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0 Download: 0

20세기 전반 인쇄매체를 통해 본 한국 서양식 속옷[內衣]의 수용과 전개

Title
20세기 전반 인쇄매체를 통해 본 한국 서양식 속옷[內衣]의 수용과 전개
Other Titles
An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Western Underwear Viewed in Printed Med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이 문호를 개방하고 서양식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던 개항 이후부터 1945년까지 한국에 전개된 서양식 속옷[內衣]을 고찰한 것이다. 해당 시기의 사진 및 문헌 자료와 함께 각종 신문 기사와 잡지, 재봉 교과서 등의 인쇄매체를 참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서양식 속옷이 도입된 시기를 알아보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착용된 속옷을 분류하며, 당시의 사회 · 문화적 배경과 함께 변화된 속옷 문화를 파악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속옷의 기원은 현재로서는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서양에서 실용적 목적에서 장식적 개념으로 변화하게 된 시기는 12세기 중반으로 추정된다. 신분의 표시와 함께 당대 미적 요소를 충족하기 위해 착용되었던 보정용 속옷들은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 이후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한 위생적 측면의 속옷으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제 1차 · 2차 세계대전의 영향 아래 합리성과 기능성을 목적으로 하는 속옷으로 변화되었다. 우리나라의 속옷은 조선시대부터 세부적으로 분화되었으며, 복식을 통한 예의 표현과 함께 겉옷의 맵시를 위한 실루엣의 표현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여성의 예장용 속옷이 등장하게 되었다. 더욱이 온돌문화의 영향은 솜을 누빈 옷을 착용하는 인구의 비중이 감소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886년 문호를 개방하며 도입된 근대적 사고는 조선옷 개량의 필요성 및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활동성과 부녀자들의 노동력 절감, 그리고 청결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서양식 속옷이 소개되었다. 당시의 인쇄매체와 함께 백화점이라는 소비 공간은 일반 대중들에게 이러한 서양식 속옷을 수용하고 전파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10년대까지 서양식 속옷은 주로 수입품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완성품 판매를 위한 백화점과 양복점이 설립되었고, 각종 인쇄매체에서는 이와 관련된 광고성 기사가 나타났다.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많은 수의 속옷을 가지고 있어야 했으나, 이를 전부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각종 인쇄매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적인 양재 재봉 관련 지식을 전파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의생활 관련 강습회를 실시하여 가정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1910년대까지는 왕실 및 일부 상류층 남성에 한해서 메리야스 속옷과 양말이 착용되었으며, 이는 1920년대부터 남성과 여성, 아이들 모두에게 널리 착용되는 속옷이 되었다. 메리야스 셔츠는 계절에 따라 소매의 기장을 달리하였으며, 하의 속옷은 사루마다와 짧은 길이의 잠방이를 착용하였다. 1930년대에는 올인원(All-in-one) 형태의 콤비네이션(Combination) 속옷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민소매 형태의 제퍼(Zephyr) 셔츠도 착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남성의 양복바지가 짧아짐에 따라 양말의 색상과 무늬가 다양해졌다. 여성의 속옷은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인쇄매체에 나타나게 된다. 상의 속옷으로는 브래지어(Brassière)와 코르셋(Corset)이 있었으며, 하의 속옷으로는 사루마다와 즈로스[Drawers], 블루머(Bloomer)와 팬티(Panties)가 있었다. 여성의 콤비네이션 속옷은 개량 내복과 함께 슈미즈(Chemise)와 슬립(Slip)이 존재했다. 또한, 1930년대 여성들의 이상적인 미의 기준은 다리, 즉 각선미(脚線美)가 추가되었다. 따라서 여성들은 인조견으로 제작된 다양한 색상의 양말을 착용하였다. 이 외에도 양말 커버가 등장하였고, 양말을 겹쳐 신는 덧양말이 유행하게 되었다. 1910년대에 이르러 학생들에게도 메리야스 속옷의 착용이 권유되었으며, 하의 속옷으로는 사루마다와 잠방이를 착용하였고, 성별에 따라 속바지와 속치마를 착용하였다. 또한 콤비네이션과 롬퍼스는 아이들에게 가장 실용적이었기 때문에 널리 착용된 속옷이었다. 1930년대부터 양말과 스타킹은 여학생들에게 사치의 일종이 되었다. 양말에 대한 사치 통제와 1937년 이후부터 전시체제로 인한 자원 절약을 위해 학교에서는 ‘노-스타킹’의 규율을 새롭게 제정하였다. 속옷은 개인적 위생과 건강에 직결되는 옷이기 때문에 옷감의 선택과 관리 방법이 아주 중요했다. 따라서 속옷의 소재는 계절과 착용자를 고려하여 선별되었으며, 속옷의 관리는 특히 어린 아이들을 위해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이었다. 이 외에도 가정에서는 착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속옷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유행이 지났거나 헌 속옷을 수선하고 재활용하여 착용하기도 하였다. 이상으로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수용된 서양식 속옷에 대한 내용을 다각적 측면에서 분류하고 정리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근대 이후 속옷에 관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study analyzed the Western-style underwear that introduced in South Korea from the port opening of Korea to 1945 when Korea opened the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began to accept Western culture. Print media such as various newspaper articles, magazines, and sewing textbooks were referenced along with photographs and literature materials from the perio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when Western-style underwear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classify underclothes wor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identify the changed underwear culture along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The origin of underclothing is difficult to pinpoint at present, and it is estimated that it was in the mid-12th century when it changed from practical purposes to decorative concepts in the West.