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3 Download: 0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Title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Other Titles
Using Musical Mode and Tempo Cues for Musical Emotion Identifica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uthors
이윤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Cochlear Implant, 이하 CI) 아동이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라 구성된 음악에서 정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건청(Normal Hearing, 이하 NH) 아동과 비교함으로써 CI 아동의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편측 또는 양측에 인공와우를 이식받은 만 7세에서 만 13세 사이의 CI 아동 13명과 NH 아동 36명으로 각 아동은 제공된 음악을 듣고, 행복과 슬픔 중 해당 음악에서 느껴지는 정서를 선택하고 해당 정서가 어느 정도로 느껴지는지를 평정하는 과제에 참여하였다. 또한 음악의 조성 및 템포 단서에 근거한 정서 지각은 학령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능력이라는 점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규준 집단으로서 포함된 NH 아동이 NH 성인과 유사하게 정확한 정서 지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실험에 앞서 사전 검증 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NH 성인 20명이 동일한 정서 지각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 자극은 조성과 템포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통해 행복과 슬픔을 의도하는 것으로 확인된 요소를 바탕으로 구성된 총 4마디의 음악으로 피아노로 연주하여 재생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음악은 음악의 모티브와 선율적 윤곽 측면에서는 동일한 특성을 유지하되, 조성 단서(즉, 장조 혹은 단조)와 템포 단서(130 bpm의 빠른 템포와 56 bpm의 느린 템포)를 조정하여 <장조+빠름>, <장조+느림>, <단조+빠름>, <단조+느림>의 4개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각 음악을 듣고 참여 대상자들은 느껴지는 정서와 해당 정서가 지각되는 정도를 –2(매우 슬픔)에서 +2(매우 행복함)로 평정하게 하였고, 각 음악 유형별로 측정된 평정 점수에 있어 음악의 유형과 그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혼합모형 반복측정 분산분석(mixed model of ANOVA)이 실시되었다. 본 실험 전 NH 아동과 NH 성인의 정서 지각 수준을 비교한 결과,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실험에서 CI 아동과 NH 아동의 정서 지각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장조+빠름>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가장 많이 지각하였으며, <단조+느림>의 음악을 가장 슬프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 아동과 NH 아동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CI 아동은 <단조+느림>을 제외한 모든 조건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NH 아동은 장조로 구성된 음악은 행복의 정서를, 단조로 구성된 음악은 슬픔의 정서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I 아동이 정서를 지각하는 데 있어 조성 단서보다는 템포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H 아동과 구분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세밀한 주파수 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 CI 기기가 가지는 제한점으로 인해 CI 아동이 음악 지각 및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은 선행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고된 반면, CI 아동이 어떠한 기제로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을 시도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CI 아동이 음악에서의 정서를 지각하는 과정을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I) perceive emotion in music depending on mode and tempo cues, and to compare them to NH children. Before the experiment, a pre-validation procedure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NH children's emotion perception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NH adults, and t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motion perception level of CI and NH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3 CI children, 36 NH children, and 20 NH adults between the ages of 7 and 13 years old who were implanted with either unilateral or bilateral cochlear implants. The musical stimuli used in this study were piano recordings consisting of a total of four measures, in either major or minor mode, with tempos of 130 bpm and 56 bpm. The music stimuli were validated by two music therapy experts with clinical and research experience in CI children, and then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final music stimuli, and the fin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mixed-model of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 comparison of the emotion perception levels of NH children and NH adults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perceived the music of as happiness, and the music of as sadness. Meanwhile, how they perceive different emotion from each music condition is different, in that CI children perceived all music conditions except as happiness, while NH children perceived the music in major as happiness and the music in minor as sadness. It supports that CI children tend to rely primarily on tempo cues to process and identify emotional information from music, which is contrary to NH childre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enhanced and specified the understanding of how CI children perceive music emotion and use specific musical elements in the process. These findings indicate baseline data on emotion perception in music in CI children, while presenting implication for how we can support them in improving their music and emotion percep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