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9 Download: 0

학교폭력 피해 학생 및 부모 대상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itle
학교폭력 피해 학생 및 부모 대상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Healing Program for School Violence Victims and Their Parents
Authors
조정실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국가, 사회, 민간 차원의 노력이 오랫동안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고 피해 학생을 지원 조력하는 행위에 그치고 있어 중요한 문제로 지적된다. 그 결과 학교폭력의 양상은 특정 청소년을 넘어 일반 청소년에게도 나타나고,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이 저연령화되고 있으며, 딥 페이크 기술이나 소위 ‘패드립’으로 부모나 가족을 조롱하는 등 학교폭력의 잔인성과 교묘함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학교 폭력피해의 결과는 재학 중인 학생 개인만이 아니라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다른 가족에게까지 부정적 심리를 경험하게 만들어 가족 해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학교폭력의 이해와 탐색 그리고 대응 전략은 단순히 한 개인의 대처 능력을 강화하거나 학생에 대한 관점에 국한되지 않고 가족 및 사회를 포함하는 확장적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사단법인 희망나눔 가족협의회는 학교폭력 대응 방안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관점에서 심리서비스와 가족관계 개선 및 또래 관계 향상을 목적으로 ‘학교폭력 피해 학생 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통합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이에 희망나눔 가족협의회가 제공하는 ‘학교폭력 피해 학생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혀서 보다 다양한 기관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치유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와 ‘피해 학생의 가족을 위한 자조 모임의 효과는 어떠한가?’가 그것이다. 이 연구 문제에 따라 피해 학생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에 실시한 멘토링 프로그램과 자조 모임에 참여한 피해 학생 및 피해 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토를 대상으로 단일 사례 사전-사후 검증을 하여 효과를 분석하였고, 피해 학생과 피해 부모의 치유 프로그램 참여의 경험 및 의미를 탐색하고자 질적 분석을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피해 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도를 적용하였고, 멘토의 경우 자기 효능감과 대학 생활 만족도를, 자조 모임에서는 회복 탄력성을 각각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WIN 21.0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집단의 측정 도구에 대한 사전 사후 반응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프로그램은 피해 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토로 참여한 대학생들의 자기 효능감과 대학 생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해 학생 부모 자조 모임의 효과를 살펴보면 참여한 부모의 회복 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함께 희망나눔 가족협의회의 프로그램이 나타내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해 학생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의 관점에서 통합적인 조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둘째, 피해 학생을 학교가 아닌 독립된 공간에서 별도의 교육 및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해 학생의 영향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피해 학생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자 관점의 상담을 통하여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넷째, 부모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가족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섯째, 학교폭력 피해자는 사회적 지지 체제를 경험하고 낙인 효과를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희망나눔 가족협의회의 ‘학교폭력 피해 학생 치유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피해 학생 개인의 심리적 치유와 회복을 돕는 것은 물론 피해 학생의 사회적 지지체계인 가족으로부터의 위로와 지지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함으로써 피해 학생뿐 아니라 피해 가족들도 심리적 안정을 느끼고 건강성을 회복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해 학생을 돕는 또래로 구성된 대학생 멘토들이 피해 학생과의 만남을 통해 그들 자신의 성장까지 도모한다는 점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건강한 사회를 이루는 데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Despite various efforts at the national, societal, and individual levels, school violence continues to persist. Most existing efforts has considered school violence as individual issues, thus leading to support only to victimized students. As a result, school violence has spreaded out to general youth. The nature of school violence has become more cruel and complicated, and happened among younger perpetrators and victims. Access to IT technology using deepfakes skills has made more serious abuse and online harassment of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consequences of school violence can extend beyond the individual student's school years and negatively impact their overall life, even leading to family breakdown. Considering these aspects, the understanding, exploration, and response strategies to school violence should not only focus on strengthening individual coping skills or be limited to a student perspective but should expand to includ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families and society. In this regard, Organization A has been making continuous integrated effor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chool violence response measures. They provide psychological services,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and enhance peer relationships for victimized students through the "School Violence Victim Heal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Victim Healing Program" of Corporate Hope-Sharing Family Association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institution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effect of a mentoring program on healing victimized students? What is the effect of self-help group meetings for victimized students' families? Finally what ar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for stud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victimized student healing program, the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on victimiz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and self-help group meetings in 2021 and 2022, as well as on the mentors of the mentoring program.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ignificance of participating in the healing program for victimiz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r victimized students,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for mentors, and resilience for self-help group meetings.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the t-test using SPSS/WIN21.0.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ntor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ictimized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ogram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initially focused on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s individuals but gradually discovered their own self-worth and began to enjoy a new life. This indicates that the mentoring process of the victimized student healing program acts as a social support system, positively influencing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mentees. Secondly, the self-help group meetings for victimized students' parent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their resilience.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felt comfortable sharing their stories without judgment in a non-critical environment, learned together through similar stories and solutions from others, recognized their existence beyond the problem, and gained the perception of being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that can contribute to society. This result suggests that participating in self-help group meetings for victimized student parents provides a social support system, promotes their resilience, and helps them realize that dealing with violence is not an embarrassing issue to be solved alone but a life task to be resolved collaboratively, allowing them to encounter a new sense of self. The implications of Organization A's program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rovides integrated collaborative services not only for individual victimized students but also for the families and society, which is unique approach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domestically. Second, by providing separat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in an independent palce only for the victims named "Organization A," the program effectively blocks the influence of perpetrators, ensuring psychological stability for victimized students. Third, the program offers one-stop services through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school violence victims. Fourth,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store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parent program. Fifth,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a social support system to the civtims. Sixth, it helps to eliminate the stigma effect. Furthermore, through the empirical valid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 A's "School Violence Victim Healing Program" effectively improv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victimized student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the program not only assists in the psychological healing and recovery of victimized students but it also helps their families by establishing an intrafamilial social support system. It also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program's participants, as college student mentors who assisted victimized students also experience personal growth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ere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healthy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