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6 Download: 0

발달장애 아동과 학부모, 교사가 협력하는 초등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발달장애 아동과 학부모, 교사가 협력하는 초등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on the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Program in whic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cooperate
Authors
오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발달장애, 초등학교, 전환, 적응 지원, 협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Among the many transitions that humans face as they experience education, entering elementary school can be seen as a big event. Children who enter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new things in various aspects such as learning, self-determination, peer relationships, and class participation. In particula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tering elementary schools make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ll feel burdened and nervous. Therefore, during this period, parents, teachers who guided this child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who will guide this child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should work together to support children's adaptation to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conduct an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program in which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entered the same elementary school and parents,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eachers,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 and elementary school general class teachers cooperate, and to find out the changes that appear in participants through this program. This study included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freshmen in Seoul in 2023, parents of each child,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eachers,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 and elementary school general class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eight months from September 2022 to April 2023.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first program based on a preliminary survey and literature analysis, and established the second plan through expert review and participant opinions. After that,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rocess of cyclically solving the difficult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that appeared whe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elementary school admission adaptation support program consisted of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council’ for adults. In this stud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participants. In other wor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data review to identify chang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teachers and quantitative changes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children’s school preparation, parents’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s’ teacher efficacy pre- and post- scor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through the parallel integrated design of the Tashakkori & Teddlie model, and the problem was solved by complementing them. The researcher qualitatively analyzed chang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by conducting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on field note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review of the recorded video, transcripts during individual interviews, and reviewed data.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nges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school preparation,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to examine the changes of participants arithmet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was analyzed. Sinc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evised after the study began, it was described because it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each participa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o respond to the provided program. Second,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qualitative changes in three aspects: learning ability, social emotional capacity, and adaptive behavior. As a quantitative change,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for school preparation of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more than 10 points,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Third, parents showed qualitative changes in four aspects: relieving anxiety, raising expectations for the future, joy of confirming their children's growth, and promoting spontaneity. As a quantitative change, all three parents' parenting efficacy scale post-test scores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Fourth,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eachers reported qualitative changes in improving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s and expanding their perspective on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 reported qualitative changes in promoting the will to teacher life and recognizing the need for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programs. Elementary general class teachers reported qualitative changes in improving confidence in gui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ming trust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s a quantitative change, thre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 improved their post-test scores compared to the pre-test of teacher efficacy. Two general class teachers improved their post-test scores compared to the pre-test for teacher efficacy, but one had the same pre- and post- test sco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eachers at the same elementary school wher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attend directly supported children, key people surrounding children worked together to support children’s adaptation to elementary school, it provided a model for a cooperative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support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and it support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period from before to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beyond one-time support.;인간이 교육을 경험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여러 번의 전환기 중 초등학교로의 취학은 큰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동은 학습, 자기결정, 또래 관계, 수업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은 아동과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부담감과 긴장을 느끼게 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학부모, 초등학교 입학 전에 이 아동을 지도한 교사, 초등학교 입학 이후에 이 아동을 지도할 교사가 협력하여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초등학교의 신입생인 발달장애 아동 3명과 각 아동을 둘러싼 학부모,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교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협력하는 초등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23학년도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신입생 발달장애 아동 3명과 각 아동의 학부모,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교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약 8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사전 설문조사와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와 참여자 의견을 통해 2차 프로그램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실행 시 나타난 초등학교 적응 관련 어려움을 순환적으로 해결해나간 과정을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입학적응 지원 프로그램은 아동 대상 ‘초등학교 적응 지원 활동’과 성인 대상 ‘초등학교 적응 지원 협의회’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모두 수집하였다. 즉, 참여관찰, 면담, 자료 검토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발달장애 아동, 학부모,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발달장애 아동의 학교준비도, 학부모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교사효능감 사전점수와 사후점수를 측정하여 양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Tashakkori & Teddlie 모형의 병렬적 통합설계를 통해 질적 및 양적 자료 수집 및 분석을 각각 실시하고, 이를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참여관찰과 동영상 녹화본 검토를 통한 필드노트, 개별 면담 전사본, 검토된 자료들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실시하여 발달장애 아동, 학부모, 교사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준비도,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참여자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과 학부모, 교사의 참여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가 시작된 후 프로그램 내용이 수정되었기 때문에 각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한 모습과 제공된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이를 기술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에게는 학습능력, 사회정서역량, 적응행동 3가지 측면에서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양적 변화로서 발달장애 아동 3명의 학교준비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차이는 모두 10점 이상으로 두 검사 간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부모들에게는 불안감 해소, 미래에 대한 기대감 상승, 자녀의 성장을 확인한 기쁨, 자발성 증진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 양적 변화로서 학부모 3명의 양육효능감 척도 사후검사 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하여 모두 향상되었다. 넷째,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교사는 초등학교에 대한 이해 제고와 특수교육에 관한 시야의 확장,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교사 생활에 대한 의지 도모와 초등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는 발달장애 아동 지도에 대한 자신감 향상, 학부모와의 신뢰 관계 형성, 소통의 기회 확대라는 질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양적 변화로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교사 3명과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교사효능감 사전검사에 비하여 사후검사 점수가 향상되었다.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3명 중 2명 또한 교사효능감 사전검사에 비하여 사후점수가 향상되었으나 1명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가 동일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이 초등학교 생활을 하게 될 바로 그 학교의 교사들이 직접 아동을 지원했다는 점, 아동을 둘러싼 핵심 관련인들이 협력하여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지원했다는 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협력적 초등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 일회성 지원을 넘어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입학 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발달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지원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