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6 Download: 0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Title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Other Titles
Exploring the Integration and Enhanceme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uthors
안홍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교육, 미술 교육, 중학교 미술 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As society evolves towards an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future, it is confronted by multifaceted challenges characterized by an uncertain and ever-changing landscape. To navigate these intricacies,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the pursuit of sustainable living, with a pivotal role attributed to education in linking individuals with wider societal con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emerges as a vital strategy, fostering growth across both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his necessitate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empowers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o cultivate sustainable values and abilities, comprehend societal issues, and instigate societal transformation through everyday actions. Concurrently, a shift is also evident within art education, reflecting a progressive move towards a deeper connection between art and society. This research is thus grounded in an investigation of the extent to which ESD is integrated within the revised 2015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through interviews with art teachers, to identify practical strategi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utilization of ESD within school art educa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 array of methodologies was employed. This included an explo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D concepts via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ESD, and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14 varieties of revised 2015 middle school art textbooks. More specifically, an exploration was conducted on Art 1 and Art 2 to discern the direction of ESD reflected within them. The research design involv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textbooks, differentiated by their composition, units, and content. The central focu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of each unit, the associated learning activities, and the textbook illustrations project an integrated perspective from the realms of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or if they create connections to sustainability. Structural analysis involves statistical exploration of the overall proportion of ESD inclusion within art textbooks and the reflection of ESD across the experiential, expressive, and appreciative domains of art education. The unit analysis delves into case studies of the unit content, while content analysis proceeds with case studi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illustrative materials. Subsequently, the status of ESD within the school art education sphere is examined, supplemented by interviews with ten practicing art teachers. The interviews, based on pre-distributed guidelines, delve into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with ES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ies, and their viewpoints on the future direction of ESD within the art curriculum. The culmination of this research integrates the findings from the art textbook analysis and teacher interviews to propose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and enhancement of ESD within school art education.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the principl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a balanced manner within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of art textbooks. The extent of ESD representation in the overall structure and the specific content of the 28 volumes, constituting 14 categori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demonstrated substantial variations across different publishers. Nonetheless, it was commonly observed that the experiential domain was the primary area of ESD incorporation in these textbooks, while the expressive domain had a relatively smaller representation, and the appreciative domain was markedly underrepresen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diverse learning strategies for the chapters or activities in art textbooks that reflect sustainable development. The textbooks should aim to broaden the learners' perspectives by integrating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that foster student-led participation, such as discussions, projects, and real-life linked programs. For example, the inclusion of diverse visual resources, such as illustrative materials that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is also crucial. These elements ought to be taken into account during the improvement, development, and review processes of art textbooks. Thirdly, individual units in art textbooks should be dedicated to ESD. The current structure of ESD in art textbooks does not adequately reflect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making it suboptimal for effective educational utilization. However, through an in-depth textbook analysi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a variety of topic elements can be utilized to structure ESD in art education, by leveraging units,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Given that the revised 2022 curriculum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ESD as a means to prepare for an uncertain future, it is crucial to ensure this is reflected in the forthcoming art textbook revisions. Lastly, in order to smoothly implement ESD in school 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awarenes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liferat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encourage classroom research collaborations among teachers, and promote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Whil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SD, they have reported challenges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within the classroom setting. Some educators have managed to augment educational efficacy through the integration of ESD's comprehensive perspective into a converged instructional approach. Therefore, to ensure effective ESD implementation, it is vital to increase teachers' consciousness and interest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distributing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foster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sharing and collaboration among educators, will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to activate ESD in the classroo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evident that the revised 2015 art textbooks contain a wealth of thematic elements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dicating a