative reading groups aimed at fostering active engagement and comprehension. Additionally, mnemonic was employed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reading strategies. The program selected reading texts that incorporated the sub-domains of social skills and comprised 16 sessions to ensur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learning.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whether strategic reading collaborative program would impact the reading achievement, reading interest, and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for reading fluen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reading interest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ird, Social skills scores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aimed to validat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Strategic Reading(CSR)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involv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the selection of reading materials related to social skills, and the proposal of a program that can enhance interest in rea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