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 Download: 0

도교사상이 반영된 조선시대 궁중정재 복식을 응용한 창작무용복식디자인 연구

Title
도교사상이 반영된 조선시대 궁중정재 복식을 응용한 창작무용복식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Dvelopment of Korean Creative Dancing Dress Based on the Joseon Court Dancing Costume Influenced by Taoism
Authors
이상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수| 홍나영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무용 복식 중 하나인 궁중정재 복식을 알아보고, 그중 도교사상이 반영된 복식인 백우호령(白羽護領)과 백우엄요(白羽掩腰)를 현대 창작무용 복식으로 디자인한 연구이다. 조선사회에서 도교는 국가 차원의 제도화된 종교활동에는 편입되지 못하였으나 토착문화와 결합하여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는 연회에서 흥을 돋구고 축하를 하기 위해 궁중무용을 선보였는데, 일반적으로 궁중무용을 정재(呈才)라고 부른다. 정재는 중국에서 온 곡조, 악기, 춤을 당악정재(唐樂呈才), 우리나라의 곡조, 악기, 춤을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된다. 궁중정재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 『악학궤범(樂學軌範)』,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忽記)』, 『진찬의궤(進饌儀軌)』, 『진작의궤(進爵儀軌)』, 『진연의궤(進宴儀軌)』 등에 전해진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는 궁중정재에서 사용된 흰색 깃털로 된 옷으로 생김새는 비슷하나 목에 두르는 것은 백우호령, 허리에 두르는 것은 백우엄요라 한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의 재료인 흰 깃털은 예전부터 지혜를 강조하고 신선과 같은 초월적 존재로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는 효명세자가 창제한 춘대옥촉(春臺玉燭), 망선문(望仙門), 헌천화(獻天花), 경풍도(慶豐圖), 만수무(萬壽舞)에서 사용되었다. 이 춤들은 모두 1828년 연경당 진작례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으며, 가사의 내용에 신선(神仙), 천녀(天女)와 같은 도교와 관련된 인물들이 등장한다. 춘대옥촉, 망선문, 헌천화, 경풍도, 만수무는 오늘날에도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를 계속 착용하고 있으며, 그 디자인은 조선시대 의궤에 그려진 복식도를 비교적 충실히 따르고자 한 것이었다. 전통은 과거를 박제화하는 것이 아니고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재창조되는 것도 의미가 있다. 2000년대에 들어 조선시대의 무용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구와 궁중정재의 복식을 전통에 충실하되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공연이 있었다. 또한 한류문화의 확산을 위해 궁중정재복식을 K-pop 아이돌 의상으로 디자인 한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궁중정재 중 도교사상이 반영된 의상을 재해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교사상이 반영되어 학을 이미지화하여 흰 깃털을 사용하여 깃과 허리에 두른 백우호령과 백우엄요를 응용한 창작무용의상을 가상의 창작무용 스토리를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은 공통적으로 백우호령과 백우엄요의 특징적인 색상인 흰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창작무용의 여러 동작들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창작무용 복식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한 무용 복식은 총 6세트, 13점으로 상의 4점, 하의 4점, 드레스 1점, 점프수트 1점, 소매 아이템 3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전통무용 복식을 응용한 창작무용 복식의 발전 방향성 제시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Jeongjae (the royal court music and dance) costume, one of the dance costumes of the Joseon Dynasty, and designs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hich reflect Taoist ideas, as modern creative dance costumes. In Joseon society, Taoism was not incorporated into institutionalized religious activities at the national level, but it was combined with indigenous culture and influenced in various ways. During the Joseon Dynasty, royal dance was performed to entertain and celebrate at banquets, and it is generally called Jeongjae. Jeongjae is divided into Dangakjeongjae for tunes, instruments, and dances from China, and Hyangakjeongjae for Korean tunes, instruments, and dances. Records of royal court are handed down in 『Goryosaakji』, 『Akhakgwebeom』, 『Jeongjaemudoholgi』, 『Jinchanuigwe』, 『Jinjakuigwe』, and 『Jinyeonuigwe』.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used in ChundaeOkchok, Mangseonmun, Heoncheonhwa, Gyeongpungdo, and Mansumu, which were created by Crown Prince Hyomyeong. All of these dances wer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1828 at Yeongyeongdang Jinjakrye, and characters related to Taoism such as Sinseon and Cheonnyeo appear in the lyrics. Chundaeokchok, Mangseonmun, Heoncheonhwa, Gyeongpungdo, and Mansumu continue to wear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even today, and the design was to faithfully follow the Uigw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reative costume design applying the royal court costume was made in the papers of Jae-young Lee(2022), the papers of Mi-hwa Nam(2003), and the works of Jeong Gu-ho. Jae-young Lee (2022) designed costumes for kpop idols, and Mi-hwa Nam(2003) designed dance costumes and daily clothes by reinterpreting Geomgimu costumes in a modern way. Jeong Gu-ho's works presented designs for creative dance.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hich are reflected in Taoist ideas and used white feathers to express cranes, have continued their tradition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esent. However, it is also very meaningful that tradition does not stuffed the past, but is recreated b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ccordingly,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think that their roots are in the royal reconstruction ceremony that reflects the image of Taoism, but it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them in a modern way. Therefore, in this study,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applied, but were newly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creative d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a virtual creative dance scenario was developed and Baekeui horyeong(白羽護領) and Baekeui ummyo(白羽掩腰) were applied, but were newly designed to suit the dance and story of the creative dance. The designed dance costumes were a total of 6 sets and 13 items, with 4 tops, 4 bottoms, 1 dress, 1 jumpsuit, and 3 decorative items. This study will help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costumes applying traditional dance costum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