promising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With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emphasizing sustainability-focused education, it becomes crucial to integrate ESD as distinct, standalone units in future art textbooks. Current educators suggest that the integration of meaningful and engaging ESD content in art textbooks could facilitate its application in everyday school settings. Therefore, the research proposes a balanced incorporation of ESD across the textbook structure, leading to an organic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mprovements to the design of activities within the textbooks, which encourage varied pedagogical method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driven discussions, project-based learning, and real-life contextualized programs. Moreover, for ESD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school art education, a shift in teachers' perceptions is needed, which can be facilitated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e availability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collaborative instructional research among teachers, and cross-disciplinary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is also essential. Implementing these measures will enable an effective and efficient delivery of ESD within art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explor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art education and ESD, as well as in the trajectory it establishes for future educational methodologies. The study's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insights gleaned from interviews with current art teachers prove instrumental in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2022 art textbook revision, thus catalyzing the activation of ESD in school environm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vised art textbooks will reflect the principles of ESD, leading to further research in art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ostering a culture of sustainability in education.;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로 나아갈수록 불확실하고 변화무쌍한 양상을 보여준다. 다가올 미래의 복잡다단한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인류는 지속가능한 삶을 추구하고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과 사회를 잇는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교육은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이에 개인과 사회가 지속가능한 가치와 역량을 개발하며 사회 속 문제를 인식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행위로써 사회 변화를 끌어내게 하는 교육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필요하다. 미술 교육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미술과 사회를 연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를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 지속가능발전교육 반영 정도를 분석하고, 미술 교사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질적 활용을 위한 방안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미술 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미술①, ②로 구성된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4종을 분석하여 미술 교과서 내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은 미술 교과서를 구성, 단원, 내용으로 구분하여 기준 삼았는데, 이때 교과서 내에 반영된 단원의 내용과 학습활동, 도판이 지속가능발전의 네 가지 영역(사회·경제·환경·문화)을 통합적 관점으로 다루는 여부와 지속가능성으로 연결되는 여부를 중점적으로 파악했다. 구성분석에서는 미술 교과서 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전체 반영 비율과 미술 교과서 내용 체계인 체험·표현·감상 영역별 반영 비율에 대해 통계분석 하였고, 단원분석에서는 단원의 내용을 파악해 사례분석 하였으며 내용분석에서는 학습활동과 도판 자료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이어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안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현직 미술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사전에 배포한 면담지침서를 토대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미술 교사의 인식과 교육 경험, 미술 교과에서의 반영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탐색하였다. 이후 미술 교과서 분석 결과와 미술 교사 면담을 종합하여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질적 활용을 위한 방안과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교과서의 내용 체계별 구성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지향점이 균형 있게 드러날 수 있도록 짜임새 있는 반영이 필요하다. 14종의 출판사로 구성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 ①, ② 총 28권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전체 구성비 및 내용 체계별 구성비는 출판사마다 매우 큰 편차를 보였다. 하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반영은 체험영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표현영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감상영역에서의 반영률은 매우 부족함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 교과서 내 지속가능발전이 반영된 단원이나 활동에서 다양한 학습 방식의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는 협동학습을 통한 토론이나 프로젝트, 실생활 연계 프로그램 등을 반영해 학습자들의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도판 자료 같은 경우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만한 시각 자료를 다양하게 반영하는 것 또한 요구된다. 이러한 부분들은 미술 교과서 개선 시 반영하여야 하며 개발 및 검토 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미술 교과서에 개별 단원으로 반영시켜야 한다. 현재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을 염두에 두고 반영한 것이 아니므로 그 구성이 교육적 활용에 있어 유용하지 않다. 하지만 교과서 분석에서 살펴본 단원, 활동, 도판들을 통해 미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구성하는 데 쓰일 수 있는 주제 요소들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앞으로 닥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를 언급한 만큼 개정될 미술 교과서에서도 이를 반영해야 한다. 넷째,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연수를 통한 교사의 인식 변화와 교수·학습자료의 보급, 교사 간 수업 연구, 타 교과와의 융합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수업으로의 활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토로하였다. 한편 일부 교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적인 관점을 적용한 융합수업으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경험하였으며, 이와 같은 원활한 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과 관심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교원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과 교사 간의 수업 공유를 통한 교육적인 교류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2015 개정 미술 교과서 내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주제적 요소가 다수 있으므로 향후 발전의 가능성이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비한 교육을 언급하였음에 따라 개정될 미술 교과서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독립적인 개별 단원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현직 교사들은 역시 미술 교과서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이 유의미하고 흥미롭게 반영된다면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출했다. 따라서 미술 교과서 내용 체계별 전반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균형 잡힌 구성과 교과서 내의 활동을 구성함에 있어 협동학습을 통한 토론이나 프로젝트, 실생활 연계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학습 방식을 연구하여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레 습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구된다.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연수를 통한 교사의 인식 변화와 교수·학습자료의 보급, 교사 간 수업 연구, 타 교과와의 융합 역시 필요하다. 이외에도 분석 결과 드러난 요구를 반영하여 미술 교과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결성 및 교육적 방향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미술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분석과 현직 미술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와 2022 개정 미술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개정될 미술 교과서 내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반영되어 미술 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