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2 Download: 0

조선시대부터 1950년대까지의 잠옷에 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부터 1950년대까지의 잠옷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Nightclothes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1950s
Authors
조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Keywords
잠옷, 자리옷, 침의, 침모,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1950년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잠 잘 때 착용하던 복식과 변화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에 잠을 잘 때 입었던 복식에 대해 알아보고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서양의 근대 문물 유입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잠옷의 개념과 형태, 잠옷이 가졌던 사회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왕실 기록과 선비들의 문집을 검토하였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한국을 방문했던 외국인들의 기록을 살펴보았으며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신문과 잡지 및 1950년대 중반 이후 영화 자료를 확인하였다. 문헌에서의 언급 및 사진, 영상 자료의 내용을 통해 당시 잠옷에 대한 인식, 문화적 현상, 잠옷의 종류 및 착용 양상, 소재 등을 파악하였다. 잠옷은 잠자리에 들 때의 옷차림으로 고문헌에는 침의(寢衣)로 기록되었으며 근대기에는 자리옷이라 부르기도 했다. 침의에 대한 논의는 『논어(論語)』의 「향당(鄕黨)」의 내용과 연관되며, 해석에 따라 침의는 이불 혹은 재계용 잠옷, 일상용 잠옷을 뜻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잠옷의 착용이 오늘날과 달리 의례적인 성격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잠을 잘 때 옷을 구별하여 입는다는 개념이 보급되기 시작하자 점차 일상용 잠옷만을 의미하는 단어로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시대의 잠옷에 대해 알아보면, 궁중 그리고 일부 양반층에서는 잠을 잘 때의 복식으로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그 위에 찬바람을 막기 위해 장옷[長衣]을 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머리에는 취침 시의 모자인 침모(寢帽)를 착용하였다. 저고리와 바지에는 명주(明紬), 정주(鼎紬) 등의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솜을 두거나 누비를 하기도 하였을 것으로 본다. 여자들의 야장의(夜長衣)는 초록색이었으며 장원주(壯元紬), 즈우사(走紗, 縐紗), 수화주(水禾紬) 등이 사용되었다. 남자들도 장의를 착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 형태는 소창의(小氅衣)와 같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침모는 보온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소빙기 이후 온돌의 발달로 사용이 줄어든 것으로 추측한다. 잠옷으로 입는 상하의에 솜을 두거나 누비를 하고, 장옷 혹은 소창의를 덧입거나 침모를 쓴다는 등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시대 잠옷 문화는 취침 시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새로운 근대 문물을 먼저 접할 수 있던 지식계층에서부터 잠옷을 일상복과 구분하여 착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서민들보다 수준 높은 의생활을 누렸기에 일본식, 서양식의 이국적인 잠옷을 착용하기도 했다. 일본식 잠옷에는 유카타(浴衣), 단젠(丹前), 도테라(縕袍) 등이, 서양식 잠옷에는 파자마, 나이트드레스, 드레싱가운, 콤비네이션 등이 있었다. 한편, 일반 사람들은 저고리, 바지 혹은 전통 속옷류의 일상복을 잠 잘 때에도 그대로 착용했으나, 위생이 강조되면서 일상복과 잠옷을 구분하여 입을 것이 권유되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적 잠옷, 서양식 잠옷, 일본식 잠옷이 공존하며 남자와 상류층을 중심으로 일본식, 서양식 잠옷이 먼저 수용되고 여자와 서민층 중심으로는 전통적 잠옷이 유지되는 이중구조를 볼 수 있다. 해방 이후, 50년대 중반까지도 서민들에게 잠옷을 따로 구분하여 입는 것은 보편적인 일이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잠옷을 착용하는 것은 여전히 중산층의 문화였으며 잠옷은 일반적으로 파자마를 의미했는데, 파자마는 사치품의 하나였다. 그러나 미국 물건에 대한 선호 증가와 위생 개념의 강조로 파자마가 유행하고 잠옷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며 50년대 후반에는 일반 서민들의 의생활에도 잠옷이 보편화되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잠옷을 착용하기 시작하자 공장에서 대량생산되었고 이전보다 다양한 디자인이 시중에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에 착용된 서양식 잠옷의 종류로는 파자마, 나이트드레스, 드레싱 가운 등이 있었다. 잠옷은 의례복이 아닌 일상복이며 외출복이 아닌 실내복이기에 자료의 부족 등의 이유로 기존의 복식사 연구에서는 소외되었던 주제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잠을 잘 때 착용하던 복식에 대해 탐구함으로서 기존의 학계에 비어있던 부분을 채워 넣어 연구의 풍성함과 다양성에 기여하였음에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디자인 연구의 이론적 토대, 역사 창작물 제작 시 고증을 위한 기초 자료, 수면 산업의 역사 및 변화와 관련한 추후의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부분적인 자료로 연구를 진행한 점, 잠옷으로 착용한 속옷류에 대한 검토가 부족한 점 등의 한계가 있어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lothes worn by Koreans while sleeping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nightclothes.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dresses worn to sleep in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d the concept, form, and social meaning of nightclothes that newly emerg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Independence, the time when modern Western culture was introduced. To this end, roy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literary works of scholars were reviewed and records of foreigners who visited Kore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ere examined. In addition,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check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while several film materials since the mid-1950s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comments in the literature and the contents from pictures and movie clips, perceptions of nightclothes at the time, cultural phenomena, types of nightclothes, wearing pattern, and materials were identified. Nightclothes is what we wear when we go to bed. They were recorded as ‘chimui(寢衣, bedclothes or nightclothes)’ in ancient documents and were called 'Jariot' in modern times. The discussion on chimui in the Joseon Dynasty is related with the content of Hyangdang(鄕黨) in the Analects(論語) of Confucius.