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9 Download: 0

중등학생 핵심역량과 교육성취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잠재전이 분석

Title
중등학생 핵심역량과 교육성취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잠재전이 분석
Other Titles
Classifying Latent Profile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Core Competenc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교육 분야에서 역량의 개념이 확장되면서 청소년을 포함하는 전 생애 맥락에서 핵심역량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핵심역량의 개념이 도입되어 초·중등 학교 교육에서 핵심역량 함양 교육으로의 전환에 기틀을 마련하였다. 학계에서도 핵심역량 관련 연구들이 양적으로 확대되었는데, 그간의 연구들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청소년의 핵심역량이 강조되고 학교 교육을 통한 역량 발달이 국가적 과제인 현시점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이 학교 교육의 목표인 전인적 발달 측면에서 교육성취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핵심역량과 교육성취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에서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의 잠재전이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핵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대 핵심역량을 적용하여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으로 정의하였고, 교육성취는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 측면에서 학업성취도, 학교생활 행복감, 진로성숙도, 인성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 4차~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과 교육성취 각각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유형과 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이전 학년의 핵심역량 발달이 상급학년의 교육성취로 어떻게 전이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핵심역량과 중학교 3학년 교육성취,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 핵심역량과 고등학교 2학년 교육성취 간 잠재전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 부모, 학교 교육활동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핵심역량 저집단’, ‘핵심역량 중집단’, ‘핵심역량 고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 접근방법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변수의 표준화나 분산의 동질성과 같은 통계적 처치를 하지 않고 개인의 유사한 특성에 근거한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은 ‘핵심역량 저집단(31.0%)’, ‘핵심역량 중집단(49.3%)’, ‘핵심역량 고집단(19.7%)’으로 분류되었고, 고등학생은‘핵심역량 저집단(21.9%)’, ‘핵심역량 중집단(54.6%)’, ‘핵심역량 고집단(23.5%)’으로 구분되어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의 유형은 같았으나 각 잠재프로파일의 특성은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고등학생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부모 상호작용, 교우 관계, 협력적 학습태도, 교사 성취압력, 상호작용 수업 활용이 높을수록 상위 수준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은 ‘교육성취 부진집단’, ‘교육성취 보통집단’, ‘교육성취 우수집단’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중학교에서는 ‘교육성취 부진집단(16.9%)’, ‘교육성취 보통집단(57.8%)’, ‘교육성취 우수집단(25.3%)’으로, 고등학교는 ‘교육성취 부진집단(15.6%)’, ‘교육성취 보통집단(63.3%)’, ‘교육성취 우수집단(21.1%)’으로 분류되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과반수가 교육성취 보통집단에 집중되어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교육성취 부진집단의 비중이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교육포부 수준,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협력적 학습태도, 교사 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에서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의 잠재전이는 동일한 수준으로 전이되는 양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핵심역량 저집단에서 교육성취 부진집단으로, 핵심역량 중집단에서 교육성취 보통집단으로, 핵심역량 고집단에서 교육성취 우수집단으로 전이되는 비율이 중학생의 경우 전체 중 81.8%이고 고등학생의 경우 전체 중 90.8%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핵심역량과 동일한 수준의 교육성취에 머무르는 전이 패턴은 고등학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이지만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과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 간 서로 다른 수준으로의 전이 양상을 확인하였다.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보다 상위 수준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의 전이확률은 중학생 전체 중 13.0%, 고등학생 전체 중 4.5%였으며, 하위 수준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 전이될 확률은 중학생의 경우 전체 중 5.2%, 고등학생의 경우 전체 중 4.7%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과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 간 서로 다른 수준으로의 전이 패턴은 중학교의 경우 상위 수준으로의 이동이 더 많았고, 고등학교에서는 하위 수준으로의 전이 확률이 더 높았다. 넷째, 중등학생의 핵심역량에서 교육성취로의 잠재전이 과정에서 참조집단 대비 높은 수준의 교육성과 잠재프로파일로 이동할 가능성을 높이는 영향요인은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에게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핵심역량 저집단은 사회적 자아개념과 신체적 자아개념, 부모의 정서적 지원, 협력적 학습태도 요인이 잠재전이 과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핵심역량 중집단에서는 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 협력적 학습태도, 교사 관계가 높을수록 상위 수준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 전이될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핵심역량 고집단에서는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협력적 학습태도가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의 잠재전이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교육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핵심역량 간 상호 유기적인 특성을 반영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특히 창의적 사고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학생 개인 차원의 핵심역량은 유사한 발달 수준을 나타냄에 따라 균형적인 핵심역량 발달을 위한 국가 수준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수립 및 운영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 역량 제고를 위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발현시킬 수 있는 수업 활동 및 평가 방식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학생 개인, 부모, 학교 차원의 다양한 교육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핵심역량 상위 수준으로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정적 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교육성취 부진집단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 교육성취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적 지원 노력이 요구된다. 교육성취 부진집단은 인지적 성취와 정서적·사회적 발달에 걸쳐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여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에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지·정서적 발달 및 성장의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교육적 개입과 내실 있는 제도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학생들의 교육성취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학생 개인에 대한 정서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관심, 그리고 학교 차원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에서 동일한 수준의 교육성취 잠재프로파일로의 전이 패턴은 청소년기 핵심역량 발달이 학생에게 요구되는 실질적인 능력 개발을 도모하여 우수한 학교생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교육성취 달성으로 이어지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핵심역량 발달에서 교육성취 달성으로의 전이 관계가 실증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정책 확대와 학교 및 수업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핵심역량 발달을 통해 성공적인 교육성취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중학교 시기부터 효과적인 교육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은 조기에 지원되어야 하며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고려한 단계적, 체계적인 교육정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핵심역량 발달 수준과 비교하여 하위 교육성취 집단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에 대한 주의 깊은 관심과 맞춤형 교육 지원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핵심역량과 교육성취가 동일한 수준으로 전이되는 패턴과 달리 낮은 수준의 교육성취 달성으로 이어지는 잠재전이 집단에 대한 교육적 개입이 시급하다. 따라서 잠재프로파일 유형별로 전이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맞춤형 지원방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핵심역량 중집단 학생들에게는 상호 협력적인 학습태도 발달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생들 간 서로 협력하고 함께 배울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고 다양한 협력 학습활동을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핵심역량 고집단 학생들의 경우, 우수한 교육성취 달성으로 이동하기 위해 올바른 자기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지원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신건강과 학교에서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발달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As the concept of competency in the field of education expands,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y is emerging in the context of whole life, including adolescents. Following this international trend,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 addition,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to core competencies development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have also been quantitatively expanded in academia, bu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college students, and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 is relatively insufficient. At this point in time when core competencies of adolescence is emphasized and competencies development through school education is a national task, empirical research on core competencies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requi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ies has a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chievement as a holistic development, which is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latnet profile types of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nalyze the transition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to educational achievements. In this study, core competencies were defines as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skills and civic competency by applying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achievement wa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happiness in school life, career maturity, and personality in terms of students' holistic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13 data from the 4th to the 7th years were used. The latent profiles of each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classified and their characteristics confirmed. And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prediction of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were verified. Next,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vious grade are transferred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upper grade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1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2nd year of high school. The determinants of individual, parent, and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nfluence the process of latent transition were explore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orfile of core competenc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low core competency’, ‘middle core competency’, and ‘high core competency’. In this study,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 person-centered approach, was used to derive a latent group based on similar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out statistical treatment such as standardization of variables or homogeneity of variance.