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 Download: 0

Association between seafood consumption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 A community-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Title
Association between seafood consumption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 A community-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Other Titles
한국인의 수산물 섭취와 우울중의 상관성 연구 : 8년 추적조사 코호트 자료를 중심으로
Authors
문준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양하
Abstract
Depression is a prevalent mental disorder and is closely linked to increased risk of suicide and mortality. Recently, healthy diet has been recognized as a modifiable lifestyle factor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Seafood is a rich source of various nutrients including omega-3 fatty acids. Thus, seafood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afood consumption and the risk of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during 8 years of follow-up. The present study analyzed 2,564 subjects aged 40-64 years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th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Seafood consumption, including fish, shellfish, and seaweed, was measured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baseline.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ith a total score of 16 or higher at baseline and each follow-up examination.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seafood consumption and depression was examin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 The average intake of seafood was 41.8 g/day (44.4 g/day for men and 38.8 g/day for women). A higher intake of seafood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takes of omega-3 fatty acids,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During a mean follow-up of 6.84 years, a total of 391 incident cases of depression (165 in men and 226 in women) occurred. In men,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seafood consumption and the risk of depression. However, in women, the incidence of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as seafood consumption increased (P = 0.0162). Furthermore, a high seafood consumption was longitudinally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depression (HR: 0.58; 95% CI: 0.35-0.98, P = 0.0409).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seafood consumption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우울증은 전세게적으로 흔한 정신 질환으로, 자살 위험 및 사망률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울증 예방과 관련된 변경 가능한 생활요인으로 건강한 식이 섭취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가 주목을 받고 있다. 어패류와 해조류를 포함하는 수산물에는 오메가-3 지방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우울증 예방에 유익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0-64세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산물 섭취와 우울증의 상관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지역사회기반 (안산·안성) 코호트에 참여한 2,56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8년 추적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산물 섭취량은 기반 조사에서 식품섭취빈도조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우울증은 기반조사와 각 추적조사에서 평가하였으며, 벡 우울척도 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이용하여 총점 63점 중 16점 이상인 경우 우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수산물 섭취량이 많을수록 오메가 3 지방산, 에이코사펜타엔산 (eicosapentaenoic acid, EPA), 그리고 도코사헥사엔산 (docosahexaenoic acid, DHA)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6.84년의 추적 기간동안 총 391건 (남성 165건, 여성 226건)의 우울증이 발생했다. 남성에서는 수산물 섭취 수준에 따른 우울증의 발생률에 유의적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수산물 섭취와 우울증의 발생 간의 유의적인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수산물 섭취 수준에 따라 우울증의 발생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P-value = 0.0162). 더 나아가 수산물 섭취 수준이 가장 높은 여성은 수산물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여성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42% 낮았다 (HR: 0.58, 95% CI: 0.35-0.98, P-value = 0.0403).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인에게서 수산물의 풍부한 섭취는 우울증 예방에 유익한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