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Title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uthors
김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Today, such social probl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depletion of resources, disturbances of the ecosystem and population problem need to be solved at the global dimension beyond the individual ones. In such circumstances, attention focuses on the sustainable society. Also, concern with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increase rapidly, and therefore, they need to be discussed in all the areas encompassing education,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our lif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future gener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such social function, the education for enhancement of the global citizenship is required, and in this context, 2015 Amendment High School Art Curriculum suggests the quality and culture as core competence for the cultural citizens based on the community spiri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art textbooks in reference to the competence and goals pursued by the art subject and thereupon, review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rt classroom in order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and direction for the next amendment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theori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viewed, while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to grasp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d in 2015 Amendment of Curriculum and examine its association i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by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2020), the researcher confirmed 6 subject areas such as global citizenship,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cultural diversity,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n, suggested some criteria of analysis of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as composition, units and contents. I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ratio of themes and ratio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in the analysis of the units, the ratio of units per theme, names of the units, learning goals, and distribution of the units per are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the cases. I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plates were analyzed to draw the results. The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and those of the interview with the art teachers were synthesized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the art textbooks and next amendment of art curriculu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istribute its sub-themes equally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The current art textbooks do not show any independent unit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us, the ratio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mes are much deviated among the textbooks. Since the themes are emphasized differently among textbooks, it might well be helpful to grasp the general tendency, but the learners may well be biased toward a certain theme. Moreover, also in the interviews with the art teachers, the weigh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much differentiated among the textbooks, They emphasized in common that additional materials were required, while such a differentiation should be corrected. Hence,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independent areas and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link the contents of learning in an organic way, and thereby,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high dimensional perspective through sufficient explanations and cases, being conscious of the relevancy among the contents of learning about the sub-them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so that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y be reflected equally. In the current art textbooks,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are dispersed, being shown with repetitive and limited key words. In particular, the art teachers opined in the interview that such units as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ility are not sufficient, being partly featured in the art textbook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area-wise distribution of the units, the deviations are conspicuous, disturbing students'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recompose the uni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rewrite the names of the units for sub-themes and learning goals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our life and society on the textbooks for a well-balanced learning among uni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art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programs and pedagogics to enhanc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while reflecting the inter-work relevancy and flows by intensive composition of the theme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contents of the art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features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rt expression ones, and therefore, art teachers should reform their discussions, projects and the programs related to the real life to help the learners expand their views. Moreover, teachers are obliged to provide for the information useful to grasp the relevancy and flows among works with the visual data, diversified plates and theme-intensive composition. According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ultivate their individual values and sense of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related to their ordinary life, debate and project. In this course, the plate should be reform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s relevancy and information contextually. Fourthly, as the 2022 Amendm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citizenship, some systematic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for the next curriculum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pedogogics reflecting educators' positions as well as som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Hence, through continued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learning contents relevant to the ordinary life,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peaceful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through art, and thereby, help students to grow into the global citizens armed with the critical think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art education of helping the students to sympathize with other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solve the global problems in peaceful way as well as the reform of the nex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help students cultivate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addition,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오늘날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나타난 기후, 환경, 질병, 자원, 생태계, 인구 등의 사회 문제는 개인을 넘어 전 지구적 차원에서 해결해 나가야 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시민성,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며 교육, 경제, 사회, 환경의 전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흐름에 맞추어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삶과 연계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사회적 기능은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능을 위해 학교 교육에서 세계시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문화시민의 자질과 소양을 핵심 역량으로서 제시하여 세계시민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추구하는 역량과 목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살펴보아 개선방안, 차기 교육과정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된 세계시민교육을 파악하고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측정지표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 인권, 성평등, 문화다양성, 평화, 지속가능발전의 6가지 주제 영역을 확인하고 10종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구성, 단원, 내용으로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구성 분석에서는 주제별 구성 비율, 세계시민교육 구성 비율로 통계를 분석하였고 단원 분석에서는 주제별 단원 비율, 단원명, 학습목표 분석, 영역별 단원 분포로 통계와 함께 사례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에서는 학습활동, 도판 분석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결과와 현직 미술교사 인터뷰를 종합하여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미술 교과서,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세계시민교육 영역을 구성하고 하위 주제별 균등한 분배가 필요하다. 현재 미술 교과서에는 세계시민교육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지 않아 세계시민교육 주제 구성의 반영 비율은 편차가 있었으며 이는 교과서마다 강조하는 주제가 달라 그 경향성 파악에 도움이 되지만 현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은 한 주제에 편중되어 학습할 수 있어 우려되었다. 이에 현직 미술교사의 인터뷰에서도 세계시민교육 학습에 교과서별 비중의 편차가 있어 추가적인 자료를 요구하며 보완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독립 영역과 하위 주제를 적정화하고 학습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위 주제의 학습내용들 간의 연관성에 유의하며 충분한 설명과 사례를 통해 고차원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의 하위 주제를 균등하게 반영한 단원명과 학습목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단원명과 학습목표는 분산되어 있으며 반복적이고 한정적인 키워드를 바탕으로 나타나있다. 특히 미술교사들의 인터뷰에서 인권과 성평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제의 단원이 부족하고 일부만 포함하여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영역별 단원 분포에서도 반영된 편차가 크고 풍부한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었다. 이에 세계시민교육 주제의 단원을 새롭게 구성하여 각 하위 주제의 단원명과 학습목표에 우리의 삶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키워드로 개선하여 영역별 균형적인 학습을 이루도록 한다. 셋째, 교과서 내의 학습활동과 도판에서는 구체적으로 세계시민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술 교수학습 자료, 프로그램, 수업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주제 집약적인 구성으로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반영해야 한다. 미술 교과서의 내용, 학습활동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은 반복되는 학습활동과 미술 표현활동에 중점적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이에 현직 미술교사들은 토론, 프로젝트, 실생활 연계 프로그램 등과 같이 학습자들의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고 시각자료, 도판의 다양화, 주제 집약적인 구성,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정보를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학습활동에서는 내외적으로 실생활과 연계된 활동, 토론, 프로젝트 등으로 세계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의식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하고 도판은 학습 내용의 균등한 비중을 유지하여 그 연관성과 정보로 맥락적인 이해를 돕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을 위한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제안이 필요하다. 인터뷰에서 나타난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현황, 차기 교육과정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세계시민으로서 학습자들이 성장하고 현시대에 요구되는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자의 입장을 반영한 교수학습 자료, 학습 방법들에 연구와 개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실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학습내용,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 미술을 통한 평화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이끌어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이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공감, 공동체적 의식 기반으로 세계의 문제를 평화롭게 해결하는 것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로써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고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