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 Download: 0

미술과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한 중등교사의 인식 연구

Title
미술과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한 중등교사의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condary Fine Arts Teachers to Revitalize Process-Oriented Assessment
Authors
송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과, 과정중심 평가, 중등교사 인식, 미술과 과정중심 평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인
Abstract
Contemporary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t philosophy, places emphasis on the re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shift from outcome-focused evaluations, which mainly consider only the results of learning, to process-oriented evaluations that comprehensively assess learners' thoughts,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Through process-oriented evaluations, learners can develop by reviewing and supplementing their learning process through interactions with teachers and peers, while teacher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achievement level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ocess-oriented evaluation, first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emphasized as a crucial evaluation metho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ggesting that customized lessons and evaluations for individual learners will become commonplace. However, despite continuous discussions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its implementation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re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art teachers' perceptions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explored practical measures to activate it. A survey was conducted on 53 secondary art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with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IBM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6.0. The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were organized, memos created, classified, interpreted, presented, and visualized using Creswell's six-step analysis technique (2010). Subsequent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more secondary art teache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all participants recognized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necessary tool for learners but not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 its actual implementation, citing "lack of time" and "lack of teachers" as the biggest challenges. The teachers acknowledged that process-oriented evaluation promotes growth in both teachers and students. However, concrete improvements are needed to address ambiguity in grading criteria and prepare for student participation-centric evalu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al issues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among secondary art teachers, suggesting the following measures for activation: expanding training related to process-oriented evaluation, improving students' and parents' understanding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producing guides or worksheets related to process-oriented evaluation, preparing for student participation-centric evaluation, and conducting various studies related to process-oriented evaluation. This study hopes that process-oriented evaluation will be universally adopted in a futur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society, and that art education will actively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rners.;현대 교육은 구성주의적 철학에 기반을 두고 학습 과정을 통한 지식의 재구성을 중점에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배제하고 결과만을 주목하던 결과중심 평가에서는 점차로 학습자들의 생각과 학습 과정, 그리고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 평가로 변화하였다. 과정중심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은 교사 및 또래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안에서 자신의 학습 과정을 점검하고 보완하여 발전해나갈 수 있고, 교사는 학습자들의 학습 목표 도달 정도와 개별 특성을 분석하고 개별 학습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파악하여 교수·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도 중요한 평가 방법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현시대에는 점차 학습자 개개인에 맞춰진 수업과 평가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과정중심 평가에 관한 꾸준한 언급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의 미술과 과정중심 평가의 연구와 시행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등 미술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과정중심 평가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과정중심 평가를 적용한 경험이 있는 53명의 중등 미술 교사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설문 종료 후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되었고,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을 채택하였다. 개방형 문항의 경우 크레스웰(Creswell, 2010)이 개발한 6단계에 따라 자료 정리, 메모, 분류, 해석, 제시와 시각화를 통해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후 6명의 중등 미술 교사를 추가로 선정하여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인뎁스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뎁스 인터뷰의 경우 Wolcott(1994)의 기술, 분석, 해석의 구조를 따랐으며, 질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첫째, 연구 참여자는 모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해‘학습자를 위해 필요한 평가도구’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를 시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으며, 그중‘시간 부족’ 또는 ‘부족한 교사의 수’를 가장 많이 답하였다. 이는 이전에 진행된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과정중심 평가의 문제점과 일치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남아있는 큰 문제점 중 한 가지이다. 둘째, 중등 미술 교사들은 과정중심 평가의 효과로 ‘교사와 학생의 성장’을 언급하였다. 과정중심 평가를 시행하는 과정 내에서 학습자들은 단순히 과정을 기록하는 것으로 마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강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부족한 부분을 고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평가 전문성 등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중등 미술 교사의 인식과 현실적인 측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 의 확대가 필요하다. 과정중심 평가의 개념이나 방법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연수보다는 미술 교육능력, 평가능력, 교육과정 이해력 등, 과정중심 평가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향상하는 연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과정중심 평가의 진행에 필요한 역량을 증진하고,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서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변화하는 평가 패러다임을 학부모와 학생들이 올바르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 관련 가이드 혹은 워크시트(worksheet)의 제작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과정중심 평가의 진행에 있어 채점 기준의 모호함이 활성화의 주요 장애물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생 참여 중심 평가’ 준비가 요구된다. 현재 진행 중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새롭게 개정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속 명시되어 있는 ‘학생 참여 중심 평가’ 운영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을 때 학습자들과 함께 평가 기준을 설정하려는 시도나 노력이 점차 필요하게 될 것이다. 교사는 학습자가 평가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학습자가 교사의 평가 외에도 자기평가, 동료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을 반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과정중심 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과정중심 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들은 대부분 시간 부족, 평가 프로그램의 부재 등이며, 이에 따른 개선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과정중심 평가가 학습자들의 자아효능감, 도덕성 등에서도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다양한 정의적 영역과 관련한 과정중심 평가 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대한 기대는 과정중심 평가가 미래의 학습자 중심 교육 사회에서 보편화 되고, 미술 교과가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