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5 Download: 0

라반 움직임 법(LMA)을 활용한 무용수업이 청소년기 발레 전공자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라반 움직임 법(LMA)을 활용한 무용수업이 청소년기 발레 전공자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dance class using Laban Movement Analysis (LMA)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ballet major in adolescence
Authors
우도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라반 움직임 법, 에포트, 창의성, 무용 창의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이 감소되는 시기인 14세에서 17세 청소년 중 발레 전공생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LMA) 이론을 활용한 라반 움직임 표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에서 창의성 향상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레를 전공한 청소년기 14-17세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 10명씩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라반 움직임 분석 법(LMA)의 움직임 요소 중 에포트(Effort)중 에포트 인자(공간, 무게, 흐름, 시간)와 두 가지의 에포트 인자가 결합된 에포트 상태(공간­시간, 무게­흐름, 공간­흐름, 무게­시간, 공간­ 무게, 시간­흐름)를 활용하여 무용 수업 지도안을 구성한 후 5주 동안 총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기존의 무용 수업 방법인 바가노바 메소드(Vaganova Method) 법을 활용한 발레 수업을 5주 동안 1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창의성 점수와 하위 요인에 대해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모두 실험 전·후에 Torrance의 창의성(도형)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처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평균값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창의성 평균이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창의성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라반 움직임 법을 활용한 움직임 표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은 창의성이 감소하는 시기인 청소년들의 표현 의욕과 예술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일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현장에서의 활용은 무용 수업을 다양화하여 발레 전공생들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통합적 사고와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 모형 및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This study designed a Laban movement expression program based on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ory, in order to discover its influence on creativity improvement by applying the program to students majoring in ballet curing adolescence between the ages of 14 to 17, a period in which creativity is relatively reduc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ballet-dance major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4 to 17, classifying each 10 student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program based on movement elements of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 EFFORT factor (space, weight, flow, time) and the EFFORT state in which two of the effort factors are combined (space-time, weight-flow, space-flow, weight-time, space-weight, and time-flow) for 5 weeks total of 10 classes, while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ordinary ballet classes based on Vaganova method for 5 weeks total of 10 classes. In order to discover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creativity scores and sub-factors,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y Torrance’s creativity test (shape) for both groups. For data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verage value of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ed in a statistically increased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u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verage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ll subdomains of creativity. 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improvement in all areas of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which were sub-domains of creativity. As shown in the research results above, developing a movement expression program based on Laban movement method and applying it to the field as an educational method will be positive for the improvement of expressive desire and artistry of adolescents, who often experience decrease of creativity.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and application in the field will diversify dance classes and present a specific educational plan based on dance education model that improves integrated thinking and self-expression not only for ballet students but also for general students of other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