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9 Download: 0

미디어 관련 학과 예비 유학생을 위한 문화 기반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Title
미디어 관련 학과 예비 유학생을 위한 문화 기반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e-Based Reading Textbooks for Future Foreign Students in Media-Related Departments
Authors
신승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학문 목적 한국어, 한국 문화, 교재 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관련 학과 예비 유학생을 위한 문화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세계 언어학습 시장에서 한국어의 인기는 지속적으로 많아지고 있으며,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인기는 한국으로의 유학으로 이어졌는데, 교육부에 따르면 학위 과정 유학생 수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유학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학생의 중도 탈락 수 또한 늘어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는 국내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습 변인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 내용을 적용한 것이다. 하지만 특정 전공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은 또다시 전공 지식과 관련한 어려움을 마주하게 되기 때문에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어 학습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인 한국 문화와도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미디어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및 교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개발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및 한국 문화의 내용을 다룬 교재 개발 연구를 두 축으로 하여 교재 개발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학문 목적 한국어,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읽기 교육, 교재 개발의 원리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살핀 뒤에는 두 가지의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첫 번째로는 미디어 관련학과의 교수요목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관련 학과 교수요목 분석을 통해 요구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의 미디어 관련학과 교수요목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80% 이상의 교과목에서 문화 항목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 가지의 문화 항목 중 정보문화와 성취문화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광고,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정치, 의사소통, 뉴스, 플랫폼, 대인관계로 총 10개의 세부 문화 항목을 추출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에서는『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1: 비판적 읽기와 학문적 쓰기』와『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1: 비판적 읽기와 학문적 쓰기』,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대학 한국어: 읽기 중급2,』『서울대 한국어+(Plus) 학문 목적 읽기』, 『대학 강의가 쉬워지는 전공 한국어 경영』, 『대학 강의가 쉬워지는 전공 한국어 인문』으로 일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통합형 교재와 기능별 교재,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재를 각 2권씩 총 6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교재 분석은 교수⋅학습 상황, 외적 구성, 내적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상황과 내적 구성 분석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문화 주제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지만 미디어 관련 학과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문화 항목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종류의 경우 정보전달과 이해, 비판적 분석과 평가에 대한 텍스트가 주를 이루었으며 내용 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특성상 세 가지의 이해 질문 중 사실적 이해 질문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 미디어 관련 학과 교수요목 분석 결과와 교재 분석 결과를 모두 접목하여 교재 개발의 실제 내용을 다루었다. 교재 개발의 실제에 대해서는 목표 및 교재 구성과 단원 구성의 실제로 나누어 구체적인 단계와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실제 단원 모형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재 사용에 대한 학습자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교재 내용에 대한 이해, 교재에 대한 만족도, 교재의 학업적 도움 여부, 기존 교재와 개발된 교재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교재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때, 학습자들은 수업 후 교재에 있는 어휘와 내용을 활용하여 답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기존 교재와 개발된 교재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개발된 교재가 학업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또한 기존 교재와 개발된 교재의 차이점과 관련해서는 어휘의 주제와 양, 텍스트의 내용, 유학 전 연습 과정으로서의 활동에 대한 차이를 중심으로 답변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 관련 초기 연구로 학습자 및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진행하지 못했으며, 예비 유학생을 위한 교재로 대학 기관의 언어교육원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와 한국 문화와의 접목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도 흥미를 가지고 교재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가 이어진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완성도 있는 교재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culture-based textbooks for future foreign students in media-related departments. As the popularity of Korean in the global language learning market continues to increase, so does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is popularity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has led to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degree courses has continued to increase since 2014. However,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crease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dropouts is also increasing, and in this regard, research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for a specific purpose appl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with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variables of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learners pursuing specific department face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fields of study. Through this, the need for research related to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can be found.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for media-related departments that have a direct connection with Korean culture. In this study, I conducte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on textbook development,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nd textbooks covering Korean culture. I also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orean culture, reading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and principles⋅procedures of textbook development.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I conducted two analyses. First, I analyz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media-related departments in selected universities. Second, I analy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needs analysis through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media-related departments. Specifically, I analyz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media-related departments of Kyunghee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nd confirmed that cultural components are included in more than 80% of the courses. Among the three cultural components, information on factual culture and achievement cultur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through analysis, I extracted a total of ten detailed cultural components: advertising, drama, entertainment, movies, music, politics, communication, news, platfor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I selected a total of six books, two integrated textbooks, two functional textbooks, and specific academic purpose textbooks. I divided the analysis into teaching⋅learning situations, external composition, and internal composition, and focused on the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nd internal composition. Although three cultural components were presente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no cultural component appeared frequently in media-related departments. In terms of the type of text, texts related to information transfer and understanding,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were predominant, and among the three comprehension questions, factual comprehension questions had the highest frequenc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based instruction(CBI)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Next, I covered the actual content of textbook development by synthesizing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alysis of educational curricula in media-related departments, and analysis of textbooks. I presented the specific steps and contents of the goals and textbook composition and chapter composition for the actual development of textbooks. I also attach an actual textbook chapter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s an appendix. Finall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regarding textbook usage, focusing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satisfaction with the textbook, academic usefulness of the textbook,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developed textbooks. During the interviews, learners were observed utilizing the vocabulary and content in the textbook to answer questions after using the textbook. Both the previous and developed textbooks received high satisfaction ratings, but learners responded that the developed textbook was more helpful academically.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developed textbooks, learners’ answers were mainly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topics and quantity, text content, and pre-study activities for studying abroad. However, this study did not conduct a needs analysis of learners and teachers of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and the developed textbook is unlikely to be used for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t universities for future foreign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attempts to integrate Korean culture and specific academic purpo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significant. Moreover, it can serve as a basic material for curricula and textbook development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n interest in Korean culture can also access the textbook easily. Future studies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ll facilitate a more systematic and complete textbook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