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8 Download: 0

한국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Title
한국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rend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Korean Curriculum
Authors
박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South Korea holds a unique multicultural social backgroun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reflected effectively in it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e rise in family membe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such as immigrants, overseas laborers, international marriages, North Korean refugees, etc.,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ir children attending schools. To meet this trend, multicultural education began to be incorporated in policies and curricula since 2006. In reviewing the goal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art curriculum, there is an increasing empha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such as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Consistent research is ongoing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evolving from initial theoretical studies to diverse research areas such as lesson planning, textbook analysis, and program effectiveness verification. A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as increased multicultural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related research will be more vibr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curriculum period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tarting with the 2006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support measures, society began to recognize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nsequently,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nsidered introduced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is,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schools started from 2008, leading to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rom 2008 to 2022. Also, there was a ne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schools from the tim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A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research conducted at the middle school level among preschool and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how it is linked with the curriculu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as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elements, leading to a need to derive research directions linking the new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schools. The proces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During this time, the multicultural elements each revised curriculum ha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Second, the presence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confirmed and data was collected,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announcement timing of the curriculum. A total of 161 piec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ere collected, of which, 46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ies were selected, including 8 academic journals and 38 theses.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KISS) databases. Third, for analyzing the trends in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the abstracts of each paper were transformed into nouns. Two theses published in 2008 that only provided English abstrac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Furthermore, since a comparison of the revised curriculum was required,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the art subjects provided in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as well as the objectives and content system of middle schools, and transformed into nouns. Fourth, the research data transformed into text data was analyzed using the R program to derive word frequency, network analysis between words, and words with uniqueness (TF-IDF) by inversely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s in the literature. Fifth, the main words derived from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over time and the main words derived from each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the trend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Summarizing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nd the curriculum is as follows. First, it is observed that research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2008. Second, out of the total 161 pieces, 46 are targeted at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28.5%. Third, both the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showed 'art', 'culture', and 'understanding' as highly important. Fourth,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based on art, culture, understanding, and curriculum showed that studies focusing on teachers and students were the main theme in 2008-2009, teaching methods and plans in 2010-2015, and new main words such as world, communication, and region appeared in 2016-2022. Fifth, each time the curriculum was revised, major keywords such as self, leadership,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world appeared based on expression, art, culture, and understanding. Sixth, there were few overlapping words in the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excluding art, culture, and understanding words. There were none from 2010 to 2015, and between 2016 and 2022,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words 'attitude' and 'world' was high, just lik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Research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art education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but it appears that they have been decreasing since 2015-2022. However,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papers is not significant, and the variability in research targeting middle schools is not significant,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research is becoming inactive. Analysis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content reveals