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low core competency(31.0%)’, ‘middle core competency(49.3%)’, and ‘high core competency(19.7%)’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low core competency(21.9%)’, ‘middle core competency(54.6%)’, and ‘high core competency(23.5%)’.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core competency latent profil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the same, bu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oportion of latent profiles differed by school level. The determinants tha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parent interaction, peer relationship,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teacher achievement pressure,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Second, the latent profil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classified into ‘weak educational achievement’, ‘average educational achievement’, ‘advanced educational achievement’. By the school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weak educational achievement(16.9%)’, ‘average educational achievement(57.8%)’, ‘advanced educational achievement(25.3%)’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weak educational achievement(15.6%)’, ‘average educational achievement(63.3%)’, ‘advanced educational achievement(21.1%)’.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characteristic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average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 and the proportion of the weak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 was found to be maintained at a similar level. The common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lassifi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latetnt profile were analyzed as a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teacher relationship. Third,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transition from the core competencies group to educational outcomes group was the transition to the same level. The rate of transition from core competencies to the same level of educational outcomes was 81.8%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90.8%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pattern of mobility, which stays at the same level, was higher in high school. In addition, the pattern of latent transition to different level between the latent profile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latent profile of educational achievement was confirmed. The transition probability to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latent profile was 13.0%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transition probability to a lower level was 5.2%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4.7% of high school students. The transfer pattern to different level between the core competency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more likely to move to the higher level in middle school and the lower level in high school. Fourth, in the process of latent transition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the determinant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oving to a latent profile with higher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are as follows. Focusing on the commonly meaningful determinan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the low core competency group,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tent transition process. In the middle core competencies group,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teacher relationship were factor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cess of latent transition to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n the high level core competency group, the higher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ransferring to the advanced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 The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that reflect the mutual organic characteristics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support is required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As the core competencies at the individual level of students show similar level of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national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for balanced core competenc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expanding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methods that can express students' initiative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support at the individual, parent, and school level of students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the gap in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Therefore, the diverse approach to strengthen determinants that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to higher level of core competencies is needed. Second, customized education for weak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are required.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for the weak educational achievement latent profile because the group shows a generally low level of development across cognitive achievement and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successfully carry out school life. Systematic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substantial institutional support expansion are needed to preven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and the accumulation of deficits in growth.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emotional support for individual students, parental interest at home, and school-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gether. Third, education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strengthened. The transition pattern in which core competency development leads to overall educational achievement shows that core competencies development in adolescence ultimately leads to educational achievement by enabling excellent school life by promoting practical competency development required by students. Therefore, active efforts are required in schools and classes to develop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in order to lead to successful educational achieve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must be made from the middle school period. Education policies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should be started early, and step-by-step and systematic educational policy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Fourth, careful attent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re required for students who move to lower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s compared to the development level of core competencies. Unlike the general pattern in which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transferred to the same level, educational intervention is urgently needed for latent transition groups that lead to lower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Therefore, effective customized support should be implemented,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transition process for each latent profile b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udents in the group of middle core competency need educational support to develop a mutually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In order to move from the high core competency group to advanced educational achievement, support for correct self-awareness must be activ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