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5 Download: 0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Intercultural-Based Art Education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uthors
윤은홍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상호문화주의, 상호문화미술교육, 다문화초등학생, 문화적 민감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상호문화 미술교육에 근거하여 미술수업을 설계하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며 지난 다문화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언급되는 상호문화교육이 미술교육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우리 사회는 다원적이고 역동적인 문화 정체성을 지닌 구성원들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와 정체성을 가진 구성원들이 접촉함에 따라 상호작용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다문화 사회로 나아감에 따라 다문화 구성원이 많아지고 복잡해질수록 다문화 구성원 간, 자국민과 다문화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은 활발해질 것이다. 다문화 사회에서 함께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다문화교육에서 취해온 문화 간 공존을 넘어서서 상호 열린 대화와 소통이 중점인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대한 교육적 접근은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내용을 포함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교육부(2022)는 우리 사회가 교육을 통해 추구해야할 인간상과 핵심역량으로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을 제시함으로써 문화 다양성의 가치와 세계 공동체 구성원, 인류 공통 문화에 대한 문화적 소양 및 감수성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타인을 존중하고 서로 소통하는 민주시민으로써의 자질이 곧 상호문화주의에서 강조하는 상호문화역량을 갖춘 미래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상호문화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미술 교과는 학습자 간 결속감과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타자와의 관계 맺기 및 협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공동체 의식의 형성을 도우며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상생의 가능성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역할을 가진다. 지금까지 상호문화주의의 미술 교육적 접근과 관련한 국내 선행 연구는 이주민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언어교육으로 미술을 활용하거나 심리 치료적으로 접근하여 미술 교과는 소극적인 역할에 그친다. 또는 이주민 문화 이해를 통한 문화 간 공존에 그치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머물러 있는 연구사례가 많으며 본질적으로 미술교과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기반으로 상생을 추구하는 상호문화주의의 내용을 포함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그 정의와 목표를 바탕으로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에서 발생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호문화주의 미술수업을 설계하고자 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들이 공존하는 미래의 다문화 사회를 대비하여 문화 간 적극적인 상생을 추구하는 상호문화주의가 미술교육에서 가지는 역할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에 해당하는 다문화적 배경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긍정적 감정을 개발하는 능력인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2015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상호문화적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연구 대상자에 적합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연구 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B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7명과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P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5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문화적 민감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총 8차시의 상호문화주의 기반 미술수업을 진행하고 문화적 민감성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수업을 마친 후 산출한 양적 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통계처리 하였다. 다섯째, 수업의 효과성을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와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연구 대상자 인터뷰의 질적 자료를 교사의 관찰평가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호문화주의 기반의 미술수업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문화적 민감성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이는 논의에서 언급한 바에 따라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 사전 점수가 이미 높게 측정되었다는 점, 청소년 다문화 인식 척도의 적절성이 부족했다는 점, 다문화가정이라는 특수한 배경을 가진 표본 수의 부족으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는 점으로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문화적 민감성과 그 하위요인의 사후 검사에 있어서 점수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와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연구 대상자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의 분석 결과 수업 이후 학습자의 문화적 민감성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습자가 한국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을 스스로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됨으로써 나와 타인에 대해 존중하고 공감하는 자질을 함양할 수 있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 탐구에서 시작한 미술활동은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예술작품 및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는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미술수업은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 교육이 자국민 위주의 일 방향적인 문화 적응과 통합과 언어 위주의 교육, 다양한 문화의 소극적인 공존 수준에서 그쳤던 한계점에 대한 대안으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교육의 미술 교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도 상호문화주의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미래의 사회 구성원들이 다문화 사회를 대비하여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공통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인재가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s interculturalism and applies it to the design of art lessons, aimed at examining its impact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implication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requently mentioned as an alternative to past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with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s society transitions to a multicultural state. As globalization progresses, our society is witnessing an increase in members with diverse and dynamic cultural identities. Contact among these members, each carrying a unique culture and identity based on diversity, inevitably results in interactions. As we move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these interactions, both among multicultural members and between natives and multicultural members, will intensify. To live in a developing and sustained way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is a need to move beyond the coexistence of cultures in previous multicultural education. Instead, education should now focus on open dialogues and communi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This educational approach to global trends can be seen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which includes multicultural cont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2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literacy and sensitivity to th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members of the global community, and common human cultures. They suggested that an ideal person is one who appreciates and develops human cultur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sophistication and diverse values.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who respects others and communicates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a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future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equipped with intercultural competence emphasized in interculturalism. To realize interculturalism, art subjects play an educational role by promoting a sense of connection and bonding among learners. This is achieved by forming relationships and cooperating with others, encouraging active interactions among members,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overcoming cultural discrepancies, and discovering possibilities of coexistence. Domestic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the educational approach of art education in interculturalism has mostly been passive, focusing on using art for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to adapt to Korean society or approaching it for therapeutic purposes. Furthermore, many studies stay with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at ends with coexistence through understanding immigrant cultur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fundamentally includes content that pursues coexistence based on cultural diversity in art subjec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plore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nd based on their definitions and goals, to design art lessons encompassing content about prejudices and stereotypes arising from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ole of interculturalism, which actively pursues coexistence among diverse cultures and values, in art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future multicultural societies where various cultures and values coexist. The research targe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rt lessons based on interculturalism on cultural sensitivit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ccept cultural differences, and develop positive emotion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we identified the need for art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and analyzed the elements of intercultural content reflected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esigned an art class based on interculturalism suitable for the study participants. Thirdl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y, we conducted a cultural sensitivity test in advance on 12 multicultural family elementary students - 7 from a children's center in the Gangseo district of Seoul and 5 from a children's center in the Guro district. After that, we conducted a total of 8 art classes based on interculturalism and carried out a post-test of cultural sensitivity. Fourthly, the quantitative results obtained after the clas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 21.0 program. Lastly, to further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e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the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of class satisfaction surveys,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practical results and activity records, and participant interviews.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e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shown that art classes based on interculturalis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lthough a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results for cultural sensitivity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 observed an increase in the score on the post-test for cultural sensitivity and its subfactors. The lack of significant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 high pre-test cultural sensitivity scor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inadequacy of the adolescent multicultural awareness scale, and the difficulty of generalizing results due to the lack of a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class satisfaction surveys,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practical results and activity records, and participant interviews, we verified that not only was learners' cultural sensitivity improved after the class, but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could also view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Korean society in a positive light, which fostered respect and empathy for themselves and others. Also, art activities that began with the exploration of personal identity showed the effect of expanding to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interest in artworks and culture.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art classes based on interculturalis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is educationally significant as it explores the potential of using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art subjects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hich has stopped at passive coexistence of various cultures, unidirectional cultur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for citizens, and language-focused education. In the future, we hope that art classes based on interculturalism will be actively conducted, allowing future members of society to become culturally sophisticated individuals who can enjoy and develop humanity's common culture based on understanding cultural skills and diverse values in prepar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