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 Download: 0

미술관 감상교재를 통한 청소년 미술비평 현장 연구

Title
미술관 감상교재를 통한 청소년 미술비평 현장 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Enhancing Adolescent Art Criticism through Museum Appreciation Resources
Authors
임수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주연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비평과 청소년 시기의 비평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비평교육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미술관에서의 청소년 미술비평 교육의 확장 가능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미술관에서 청소년 미술비평 교육이 이루어지는 사례 중 하나인 감상교재의 내용과 활용데 대해서 국내외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미술관 교육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현재 미술관에서의 미술비평과 감상교재 활용의 현황 및 개선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술비평 교육은 감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언어를 매개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경험을 통한 심화된 감상교육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미술작품의 감상을 통해 감상자의 미적 감수성과 비판적 판단력을 향상시키며, 미술작품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 공동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넓어지고 사고력과 반성력이 발달하게 된다. 감상자의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비평 교육은 그 교육적 효과로 학교 교육에서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술비평 교육은 아동 인식 발달단계의 학자들에 의해 청소년 시기에 적절한 교육으로 여겨진다. 이들에 의하면 청소년 시기에는 표현 능력이 떨어지는 반면 비판적인 인식과 환경에 대한 지각 능력이 높아져 사고와 이해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감상 능력과 글쓰기 능력이 신장하는 시기로,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이 이루어지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보았다. 청소년 시기에 질 높은 미술비평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뿐만 아니라 미술관을 활용하여 실제 작품 감상을 통해 미술비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미술관에서의 비평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비평 교육이 어떠한 비중으로 다루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교육에 사용되는 국내외 감상교재를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감상교재 사례들을 분석하였는데 해외 미술관에서는 감상교재의 내용 구성에 있어 미술비평의 요소들이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하여 국내 미술관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미술비평 교육에서 내용의 구성도 평가보다는 기술과 해석에 무게를 두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 미술관의 감상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미술관 에듀케이터 대상의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미술관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미술관의 교육담당자인 에듀케이터는 미술비평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감상교재를 활용한 미술비평 교육을 효과적인 방은으로 모색하고 있었다. 결과에 따르면 비평 교육의 중요성과 감상교재의 활용에 대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미술관의 청소년 감상교재에는 미술비평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묘사, 해석, 평가에 해당되는 비평 요소를 고루 다루고 있지 않았으며 그 연구결과로는 미술비평보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확장과 접근성이 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미술관의 청소년 프로그램에 있어 미술비평 교육은 미술감상에 비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비평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감상 교육을 통해 부분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미술비평 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미술관에서 청소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술관과 학교의 협력이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소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술관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청소년의 미술관 유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다음 단계로 미술비평 교육을 시행하면서 사유의 확장과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교육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미술에 국한하지 않은 타 영역과의 융합적 미술비평 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창의력과 사고력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미술비평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술관과 학교라는 두 기관이 서로의 인식을 변화하고 협력하면서 청소년들의 미적 발달과 감상 교육을 통한 성숙한 인격과 다양한 역량의 개발로 이어져서 우리 사회의 삶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art criticism and criticism education during adolescence, and to identify the potential for expansion of adolescent art criticism education in art galleries, where criticism education can be most effectively implemented.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regarding the contents and applications of appreciation materials, which serve as an example of adolescent art criticism education in art galleries. The study also aims to survey art gallery educators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s in art criticism and appreciation materials used in art galleries. Art criticism education is based on appreciation and can be considered as advanced appreciation education achiev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haring one's thoughts via languag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art works, the aesthetic sensibility and critical judgment of the appreciator are enhanc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an artwork,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oneself, others, and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broadens, and thinking and introspective abilities are develop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art criticism education, which influences the multifaceted and diverse development of the appreciator, are increasingly emphasized in school education. Art criticism education is particularly considered an appropriate education for adolescence by scholars who study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s cognition. According to them, during adolescence, while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may decrease, critical awareness and perceptual abilities towards the environment increase, thereby expanding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is stage is seen as the most suitable for implementing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s it is the period when appreciation abilities and writing skills are enhanced. To implement high-quality art criticism education during adolescence, it is believed that not only schools but also art galleries should be utilized, with art criticism education taking plac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actual artworks. This study has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ppreciation materials used for education to examine the need for criticism education in art galleries and to understand to what extent art criticism education is covered for teenagers.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ca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ppreciation materials. Compared to overseas art galleries, where elements of art criticism are diverse in the composition of appreciation materials, domestic art galleries often place more emphasis on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rather than evaluation in the content of art criticism education. The second point is that while the youth art appreciation materials in art museums include elements of art criticism, they do not evenly cover the critical elements of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thought that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people should be prioritized over art criticism. Therefore, art criticism education in youth programs in art museums is not as active as art appreciation, and even when criticism education takes plac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artially dealt with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apply and activate art criticism education in the field.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learned that the need for youth education in art museums should be recognized and cooperat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programs that can attract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young people need to be developed, and youth inflow to the museum should be prioritized to enable education through the museum. The next step should be to implement art criticism education, leading to expanded thinking and integrative education through connections with various fields. The expectation is that through integrative art criticism education that is not limited to art, the creativity and thinking of adolescents will expand. In order for art criticism education to take place,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needed that will change the perceptions of both museums and schools and lead to the aesthetic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e development of mature personalities and various capacities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and ultimately change the life of our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