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8 Download: 0

20세기 전반기 한국 남성 운동복(運動服) 연구

Title
20세기 전반기 한국 남성 운동복(運動服)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Korean Men’s Sportswea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uthors
박민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Keywords
운동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이 논문은 서양 스포츠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던 20세기 전반기에 한국에서 착용되었던 남성용 운동복(運動服)을 고찰한 것이다. 개항 이후 한국에 도입된 스포츠 종목을 알아보고, 종목에 따른 운동복의 수용 시점과 시기별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운동복의 착장 방식과 형태, 소재, 생산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이것이 우리 의생활과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사료집(史料集)과 『동아일보(東亞日報)』, 『조선일보(朝鮮日報)』 등의 문헌 자료를 참고하였다. 근대 스포츠는 16세기 무렵 영국에서 귀족 계급의 자제에게 스포츠가 장려되면서 활성화되었으며, 18세기에 급속도로 진행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대중들에게 확산되었다. 19세기 후반 학교 간의 시합이 성행하게 되면서 각 스포츠 종목에 맞는 운동복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팀 경기를 위한 통일된 운동복인 유니폼(uniform)을 착용하였다. 이렇게 발전한 서양의 운동복은 개항 이후 스포츠와 함께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 우리나라에 스포츠가 도입된 것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으로, 서양과 일본에서 온 외교관과 선교사 등으로부터 도입되었다. 서구식 교육기관이 설립되고 학교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체육(體育)이 강조되었고, 과외 체육활동 및 운동회를 통해 점차 스포츠가 보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착용된 운동복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1900년도부터 1910년대까지는 정식 운동복과 한복이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일부 계층과 단체만이 서양과 일본으로부터 보급된 정식 운동복을 착용하고, 대부분 운동 경기에 한복을 착용했다. 한복을 운동복으로 착용할 때는 저고리와 배자(背子)와 같은 상의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대(條帶)를 둘러 고정하였으며, 하의에는 대님을 착용하여 활동성을 개선하였다. 종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운동복은 서양에서 바로 도입되거나, 우리나라보다 먼저 스포츠를 도입한 일본을 거쳐 도입되었다. 1920년대부터는 학교 또는 단체 간의 대항 경기가 활발하게 개최되면서 종목의 특성에 맞는 운동복이 발전하였으며, 선수들은 다양한 형태의 운동복을 착용하였다. 운동복의 주된 착용자는 근대식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이었으며, 학생들은 서양의 유행을 반영한 운동복을 착용했다. 당시에 서양의 운동복이 성행한 것은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의 발달과 선수들의 지속적인 해외 원정경기 등으로 운동복을 직·간접적으로 접할 기회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대규모 운동 경기가 빈번하게 개최되었던 도시의 학생들은 변화하는 서양의 운동복을 빠르게 도입했지만, 농촌의 학생들은 여전히 한복을 착용하는 등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복의 소재는 스코치(scotch), 서지(serge), 소모사(worsted), 홈스펀(homspun) 등이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인 서양 의복에 사용되었던 소재들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수입된 소재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1937년부터 광복 이전까지는 중일전쟁으로 인해 전시체제에 돌입하면서 소비통제가 이루어졌다. 이에 면화(棉花)와 양모(羊毛)의 수입과 소비가 억제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er)를 일정 비율 혼직(混織) 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순면(純綿)과 순모(純毛) 제품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며, 운동복의 소재와 생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운동복은 공장제 제품이 운동구점과 양품점 등을 통해 판매되거나, 가정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운동복이 상점 또는 행상인을 통해 보급되었다. 1920년대에는 운동복의 판매 광고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920년대 초반에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스포츠를 도입한 일본으로부터 운동복을 수입하였던 것으로 짐작되며, 점차 우리나라에서도 운동복을 제조하는 공장이 설립되어 운동복을 제조·판매하였다. 광고를 통해 고찰한 운동복의 가격은 당시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활수준에 비쌌으며, 운동복은 빈부의 격차를 드러내는 요소였다. 학교 내에서 운동복의 착용이 필수가 되면서 일부 가난한 학생들이 운동복을 훔치는 일이 발생하였고, 신문에는 이러한 실태를 비판하는 기사가 다수 게재되었다. 1920년대에는 편물, 수예, 재봉 강습회가 활발하게 개최되었으며, 당시 운동복 제작에 대한 강좌도 여러 차례 있었다. 이처럼 강습회에서 운동복 강좌가 여러 차례 개최되었던 것은 당시에 일반적인 서민들에게는 공장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부담되었기 때문에 가내에서 직접 제조하여 착용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운동복은 1900-1910년대에 도입되고,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중반에 걸쳐 스포츠 경기의 확산과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광복 이전까지 일제의 전쟁 준비를 위한 긴축정책으로 인해 운동복의 발전이 더디게 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 종목별로 운동복의 고유한 착장 방식과 형태 등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것에 광복 이후 잇따라 개발된 기능성 소재들이 더해지면서 현재와 같은 운동복을 착용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초기 운동복에 관한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서양의 운동복이 우리 복식으로 정착해 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를 통해 20세기 전반기의 운동복에 대한 정보가 영화 및 드라마 등 각종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고증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가 앞으로 복식학 뿐만 아니라 체육학 등 타 분야의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discussed men's sportswear worn in South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Western sports were introduced in earnest. This study would examine sports introduced i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nd process of the entry of sportswear into Korea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sportswear by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examin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form, material, and production of sportswear in Korea, and the impact of this on our lives and society. This study referred to historical collections of historic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The