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chimui meant a blanket, nightclothes for the ritual ceremony, or nightclothes for everyday us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unlike today, the wearing of nightclothes also had a ceremonial character. Though, as a concept of wearing separated clothes for sleeping began to sprea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nd go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imui gradually settled down as a word meaning nightclothes for everyday use. For nightclothes of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and some aristocrats wore Jeogori(Shirt) and Baji(Pants) as clothing for sleeping and put on Jangot(長衣, Coat or coat style veil) to prevent cold wind. On one's head, they wore a nightcap called Chimmo(寢帽). Plain silk such as Myeongju and Jeongju were used for Jeogori and Baji, and cotton was stuffed or quilted if necessary. Women's Jangot were green and Jangwonju(壯元紬, Silk tabby), Jeuusa(走紗, 縐紗, weft-crepe) and such were used. It seems that men also wore Jangot, and it is presumed that the form was to be Sochangui(小氅衣, coat with narrow sleeves). Chimmo was used to keep warmth, but it is presumed that its use has de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Ondol after the Little Ice Age. Judging from the explanation such as putting cotton or quilting, and wearing a long coat or using a nightcap, it seems that the culture of wearing nightclothes in the Joseon Dynasty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helps maintain body temperature while sleep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gan from intellectuals who were easily accessible to modern civilizations, nightclothes were worn separately from ordinary clothes. As they enjoyed a higher level of clothing habits than ordinary people, they wore Japanese and Western-style exotic nightclothes. Japanese-style nightclothes include Yukata, Tanzen, and Dotera, while Western-style nightclothes include pajamas, nightdresses, dressing gowns, and combinations. On the other hand, ordinary people just wore jeogori, baji, or other traditional underclothes while sleeping. However, as hygiene was emphasized continuously, it was recommended to separate nightclothes from daily clothes. As a result, traditional nightclothes, Japanese nightclothes, and Western nightclothes coexisted. It is shown that, Japanese and Western nightclothes are first accepted by men and upper classes, while traditional nightclothes are maintained by women and ordinary people. It was not common for ordinary people to wear nightclothes separately until the mid-50s, even after the Independence. Wearing nightclothes was still a middle class culture, and nightclothes generally meant pajamas, which were one of the luxury items. However, due to the increased preference for American goods and the emphasis on hygiene, pajamas became popular and common in the late 50s. As much of people began to wear nightclothes, they were mass-produced in factories and diverse designs appeared on the market than before. Types of Western nightclothes worn during this period included pajamas, nightdresses, and dressing gowns. Since nightclothes are not the ceremonial costume but everyday dress, and not the dress for outdoor activity, but for indoor living, they have been neglected in the field of history of dress. This study fills the blanks in the academia by exploring the dress worn by Koreans while sleeping and it contributes to the diversity and richnes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nightclothes using hanbok, producing historical creations for media, and fou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nightclothes and its industr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insufficient records and it lacks the review of underwear worn as nightclothes, follow-up studies that complement these areas are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