that the curriculum presents new key words such as creativity, autonomy, world, communication, media, and field, based on the basic qualities of art such as art, cultur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ese key words suggest that the art subject is not merely stopping at expression, but expanding to communication with global citizens, various media, and fields. This corresponds with the goal and trend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goes beyond social community competence from a global perspective, aiming to foster the ability to solve common global problems. To elaborate 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comparing trend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nd curriculum content, they are as follow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share basic art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rt, culture, and understanding. Through understanding culture, it's possible to nurtur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learn the concept of art. Art, culture, and understanding can be seen as basic learning elements of the art subject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However, the receptivity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o the key issues of each revised curriculum appears to be low.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program development, such as introducing community competencies, visual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and convergence, which are the main issu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is expected to help activat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독특한 다문화사회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부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이주민, 해외 노동 인력, 국제결혼, 북한이탈주민 등의 다양한 문화 배경을 가지고 있는 가족 구성원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의 자녀들은 학교 현장에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이 흐름에 맞추어 다문화 교육은 정책과 교육과정에서 2006년 이후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미술 교과도 교과 목표와 내용 체계를 살펴보면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소통 등의 다문화 교육적 요소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초반 도입 당시에 주가 되었던 이론적 연구에서 출발하여 수업 방안, 교과서 분석, 프로그램 효과 검증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적 요소가 더 늘어났기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시기별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다문화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06 다문화 가정 교육지원 대책을 시작으로 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다문화교육이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이 도입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여 2008년부터 2022년까지의 다문화 미술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공표된 시점에서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할 필요성을 보았다. 유아와 초·중·고등학생 대상 중 중학교급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 미술교육 요소가 대폭 상승하였기에 학교 현장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과 다문화 미술교육이 연계될 연구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 정책을 살펴보았다. 이 때 각 개정 교육과정 별로 가지고 있는 다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육과정의 공표 시점을 바탕으로 3개의 시기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다문화 미술교육의 수는 총 161편이었으며 이중 중학교급과 관련된 연구는 학술지 8건과 학위논문 38편으로 총 46건으로 추려졌다. 이 자료는 한국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정보(KIS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되었다. 셋째, 수집된 중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각 논문의 한글 초록을 명사로 자료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2008년도에 발행된 학위논문 2건이 영문 논문 초록만을 제공하여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가 필요하므로 교육과정에서 제공하는 미술 과목의 성격과 목표, 중학교 목표와 내용 체계를 모아 명사로 자료화 시켰다. 넷째, 명사화 시켜 텍스트데이터가 된 연구자료들을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어의 출현 빈도수, 단어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연결중심성 도출, 문헌 간의 출현 빈도수를 역 계산해 특이성이 있는 단어(TF-IDF)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시기별 도출된 중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의 주요 단어와 교육과정별 도출된 주요 단어를 비교하여 교육과정의 영향을 비교하여 동향을 파악하였다. 중학교의 다문화 미술교육과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이후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그중 중학생 대상의 연구자료 수는 전체 161편 중 46건이며 약 28.5%의 비율을 보인다. 셋째, 교육과정과 중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은 동일하게 ‘미술’,‘문화’,‘이해’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의 다문화 미술교육은 미술, 문화, 이해, 교육과정을 토대로 2008-2009년에는 교사와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연구가 주가 되었으며, 2010-2015년에는 수업 방법 및 방안, 2016-2022년에는 세계, 소통, 지역 등의 새로운 주요 단어가 발생하였다. 다섯째, 교육과정은 표현, 미술, 문화, 이해를 토대로 개정될 때마다 자기, 주도, 창의, 소통, 세계 등의 주요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여섯째, 교육과정과 중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은 앞의 미술, 문화, 이해 단어를 제외하고는 겹치는 단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2010-2015년에는 전무하며, 2016-2022년에는 ‘태도’,‘세계’의 단어의 중요도가 다문화 미술교육과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중요도가 높음을 발견하였다. 미술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연구는 꾸준히 되고 있으나 2015-2022년부터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줄어드는 논문의 편수는 격차가 크지 않고 중학교 대상의 연구는 연도별 편차가 크지 않기에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가 비활성화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교육과정의 내용변화 분석으로는 교육과정은 미술, 문화, 이해, 표현 등의 미술의 기본적 소양을 토대로 창의, 자주, 세계, 소통, 매체, 분야 등의 새로운 주요 키워드가 나타났다. 이 주요 단어의 키워드는 미술 과목이 단순히 표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시민과 소통, 다양한 매체와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는 다문화 미술교육이 사회 공동체 역량을 넘어 글로벌적 관점에서 지구 공동의 문제 해결 능력함양을 목표로 함과 흐름을 같이한다. 중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 동향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한 연구에서 내린 결론에 관해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 미술교육과 교육과정은 미술, 문화, 이해의 측면에서 미술의 기본적 소양을 같이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 감수성을 키울 수도 있고 미술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다. 미술, 문화, 이해는 미술 과목과 다문화 미술교육의 기초적 학습 요소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각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이 되는 키워드들에 대한 다문화 미술교육의 수용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인 공동체 역량, 시각적 소통역량, 창의·융합 등을 다문화 미술교육에도 도입하여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