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rench Revolution, a functional shaping underwear to meet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time were converted into a sense of hygienic underwear to maintain cleanliness, and later changed into underclothes for rationality and function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World war Ⅰ and Ⅱ. In the case of South Korea, an underwear has been differentiated in detail since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decency through the costumes of the time, complex and diverse women's dress underclothes appeared to achieve the expression of silhouettes for the stylishness of outerwear. Moreover, the influence of the ondol culture led to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wearing quilted clothes. Later, the door was opened in 1886,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thinking, the necessity of improving Joseon clothes and the importance of personal hygiene were emphasized. Accordingly, new Western-style underwear was introduced to achieve activity, women's labor reduction, and cleanliness. Back then, the informational articles recorded in the mass media and the consumption space, department stores played a role in accepting and spreading Western-style underwear to the general public. Moreover, Until the 1910s, Western underwear was largely dependent on imports. Therefore, department stores and tailor shops were established in South Korea to sell ready-made products, and related advertising articles appeared in various print media. In order to maintain hygiene, each household had to have a large number of underwear, but it was not economical to purchase and use it. Therefore, various print media spread basic knowledge related to sewing skills to solve this problem, and in addition, lectures related to clothing habits were hel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roduce underclothes by themselves at home. Until the 1910s, a medias(メリヤス) underwear and socks were worn only by royal and some upper-class men, which have been widely worn by men, women and children since the 1920s. The length of the sleeves of the medias shirt varies according to the season, and people worn a Sarumata(さるまた, サルマダ) and short-length Jambangi[褌衣] as the bottom. In the 1930s, an all-in-one combination underwear was newly introduced, and a sleeveless Zephyr shirt also existed. In the 1930s, men's suit trousers became shorter, and the colour and patterns of socks diversified. Women's underclothes appeared in print media in earnest from the 1930s. Underwear on the top included a brassiere and a corset, and underwear on the bottom included Sarumata, drawers, bloomer, and panties. There were chemise, slip and improved underwear as a women's combination underwear. The ideal standard of beauty for women in the 1930s was legs. Therefore, women wore socks of various colours made of rayon. In addition to this, the trend of socks covers and layers of socks has emerged. By the 1910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wear medias underwear. As for the lower underclothes, Sarumata and Jambangi were worn, also underpants and underskirt were worn according to gender. Besides, combinations and rompers were widely worn because they were most practical underclothing for children. Since the 1930s, socks and stockings have become a kind of luxury for girls. In order to control the luxury of socks and to save resources due to the wartime, since 1937, the school has newly enacted the regulation of ‘No-Stocking’ In addition, an underwear is directly related to personal hygiene and health. so, the choice and management of the underclothes were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fabric of underwear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eason and wearer, and the management of underwear was the most important part,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Besides, at home, differentiated underclothes was made according to the wearer, and the old underclothes were repaired and recycled. As described above, it is meaningful to classify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Western-style underwear accepted in South Korea from various aspect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Korean underwear culture that has changed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on underwear in South Korea after modern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