literature data such as modern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Modern sports were activated in England around the 16th century when sports were encouraged by aristocratic children. In the 18th century, sports spread to the public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competitions between schools became pop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sportswear suitable for each sports began to develop. Also, uniforms for team games appeared. Western sportswear developed in this way was introduced into Korea along with sports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Sports were introduced in Korea from diplomats and missionaries the West and Japa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Western-styl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sports were gradually spread through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and sports events. Looking at the sportswear worn in Korea by period, Western clothes and Hanbok were mixed from the 1900s to the 1910s. In addition, only some classes and organizations wore sportswear that was distributed from the West and Japan, and most of them wore Hanbok as sportswear. When wearing Hanbok as sportswear, Jo-dae was wrapped and fixed to prevent the top such as Jeogori and Bae-ja from moving, and activity was improved by wearing a Daenim underneath.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vent, sportswear was introduced directly from the West or through Japan, which introduced sports before Korea. Since the 1920s, as competition games between schools or groups were actively held, sportswear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developed, and athletes wore various types of sportswear. The main wearers of sportswear were students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and students wore sportswear that reflected Western trends. Western sportswear was prevalent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continued overseas away games of players, which increased the opportunity to directly or indirectly access sportswear. Students in cities where large-scale sports events were frequently held quickly introduced changing Western sportswear, but students in rural areas still wore Hanbok, showing regional differences depending on differences in sports opportunities. The materials of sportswear were scotch, serge, worsted, and homspu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materials used in general Western clothing. Also, most imported materials were used. From 1937 to before liberation, consumption control was implemented as the wartime system began due to the Sino-Japanese War. As a result, the import and consumption of cotton and wool were suppressed, and a certain percentage of staple fibers were mixed as a counter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As a result, pure cotton and pure wool products disappeared in Korea, and it also affected the material and production of sportswear. Sportswear were sold through athletic goods store, or were manufactured in the home and distributed through stores or peddlers. In the 1920s, advertisements for the sale of sportswear began to appear. In the early 1920s, it is presumed that sportswear was imported from Japan, which introduced sports before Korea, and sportswear was gradually manufactured and sold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ce of sportswear considered through advertisements was expensive to the standard of living of ordinary people at the time, and sportswear was a factor that reveale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s wearing sportswear became mandatory in schools, some poor students stole sportswear, and a number of articles criticizing this situation were published in the newspaper. In the 1920s, knitting, handicrafts, and sewing classes were actively held, and there were several lectures on the production of sportswear at that time. It i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several sportswear courses were held at the class was to manufacture and wear them directly at home because it was burdensome for ordinary people to purchase factory products at the time. As such, sportswear was introduced in the 1900s and 1910s, and developed rapidly from the 1920s to the mid-1930s with the spread of sports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each sport had its own style and form of sportswea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sportswear was worn as functional materials developed after liberation were added to 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process of Western sportswear settling into Korean clothing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early sportswear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nformation on sportswea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used as historical data for producing various contents such as movies and drama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not only in clothing studies but also in other fields such as physic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