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0 Download: 0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전통인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전통인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ing Court Dance on Children's Creativity, Traditional Cognition, and Preferences
Authors
신영선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궁중무용, 전통문화 예술교육, 창의성, 전통인지 및 선호도, 문화예술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는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전통인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A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2반(실험집단 21명, 통제집단 18명)의 유아들이며, 연구도구는 Torrance(1974)가 개발한 Torrance Test Creative Thinking(TTCT)를 기초로 김영채(2010)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유아 창의성 검사 중 도형검사 A형, B형검사도구, 전경화(2001)가 개발하고 백희숙(2006)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23년 5월 2일부터 5월 24일까지 1주에 2회씩, 4주간 총 8회로, 실험집단에는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유치원 정규 예술 수업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유아의 창의성 및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의 각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아의 창의성,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처치 후 사후 검사에서는 창의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창의력 하위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궁중무용을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에 있어 전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궁중무용을 활용한 전통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인지 및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 인지 하위영역에서 ‘의생활’,‘주생활’,‘식생활’,‘문화재’,‘전통예술’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통문화 선호 하위영역에서 ‘의생활’, ‘문화재’, ‘전통놀이’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court dan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ing court dance on children's creativity, traditional awareness, and preferences.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ing court dance on infants' creativity, traditional culture perception and preference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infants aged 5 and 2 (21 experimental groups and 18 comparative groups) of kindergarten A located in A City, and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Kim Young-chae (2010) based on Torrance Test Creative Thinking (TTCT). From May 2 to May 24, 2023,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a total of eight times for four weeks, an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ing court dance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kindergarten regular art classes were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of pre- and post-test scores between groups of creativity,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infant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the preliminary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 creativity, traditional culture perception, and pre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ity in the post-test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which are sub-areas of creativity, indicating that traditional culture and art programs for infants using court d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traditional culture recognition and pre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ub-area of traditional culture recogni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ub-area of traditional culture pref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