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1 Download: 0

게히건(G.Geahigan)의 비평적 탐구모형을 활용한 고등학교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 연구

Title
게히건(G.Geahigan)의 비평적 탐구모형을 활용한 고등학교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eminist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Education in High School Utilizing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Authors
김태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In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postmodernism's emphasis on individual positionality and diversit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towards addressing the human rights of oppressed groups. This includes confronting challenges like gender and racial discrimination, violence against the vulnerable, and animosity towards sexual minorities. In this context, feminism, often seen as an offshoot of postmodernism, not only tackles traditional gender-based discrimination but also acknowledges the nuanced power dynamics within women's experiences, thereby giving voice to previously overlooked minority issues. Contemporary feminist pedagogical practices, therefore, extend beyond focusing on women's issues, to inclusively considering those who are marginalized in society. Such practices are noteworthy for their potential to cultivate a shared value system that accommodates 'others' without preconceived biases or distortions, ultimately contributing to more inclusive communities. Thus, 'feminist education,' which encourages understanding of women and minorities, oppressive and unequal relationships, and critical thinking about societal issues, is seen a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adolescence, a period of shaping socio-cultural gender significance and self-identity.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lessons can contribute to nurtu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necessary to interpret and evaluate societal gender bias and power dynamics prevalent in society. Feminist art intricately embodies personal experiences and problems of the epochal and social context, necessitating a layered interpretation by the viewer. To enable adolescents to effectively appreciate and critique feminist art pieces, suitable teaching methods are essential. In this respect, the studyer perceived G. Geahigan's 'Critical Inquiry,' which demands active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from students during the course of instruction, as a beneficial teaching method. Critical Inquiry is a deeper activity allowing students to explore and discover artworks through various investigative activitie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 artworks' presenta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introspect and verify, nurturing their autonomous interpretation skills regarding the diverse cultural implications and values within an artwork. The model of Critical Inquiry is useful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methodology as it allows students to think deeply and argue subje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critiquing feminist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 feminist perspective appreciation and critique lesson utilizing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through actual classes.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it exerts on high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gender sensitivity, and personal identity. The progression and conten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embarked on a theoretical examination, analyzing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feminist art,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and learners' skills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We also dissected cases of feminist art through the lens of literary resources to establish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Second, building upon these theoretical deliberations and analyses, we crafted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educational ai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or feminist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classes, utilizing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Thir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our research, we conducted six sessions with a single group composed of 11 female first-year students at S High School in Gwangjin-gu, Seoul. The 'Abbreviated Korean Gender Equality Attitude Test for Adolescents (KGES-A)', develop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2), was employed to measure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participants. Fourt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essions, we statistically processed pre and post-class survey data on gender equality awareness, utiliz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rogram. Class satisfaction was gaug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in percentages (%). A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performed, examining learners' output, activity sheets, self and peer evaluation forms,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s gathered throughout the classes.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education using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was confirmed to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class satisfaction surveys, it was discernible that students gained the ability to interpret artwo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broadened their viewpoints, and accurately grasped methods of critique. Second, classes utilizing feminist artwork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gender sensitivity. An analysis of the adolescen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st showed a difference of 0.17 points, from a pre-test score of 3.83 to a post-test score of 4. While this suggests an overall increas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fter the clas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is was also the case for all subdomain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Despite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likely due to the initially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tudents, the overall increase in scores confirms the influence of feminist art-based