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2 Download: 0

포용적 미술관의 장애·비장애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포용적 미술관의 장애·비장애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mo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Disabled / Non-Disabled of the Inclusive Museum
Authors
김서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포용적 미술관, 포용적 가치, 미술관 교육, 통합교육, 사회적 포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주연
Abstract
Today, museums are expanding their role as public social institutions with close relations with society. Along with these changes,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considering the issues of diversity, equity, accessibility, and inclusion, and the concept of an ‘inclusive museum’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hat allows everyone from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locals and foreigners, children to the elderly to participate. An inclusive museum is a museum that aims for diversity and equity, accessibility, and inclusion. In order to move toward such an inclusive museum, many attempts and efforts for inclusion and integration are needed in terms of unique functions of the museum, such as managing collections, planning and researching exhibitions, and operating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Along with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o pursu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mbrace everyone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especially in terms of education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e disabled people among other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at integrated education in which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articipate together without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in an inclusive museum for both can be an alternative, and seeks practical measures to revitalize the integrated education of museum. The research problem se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s to first check the significance of inclusive museum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m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econdly, to find ways to revitalize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in museums in the future. To this end, cases designed for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to participate together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mong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in local and global museum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global museums operated separate accessibility programs such as multi-sensory tours and sign language commentary tours to allow disabled and non-disabled visitors to have artistic experience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Although local museums have provided opportunities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together to enjoy works and art through various sens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mall-scale programs are temporarily in operation and are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of integrated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useum educators who planned the local museum program and education experts for the disabled with integrated education experience 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iel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examined ways to revitalize the museum's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Participants in the study said that planning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museum was a practice to move toward a museum for all. 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an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integrated education in the museum, it provided consideration and support such as providing professors with a substantial majority, pre-understanding education for smooth interaction, forming equal attitudes between and outside members. Furthermore, in order for integrated education to be more active and expanded in museum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other departments other than the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 change the perception of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and secure a budget to prepare an environment where integrated education is poss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revitalizing integrated education that embraces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together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alizing inclusive values in inclusive museums.;오늘날 미술관은 공공의 사회적 기관으로서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그 역할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미술관은 다양성, 평등, 접근성 및 포용의 문제를 이슈로 고민하고 있으며, 장애와 비장애, 내국인과 외국인,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모든 사람이 소외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미술관’의 개념이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포용적 미술관이란, 다양성 및 형평성, 접근성, 포용성을 지향하는 미술관이다. 이러한 포용적 미술관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소장품을 관리하고, 전시를 기획하고 연구하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의 미술관 고유의 기능 면에서 포용과 통합을 위한 많은 시도와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미술관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추구해야 하며, 특히 사회적 소외계층, 그중에서도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면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두를 위한 포용적 미술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신체적, 물리적, 심리적 장벽 없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교육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며, 미술관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포용적 미술관의 교육 프로그램이 통합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고, 둘째는 향후 미술관에서 장애·비장애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기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 미술관과 국내 미술관에서 진행되었던 교육 프로그램 중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된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해외 미술관들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방문객들을 포용적 환경에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감각 투어 및 수어 해설 투어 등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국내 미술관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참여하여 다양한 감각을 통해 작품 및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으나, 소규모의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아직까지는 통합교육으로 나아가는 시작의 단계에 놓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앞서 분석한 국내 미술관 프로그램을 기획한 미술관 교육 전문가 및 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인 교육 전문가와의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향후 미술관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미래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미술관 내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한 것은 모두를 위한 미술관으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미술관에서 통합교육이 실행되기 위한 환경 마련 및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장애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개별적 요구에 맞는 지원 및 실질적인 다수준 포함 교수 제공,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사전이해교육, 구성원 간 및 외부로부터의 동등한 태도 형성, 보조인력 투입 등의 배려 및 지원들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미술관에서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는데 일조하였다. 나아가 미술관에서 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확장되기 위해서는 교육 담당 부서 외 타 부서와의 협력, 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한 기관 내로부터의 인식 변화, 통합교육이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예산 확보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포용적 미술관에서 포용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함께 포용하는 통합교육을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 및 필요성을 확인시킴과 동시에 나아가 미술관에서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에 대해 탐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