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2 Download: 0

교육적 맥락에서의 행위주체성(agency) 재해석

Title
교육적 맥락에서의 행위주체성(agency) 재해석
Other Titles
Reinterpretation of Agency in the Educational Context: Focusing on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and Thinking
Authors
심연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행위주체성, agency, 한나 아렌트, 행위, 사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Recently, as the OECD has emphasized agency as a goal of future education, there are efforts in Korea to reflect thi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xplore ways to foster students as mature agents. Discussions on this topic are also actively taking plac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agency that is appropriate in the educational context related to fostering ‘student agency,’ which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 future direction and task. To achieve this, the study is based on Hannah Arendt's perspective and see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fostering agency. Additional discussions are necessary to apply the concept of agency within an educational context. First,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onsiders both the individual autonomy of students as agents and their communal responsibility, where they recognize the impact of their actions on others and the overall situ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heoretical basis that elucid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and action,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oughtful actions rooted in reflec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and thinking can provide insight in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agency and examines it in detail in Chapter Ⅲ. According to Arendt, human beings are conditioned by plurality, that is, the fact that they are born among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live with others. Action does not take place in isolation but rather in the condition of plurality, which involves the aspect of the emergence of a human being among others and the impact and consequences that this emergence has on human relationships. Action is an activity in which the agent initiates something new and reveals who he or she is. It is a conscious self-expression that involves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deliberated choices. To act freely is to go beyond libertarian freedom of choice, to manifest the capacity to initiate something new and do the unexpected in the common world. In this process, the agent forms their personal identity and brings about changes in the world by co-expressing with others. As above, Arendt emphasizes that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al aspect are mutually related in action, and provides an alternative frame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iberal perspective and the unilateralism of totalitarianis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individuals can manifest the capacity to act in a meaningful direction, or in other words, exercise agency as a mature subject. According to Arendt, the guiding principle of action and attitude towards life is thinking. In this regard, Arendt problematizes the absence of thinking, that is, thoughtlessness, and in this state, humans lose their responsiveness to reality. Arendt emphasizes that individuals must reflect on their thoughts and actions and respond to changing realities to overcome thoughtlessness. This requires a responsible attitude towards one's own actions and life, while questioning and exploring their meaning. Arendt also highlights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towards the public realm, which forms the basis of human activities. As humans live and act in a common world, responsible action involves ensuring that the public realm operates properly. Therefore, Arendt provides a concrete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exercising agency by clarifying the relevance of thinking and action. Chapter IV examines the flaws in existing interpretations of agency and derives educational insights by reinterpreting agency through the lens of Arendt's discussion. Firstly, Arendt's discussion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gency as the emergence of a subject through actions performed in the public realm, where individuals interact with others, rather than conceptualizing it as the reproduction of innate inner attributes of isolated individuals. Second, according to Arendt, exercising agency means acting based on thinking and judgment, and both sides of action and thinking should be treated equally. The emphasis on agenc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mphasizing activity or experience over knowledge. Third, to cultivate agency, schools should be created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where plurality is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reating such an environment. Based on the previously discussed,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to cultivate students' agency as follows. First,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agency should help students achieve their full potential as individuals while also recognizing their place in the broader community. According to Arendt, acting as an agent does not mean just exercising choice, but experiencing freedom in the common world. Education that supports students to grow into such ag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such as education that provides freedom as a kind of neglect and education that provides the right to choose among various options. Secondly, as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the exercise of agency, the curriculum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individuals to act in the public realm by exploring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judging. Primarily, it is important to learn knowledge, expand one's understanding, and regain the power of thinking to explore the meaning of knowledge. Additionally, through judgment, one should adjust and act in a form suitabl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the public sphere. In this learning process,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education as agents of thinking and judging by reflecting on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curriculum. Therefore,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agenc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in opposition to knowledge education;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chievable through proper knowledge education. Third, teachers are the ones who connect the curriculum and life to foster agency. Teachers need to structure their classes carefully so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classes as agents who think and act. Teachers must have a proactive and attentive attitude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o each individual and be careful not to cause any sense of exclusion in the class. Teachers are important beings that can directly help students cultivate their agency. Therefor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emphasizing the student's behavioral subjectivity is only emphasizing the student's position and role and minimizing or excluding teacher intervention, rather, i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hat the teacher's initiative is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interprets agency based on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and thinking, derives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expands the horizon of discussion on what direc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foster agency. First,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thinking and action of the subject by raising awareness of the problem of lack of reflective thinking, that is, a problem of thoughtlessness,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cultivation of student agency.