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 Download: 0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 준비에 대한 학부모와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고찰

Title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 준비에 대한 학부모와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고찰
Other Titles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김지민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발달장애, 초등학교, 전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기본적인 학문을 습득하고 사회적 능력을 배양하는 곳으로, 초등학교 입학 시기는 학생들이 가정에서 공교육으로 첫발을 내딛는 시기이자 매우 중요한 생의 전환 시기이기도 하다. 발달장애 아동은 사회적, 정서적, 학업적 어려움으로 인해 이러한 초등학교 전환 과정에서 또래 관계 형성, 학습, 집단활동 참여 등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다. 발달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들 또한 정보 수집이나 학교 유형 선택 등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고 발달장애 아동을 교육하는 교사 또한 전환을 위한 법적 제도나 지원의 미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을 각각 알아본 연구는 있으나 세 집단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모색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교사는 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의 가장 중요한 당사자이지만 서로의 입장과 경험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전환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환이기 때문에 유치원과 초등학교간 학교급간 연계와 협력를 통한 전환 지원이 필요한데, 실제 현장교사들은 협력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전환이 장애 아동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스트레스가 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장애 아동의 부모를 포함하여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이 한 팀으로 초등학교 전환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이들 모두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아우르면서 이를 토대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 관련 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원활한 전환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무엇인지에 대해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와 유아특수교사, 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의견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진학을 앞둔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와 일반 초등학교에 자녀를 진학시킨 학부모, 특수학교에 진학시킨 학부모 세 그룹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고, 또 유아특수교사, 일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세 그룹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진학을 앞둔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 5명, 일반 초등학교에 자녀를 진학시킨 학부모 4명, 특수학교에 자녀를 진학시킨 학부모 4명, 그리고 유아특수교사 4명, 일반 초등학교 특수교사 4명,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 4명, 총 25명이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와는 개별 면담을, 교사와는 그룹 면담을 하였다. 그룹 면담 참여가 어려운 교사 1명은 답변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면담 종료 후 전사된 자료는 질적연구의 분석방법 중 하나인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이 6개의 대주제[(1) 초등학교 전환 관련 정보 수집, (2) 초등학교 선택 관련 영향요인, (3) 초등학교 전환 과정에서의 어려움, (4) 초등학교 전환 준비 및 지원의 실제, (5) 초등 전환에 필요한 기술, (6) 초등학교 전환 관련 지원 요구]와 23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수집 방법은 유치원 교사와의 상담, 인터넷 검색, 초등학교 방문 또는 전화, 주변 학부모들의 조언, 교육지원청을 통한 정보 5가지로 압축될 수 있었다. 둘째, 진학할 초등학교 선택 관련 영향 요인은 일반학교 선택 요인과 특수학교 선택 요인, 아동의 특성, 그리고 학부모의 특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전환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학부모들은 공식적인 정보와 지원의 부재, 학교 선택에 대한 불확실성, 교사들은 협력의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전환과 관련한 준비와 지원의 실제는 학부모의 전환 준비, 유치원에서 받는 지원, 초등학교에서 받는 지원, 교육지원청에서 받는 지원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전환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기본적인 규칙 지키기, 의사소통 및 사회성 관련 기술, 자기관리 기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교 전환 관련 지원 요구로는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 유치원-초등학교 학교급간 연계 지원,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교육 및 개별적 지원, 제도적·행정적 지원 네 가지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와 교사가 초등학교 전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 마련, 학부모와 유치원·초등학교 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실질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 개설, 발달장애 아동의 장애 특성과 성향을 고려한 개별화된 전환 지원, 제도적·행정적 개선의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과 관련하여 학부모와 유아특수교사, 초등특수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 관련 경험과 지원요구를 탐색하고 세 집단의 요구를 모두 아울러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is a pivotal period in a child's life, marked by acquiring fundamental academic skills and cultivating social abilities. Howev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ten face various challenges in forming peer relationships, engaging in learning and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during this transitio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encounter difficulties in processes such as information gathering and school-type selection. Similarly, teachers educa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ce challenges due to the lack of legal frameworks and support systems for the transition. Since the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is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link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support for the transitio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ollect parents' opinions because families experience a lot of stress and difficulties during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lthough existing studies have separately examined the challenges faced by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collectiv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in the three groups is lacking. This study aims to fill this gap by delving into the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parent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to the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5 participants, including parents of children about to enter elementary school,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mainstream elementary schools,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s,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school elementary teachers, the study identifies six major themes and 23 sub-themes. These themes encompass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actors influencing school type decisions, challenges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preparation and support for the transition, necessary skills for a successful transition, and specific support requirement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four aspects: establishing an official window for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obtain information on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opening pract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parents,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pporting individualization trans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impr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parent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trans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ed comprehensive and specific support measures with the needs of all three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