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 Download: 0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Career and Job Curriculum on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High-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Authors
이정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특수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장애학생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더구나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고등학교에서는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에 필요한 능력과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는 진로교육보다는 직업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히는 직업교육에 더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이는 특수교육의 주축인 학생과 교사도 현재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따라서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은 장애학생의 현재와 미래의 성공적인 삶을 위해서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이 모두 고려되는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교육과정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의 부모는 자녀를 위한 전환교육에서 사회성 및 대인관계와 관련한 전환교육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역량이 진로직업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라고 밝힌 바와 맥을 같이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기 전환을 목전에 둔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성 기술과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핵심 개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애학생의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12명이다.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들이 모두 포함되었으며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지체장애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매회기에 주제와 연관된 사회성 기술 1~2개를 선정하고 사회성 기술의 정의와 관련 키워드 3개를 제시하여 개념을 설명하며 사회성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상황 속에서 긍정 사례와 부정 사례를 모델링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학생들이 직접 대본을 작성하여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사회성 기술을 적용하도록 역할극 활동을 구성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사회성과 대인관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인 협동, 자기주장, 자아통제 영역 모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변화척도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증가하였고 음의 순위보다 양의 순위의 합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직업준비검사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인 자존감, 직업의식, 사회기술 영역 모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직업 준비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및 직업 준비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을 증거기반의 실제인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우리나라 고등학교 특수학급 현장에 맞는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회성 향상과 직업 준비도 향상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One of the essential purposes of speci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come independent members of our society. Moreover, the importanc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o strengthen the abilities and skills necessary for a successful adult transition is emphasized more in high schools, where students should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the community. Howeve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o far has focused more on vocational education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vocational life rather than career education, which means that neither students nor teachers, who are the main pillars of special education,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refor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s to operate a systematic and structured curriculum that considers both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successful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w and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st wanted transition education related to social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ir children. This is the same as saying that the most critical competencies in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re career and vocati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skills and core concep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necessar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who are about to transition to adulthood. It provided a career and job curriculum to prepare for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Also, this study developed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high school were all included,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and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ed together.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which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In each session, the definition of social skills(1-2 social skills per session) and three keywords of social skills were presented to explain the concept, and positive and negative cases were shown through modeling in situations where social skills could be applied. Afterward, students wrote their scripts and presented role-play activities to apply appropriate social skills in situations. One Group Pretest-Pos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career and job curriculum, and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 non-parametric test method,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loyment readines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of cooperation, assertiveness, and self-control. Therefore,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career and job curriculu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Second,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scal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 special classroom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career and job curriculum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lso, the sum of the positive ranks was higher than the sum of the negative rank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Third, the total employment readines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career and job curriculum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of self-esteem, work awareness, and social skills. Therefore,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employment read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linked with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kills and employment read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 suitable in high school special classrooms in Korea by linking the career and job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with evidence-based practice and practical social skills teaching programs. In addition, the study has meaning as it verified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job preparation by applying this field-oriented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