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research on agency should be approach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cluding a focus on otherness. Therefore, further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agency from diverse angles is necessary to ensure that sufficient attention is given to issues that require consideration. Secondly,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the concept of agency and develops a discussion on how to define it and the conditions for exercising i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detailed analysis of the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at fosters agency in each subject and to discuss ways to cultivate mature agents throughout school education. Thirdly, whil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agency, with a focus on fostering ‘student agency' , it is also essential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evance of ‘teacher’s agency’. This will promot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aid in design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practical plans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of fostering agency.;최근 OECD가 미래 교육의 목표로 행위주체성(agency)을 강조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를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등 학생들이 성숙한 행위 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의 방향과 과제로 최근 교육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행위주체성 개념과 관련하여 교육적 맥락에 부합하는 행위주체성의 의미를 명료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나 아렌트(H. Arendt)의 관점에 기반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이에 근거하여 행위주체성 행사 지원을 위한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동안 주로 사회학이나 철학에서 이론적으로 논의되었던 행위주체성 개념을 교육의 맥락에 적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보완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첫째, 행위주체성의 의미 규정 방식의 과제로서 학생들이 자율적인 주체로서 스스로 행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자율성 측면과 자신의 행위가 타인과 공동체의 제반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고 책임감 있는 주체로서 행위해야 한다는 공공성의 측면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행위주체성의 행사 방식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과제로서 외적으로 드러나는 행위의 측면을 중시하되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행위가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사려 깊은 행위(thoughtful action)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사고와 행위의 관련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행위주체성의 의미 이해와 관련된 이상의 두 가지 과제를 다루는 데에 아렌트의 행위 이론과 사유 개념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아렌트에 따르면 인간은 다수성(plurality), 즉 다수의 사람들 사이에서 태어나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사실에 의해 조건지어진 존재이다. 행위는 고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수성의 조건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행위 자체에는 한 인간의 정체성이 현시되는 측면과 이것이 인간관계망에 주는 영향과 결과 측면이 함께 내포되어 있다. 행위는 행위하는 주체가 주도하여(take initiative) 새로운 것을 시작하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정체를 드러내는 활동으로서 타자에 대한 고려와 심사숙고한 선택을 동반하는 의식적인 자기표현이다. 자유롭게 행위한다는 것은 자유주의적 선택의 자유를 넘어서는 것으로 공동 세계에서 새로운 것을 시작하고 예기치 못했던 것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발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체는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한편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동 표현을 하면서 세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아렌트는 이와 같이 행위에는 개인적 계기와 공동체적 계기가 상호 관련되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자유주의적 관점의 한계와 공동체를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관점의 한계, 즉 전체적 일방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틀을 제공해준다. 사고와 행위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문제는 행위 역량을 발현하는 것, 즉 성숙한 주체로서 행위주체성을 행사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아렌트에 의하면 행위의 실천 방향을 제시해주고 삶에 대한 태도를 취하는 원칙이 되는 것은 바로 사유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렌트가 문제 삼는 것은 사유의 부재, 즉 무사유성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인간은 분별력을 상실해 맹목적으로 행동하거나 관성적이고 무기력하게 행동하게 되어 현실에 대한 대응력을 잃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유와 판단을 통해 자신이 가진 생각과 자신이 행하고 있는 것의 의미를 검토하고 기존의 의미화 과정을 새롭게 함으로써 매 순간 변화하는 현실에 대응하는 행위를 해나가야 한다. 삶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의미를 탐구하면서 자신의 행위와 자기 삶에 대해 책임 있는 태도를 지녀야 하는 것이다. 아렌트는 인간은 다수성을 조건으로 하는 공동 세계 안에서 사유하고 행위하며 살아가고 있기에 세계에 대한 책임을 수행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본다.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면서 함께 행위할 수 있는 장을 구현하여 공동 세계가 유의미한 삶을 추구하기 위한 안정적인 토대가 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아렌트는 사유와 행위의 의미를 밝히고 관련성을 구체화함으로써 행위주체성을 행사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제공해준다. Ⅳ장에서는 행위주체성에 대한 기존 해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아렌트의 논의에 비추어 행위주체성을 재해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렌트의 논의는 행위주체성을 고립된 개인이 타고난 내면적 속성을 재현하는 것으로 개념화하기보다는 다수 속의 개인이 타인과 함께 하는 공적 영역에서 행위함을 통해서 주체로 출현함에 초점을 두고 이해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아렌트에 따르면 행위주체성을 행사한다는 것은 사유와 판단에 기초해 행위하는 것으로 행위와 사유 양 측면이 동등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맥락에서 행위주체성을 강조한다는 것을 교과 교육을 대체하여 지식보다는 활동이나 체험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아렌트에 따르면 학교는 학생과 교사가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의 공동 세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행위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공간, 주체됨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이들 시사점을 토대로 학생들의 행위주체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학교 교육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행위주체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학생들이 공동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고유한 존재로서 자기를 실현하는 행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 아렌트에 의하면 주체로서 행위한다는 것은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선택을 통해서 세계 내에서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현해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체로서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은 방임으로서의 자유를 제공하는 교육이나 선택권을 제공하는 교육과는 차별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행위주체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서 교과는 주체가 지식을 확장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 사유 활동과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공적 영역에서 행위할 수 있게 하는 기초가 된다. 일차적으로는 지식을 배움으로써 인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의미를 자유롭게 검토할 수 있는 사유의 힘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사유한 바를 공통 감각에 비추어보면서 판단하는 것을 통해 공적 영역에서 타인들과 소통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조정하고 개선하며 행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은 교과에서 배운 것을 되돌아보며 사유하고 판단하는 행위 주체로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깊이 있는 학습은 이렇듯 학생들이 행위함으로써 주체됨을 경험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행위주체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을 지식교육과 대립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올바른 지식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셋째, 행위주체성에 중점을 두는 교육에서 교사는 교과를 통해 삶과 연계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존재로서 학생들이 사고하고 행위하는 주체로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세심하게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개개인에게 필요한 지원이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주도면밀한 태도를 지녀야 하며 수업 소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강조한다는 것을 학생의 입지와 역할만을 강조하면서 교사의 개입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교사의 주도적인 태도가 요청된다는 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행위 이론과 사유 개념을 중심으로 행위주체성 개념을 재해석하고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해 행위주체성이 강조되는 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관한 논의의 지평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다음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생의 행위주체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주체의 사유와 행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에서는 타자성을 중심으로 행위주체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등 다각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후속적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숙의의 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행위주체성 개념의 의미를 교육적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각 교과교육에서 행위주체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수행해 학교 교육 전반을 통해 성숙한 행위 주체를 길러낼 수 있는 교육과정 구현 방안을 논의해가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행위주체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학생들이 이를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근에는 이와 더불어 ‘교사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둘 사이의 관련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는 수업에서의 상호 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여 학생의 행위주체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