classes on high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ird, classes incorporating feminist art were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cultivating students' identity. Analyzing class outputs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s, it was apparent from students' responses that they learned previously unknown aspects about feminism and started to consider various societal issues due to the classes. Also, through the class outputs, it was evident that students choosing themes of decentralization were more effective in introspection about themselves and in exploring issues in society. This suggests that comprehensive topics that handle various identities,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ssues are more effective in forming teenagers' self-identit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when used as a strategy for critique guidance, has positively impact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Furthermore, incorporating feminist art as a subject matter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education has been found to be conducive to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ity and the fostering of individual identity.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as it investigates the impact and verifies the efficacy of implementing feminist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lessons using G. Geahigan's model of critical inquiry. Given the contemporary societal need for a community centered on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feminist art appreciation and critique classes will contribute to future advancements in art education research.;현대사회는 개별 인간의 상대적인 위치와 다양성에 주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오늘날에는 성차별, 인종차별, 성소수자 혐오, 빈부격차에 따른 차별, 약자에 대한 폭력 등과 같은 피억압자들의 인권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는 페미니즘은 이전의 성별 권력관계에 따른 여성 차별의 문제에서 더 나아가 여성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중층적인 권력 차이에 대한 문제로 사고를 전환하며 그동안 가시화되지 않았던 소수자들의 문제를 부각한다. 오늘날 페미니즘의 교육적인 실천들은 이처럼 여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내에서 소외된 자들로 시야를 확장하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로 소수자 집단에 대한 왜곡된 인식 없이 타자에 대한 올바른 수용을 할 수 있는 공동체적인 가치관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사회문화적인 성별의 의미와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청소년기에 여성과 소수자, 억압과 불평등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회문제를 비판할 수 있도록 하는 ‘페미니즘 교육’은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성차별과 권력관계의 문제를 해석,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페미니즘 미술은 개인적 경험과 시대·사회적 맥락의 문제가 복잡하게 내포되어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상자의 다층적인 해석을 요구한다. 따라서 비평 활동이 아직 익숙하지 않은 청소년들이 비평 과정에서 복잡한 사고 과정이 요구되는 페미니즘 미술 작품을 효과적으로 감상하고 비평하기 위해 적절한 교수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자는 수업 과정에서 학생의 능동적인 감상과 해석 능력을 요구하는 게히건(Geahigan)의 ‘비평적 탐구(critical inquiry)’를 미술 감상 및 비평 수업에 유용한 교수 방법으로 보았다. 비평적 탐구는 학생들이 작품의 제시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작품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보다 심화된 활동으로, 학생이 스스로 고찰하고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작품 내면의 다양한 문화적 함의와 가치에 대한 자율적인 해석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이처럼 비평적 탐구모형은 학습자가 페미니즘 미술의 비평 과정에서 깊게 사고하고 주체적으로 논술할 수 있도록 하므로 교육의 방법 면에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모형을 활용한 페미니즘 관점의 감상 및 비평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젠더 감수성, 개인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 수업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 미술,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모형, 학습자의 미술 감상 및 비평능력 등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며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페미니즘 미술에 관한 문헌을 통해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한 페미니즘 미술 도판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Geahigan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적용한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수업도구,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S고등학교의 1학년으로 구성된 여학생 11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6차시의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젠더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여성개발원(2002)에서 개발한 ‘축약형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KGES-A)’를 활용하였다. 넷째,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에서 수집된 사전ㆍ사후 설문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며, 수업만족도 조사에 대한 측정은 백분율(%)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업 과정에서 진행된 학습자의 결과물, 활동지, 자기 및 동료 평가지, 수업만족도 조사를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Geahigan의 비평적 탐구 모형을 활용한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답변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할 수 있게 되었고 작품을 보는 시야가 넓어졌으며 비평의 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젠더감수성 함양에 페미니즘 미술 작품을 활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약형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KGES-A)를 분석한 결과, 사전 3.83점에서 사후 4점으로 0.17의 차이를 보여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양성평등의식이 전체적으로 상승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양성평등의식의 모든 하위영역들 또한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존에 양성평등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페미니즘 미술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페미니즘 미술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정체성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결과물과 수업 만족도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답변을 통해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페미니즘에 대해 몰랐던 점을 알게 되었으며 수업을 계기로 다양한 사회의 이슈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의 결과물을 통해 탈 중심화의 주제를 선택한 학생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과 현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탐구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정체성과 사회적 편견, 차별의 문제를 다룬 포괄적인 주제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비평지도 방안으로써 Geahigan의 비평적 탐구 모형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미술 감상 및 비평의 내용으로 페미니즘 미술을 활용한 교육은 젠더 감수성 향상과 개인의 정체성 함양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Geahigan의 비평적 탐구모형을 활용한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수업을 통해 그 영향을 살펴보고, 효과성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인정의 공동체적 가치관을 필요로 하는 오늘날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수업이 미술교육 현장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