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6 Download: 0

학교 무용 교사 채용공고 분석 및 무용 전공 대학생의 교사 자질에 대한 자기효능감 분석

Title
학교 무용 교사 채용공고 분석 및 무용 전공 대학생의 교사 자질에 대한 자기효능감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Self-Efficacy Regarding School Dance Teacher Recruitment Notice and Teacher Qualifications of Students Dance Majoring in Dance
Authors
김채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무용 교사의 채용 과정 분석과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 교사 자질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무용 교사가 갖춰야 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교사 자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두 가지로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 중·고등학교, 예술 중·고등학교에서 제시한 신규 무용 교사 채용공고문 223건을 분석하고 이에 더해 무용 전공 대학생 3, 4학년 161명을 조사 대상의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채용공고문은 서울시교육청(www.sen.go.kr)·경기도교육청(www.goe.kr)의 행정정보 구인란과 각 학교 홈페이지에서 수집하였으며 채용공고에 기재된 내용은 채용 분야, 교육 내용, 지원 자격, 채용 진행 과정의 네 가지 전형과 각 전형의 세부 사항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무용 교사 자질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 무용실기 전문지식 및 교수기능, 무용이론 전문지식 및 교수기능, 대인관계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문영(2016)의‘무용 교사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설문지를 연구자가 본 연구와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용 전공 대학생의 졸업 후 진로 선택과 희망 근무 학교 등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 5개를 포함하여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빈도분석 등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6개월 동안 제시된 223건의 학교 무용 교사 채용공고는 초등학교가 15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 중·고등학교, 예술 중·고등학교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채용공고의 네 가지 전형 분석 결과, 무용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자격요건, 정의적 요소, 성격 부분에는 공통된 자질들을 보였지만, 채용 학교가 비전공자 대상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전공자 대상의 무용 교육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요구하는 교사 자질과 자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을 앞둔 무용 전공 대학생 3, 4학년의 희망 진로는 무용수, 안무가 등의 공연 분야와 무용교육자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희망 근무 학교 유형으로는 예술 중·고등학교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용 교사 자질의 3가지 요인에 대한 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알아본 결과, 대인관계, 무용실기 전문지식 및 교수기능, 무용이론 전문지식 및 교수기능 순으로 높은 자기효능감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무용 교사는 취업 준비 시 자신이 근무하고자 하는 학교 유형에서 요구하는 채용 분야, 교육 내용, 지원 자격, 채용 진행 과정 등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취업 준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해 무용 전공 대학생의 희망 진로에 무용교육자의 비율이 높은 만큼, 무용 교사 자질의 세 요인별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도록 대학 무용 계열 학과의 교육과정 개선과 무용 교사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연구는 예비 무용 교사들의 취업 준비 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취업 자료를 제공하고 무용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를 시행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By researching the recruiting procedures for school dance teachers and the self-efficacy of dance teacher qualific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particular and realistic teacher qualities that school dance teachers should possess. There are two research approach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 looked at 223 notices for new dance teachers that were made by elementary schools, ordin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rt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The target population also included 161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who were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Recruitment announcements were gathered from each school's website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ections of the websites for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www.goe.kr)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ww.sen.go.kr), respectively. By grouping the four categories of the recruiting field, the educational content,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the recruitment procedure, and the specifics of each category, the contents of the recruitment notices were analyzed. Three elements made up the questionnaire: professional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teaching skill, professional knowledge of dance practi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self-efficacy for dance teacher qualifications." After correctly revising and complementing it with this study, the researchers applied Moon young's (2016) "development of dance teacher professionalism evaluation tool" questionnaire. Additionally, it included a total of 28 questions, including 5 that probed basic topics like career choice and preferred working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ccording to the study problem,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validate the data that had been gathered. The study's findings are thus summed up as follows. First, among the 223 school dance teacher recruitment notices presented for 1 year and 6 months, the elementary school had the most with 156, followed by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rts middle and high schools.  The four different recruitment notice types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similar traits in the fundamental requirements, defining features, and personality traits of dance teachers were revealed.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the qualifications of teachers that recruiting schools require vary according to whether the dance education offered by the institution is for majors or non-majors. Second, a large percentage of dance majors in their third and fourth years of college who are about to find employment expressed a desire to work in the performance field, including as dancers, choreographers, and dance educators. They also expressed a strong preference for art middle and high schools. Additionally, it was demonstrated through a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in regard to the three components of dance teacher qualification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ance practical expertise, and teaching skills showe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in that order.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s findings, prospective dance teachers should review the recruitment field, educational requirements,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hiring procedures of the sort of school they want to work in before preparing for employment. In addition, since a high propor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desire to become dance educators,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s in colleges and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dance teacher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each of the three factors of dance teacher qualifications.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the skills of dance teachers and will give prospective dance teachers realistic and detailed employment data as they prepare for employment. It is hoped that i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pplemented and follow-up research is conducted, it is expected to become a more meaningful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