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자아존중감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자아존중감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Practice-Oriented Character Strengths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Well-be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rther Education Uni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Authors
신윤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오늘날의 복잡하고 급변하는 세상에서 교육은 단순히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단단한 자아를 형성하여 높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고 높은 삶의 질과 정적인 관련을 보이는 자기결정과 자아존중감 및 안녕감을 향상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장애는 한계와 제한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며 강점과 역량의 맥락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강점 기반의 접근인 성격강점 프로그램은 다양한 성격강점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의 성격강점에 대해 인식하며 활용하는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확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이해, 대표강점 인식, 대표강점 활용 및 주요 성격강점 계발 회기로 구성된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함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자아존중감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에 재학하고 있는 10명의 발달장애 학생들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은 개인 및 여가생활 진로와 직업 수업 시간에 주 2~3회씩 총 1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그리고 모든 회기에는 실천중심을 위한 실천활동과 실천과제가 반영되었다. 중재 실시 이전과 이후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발달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 자아존중감, 안녕감을 측정하였고, 학생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담당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교사보고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에 대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은 프로그램 실시 후 학생 자기보고 및 교사보고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기결정목록 교사보고의 모든 하위영역과 학생 자기보고의 주체적 행동, 행동 통제에 대한 신념 하위영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나 학생 자기보고 의지적 행동 하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실시 후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인 자기유능감과 자기가치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안녕감은 프로그램 실시 후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인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천중심 성격강점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자아존중감 및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강점기반의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성격강점의 인식에서 그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도록 실천활동과 실천과제로 이루어진 실천중심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으며, 발달장애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장애 학생이 스스로 수행 가능한 실천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well-be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rther education unit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actice-oriented character strengths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understanding character strengths, recognizing signature strengths, utilizing signature strengths, and developing major characteristic strength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e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rther education uni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For the intervention, a practice-oriented character strengths program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14 sessions. In addition, practice activities and practical tasks for practice-oriented were reflected in all sessions. To assess post-intervention impacts, measurements of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well-being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ting students. Additionally, homeroom teachers provided reports on students' self-determination. A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and some sub-variables (i.e., agentic action, action-control beliefs) of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The sub-variables of volitional action, on the other hand, showed improvement in scores; however, this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 (i.e., volitional action, agentic action, action-control beliefs) of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teachers for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Second,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 (i.e., self-competence, self-worth) of self-esteem for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Third, the total and sub-variables (i.e., subjec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of well-being of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Therefore, the results confirmed that practice-oriented character strength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etermination, self-esteem, and well-be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rther education uni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aspects. It introduced a strength-based approach of character strengths program tailored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rther education uni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is program emphasized not only the recognition but als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Finally, the program incorporated practical components, including activities and tasks, and presented practical tasks feasible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