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9 Download: 0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Title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for Adolescent : Focusing on 1990 to 2021
Authors
이시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청소년 문제에 관련해서는 청소년의 시기적 특성과 그들이 보편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라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청소년기는 일반적으로 10대를 지칭하며 중․고등학교 시기를 일컫는데, 이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인간의 생애 어느 주기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내, 외적 변화로 인한 정신적 불안정과 불균형이 두드러지기 쉽다. 또한 정서의 불안 상태와 미확립된 자아 정체감으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민감해지기 가장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의 이러한 정서 특징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학교 환경은 학생들의 정서를 보살피는 기능을 거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물질만능주의와 경쟁의식이 팽배한 사회는 학교 문화 역시 긴장감으로 점철시켰다. 교과교육은 지식을 전달하여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였고, 친구들과는 끊임없이 경쟁하는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더해 2019년 발생한 COVID-19로 인하여 청소년은 학교라는 사회를 잃게 되었고, 물리적 고립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 실태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다. 학생들의 정서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교육부는 위(Wee)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는데, 이는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학교에는 위(Wee) 클래스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문상담교사 배치를 실시하여 2020년에는 7,631개의 Wee클래스가 구축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발생한 문제에 대한 치료적 조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기에 청소년 문제의 본질적인 해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안 속에서 청소년의 정서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미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다는 연구자의 신념 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미술과 정서와의 깊은 상관관계는 상당히 오랜 시간 언급되어 온 명제이며, 미술 활동을 통한 정서 표출과 타인과의 소통, 나아가 자기를 표현하고 정서의 회복에까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그간의 연구를 통해 꾸준히 논의되어 온 바 있다. 특히 정서의 회복에 관해서는 미술의 역할 중 하나로 취급되어 미술치료 분야로 발전하여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술과 정서 간의 깊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미술이 정서와 정확히 어떤 지점에서 연결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그리고 미술교육이 정서교육으로 어떻게 작용하여 학생들의 정서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규명하고 있는 연구물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에서 본 연구자는 미술교육과 정서교육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객관적인 기초연구를 제시할 필요를 느꼈으며,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을 진행하는 것을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이 연구되고 있는 현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서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미술교육과 정서교육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절차에 따라 연구물 검색엔진인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정보(KISS)를 이용하여 1990년-2021년 사이에 발행된 논문 가운데‘미술교육’, ‘정서’, ‘정서지능’, ‘감성지능’ 키워드의 교차분석으로 분석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기준에 의하여 학술지 논문 5편, 석․박사 학위논문 29편으로 총 34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다. 넷째,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의 네 가지 분석기준에 의하여 수집한 논문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에 관하여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동향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논문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뒤를 고등학생, 문헌, 중학생과 고등학생 구분 없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통합이 이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문헌연구 및 고찰이 가장 높은 정도로 이용된 연구방법으로 파악되었고,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평이한 정도로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주제별 동향은 압도적인 비중으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주제로 하는 논문이 발행되었음을 파악하였고, 이론 고찰 및 분석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육에서의 청소년 정서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 연구물의 편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같은 검색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한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물에 비하면 연구의 수행이 상대적으로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대상 논문은 중학생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게 조사된 것으로 보아, 입시와 경쟁으로 인하여 정서 불안이 가속화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이러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의 문헌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추후 이론 연구가 부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겠다. 연구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내리는 결론에 관하여 서술하자면, 미술교육 분야에서는 정서와 미술의 긴밀한 상관관계에 관한 객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미술을 통하여 정서를 표출하고 회복할 수 있다는 당위명제가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학문적 토대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미술교육의 분야에서 미술과 정서의 깊은 연관에 대한 고찰과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여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 완화와 자기표현 등에 기여하여 정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미술은 다른 교과와 비교했을 때 미술만이 가지는 가치와 힘이 분명히 존재한다. 이러한 교과 특징을 충분히 발휘하여 청소년의 즐거운 학교생활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면 교육으로서의 미술의 가치는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으리라.;When it comes to youth issues, it is inevitable to consider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at they generally spend the most time in. Adolescence generally refers to teenagers and refers to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and these adolescents are a period in which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akes place faster than any other cycle of human life, and mental instability and imbalance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Pyo Gap-soo, 2006) can be easily. It is also the easiest time to become emotionally sensitive due to such emotional anxiety and unconfirmed self-identity (Park Ji-sun, 2014). Despite thes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today's school environment rarely performs the function of caring for students' emotions. In a society where materialism and a sense of competition prevailed, school culture also dotted with tension. Curriculum education has degenerated into a means of passing the test by conveying knowledge, and has been placed in a constant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addition, due to COVID-19 that occurred in 2019, adolescents lost their school society, and emotional anxiety due to physical isolation is intensifying through fact-finding and research. To solve students' emotional problems,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working on the ‘Wee project’, which aims to support students' healthy school life through links between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and local communities, and establishes and operates ‘Wee classes’ in schools. In addition, 7,631 ‘Wee classes’ were established in 2020 by deploying professional counselors, bu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youth problem because it mainly plays a role in providing therapeutic measures for the problems that have occurred. Amid such anxiety,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belief of the researcher that art education can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helping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s. The deep correlation between art and emotion has been mentioned for a long time, and the fact that it can help express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communicate with others, and express oneself and restore emotions has been steadily discussed through research (Park Bok-gyu, Seol Hyun-jin, 2005; Jung Yoo-sun, Noh Joo-young, 2013; Kim Kyung-soon, 2014). In particular, the restoration of emotions is treated as one of the roles of art, and research continues as it has developed into the field of art therapy. Despite this deep connection between art and emo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bjectively examining exactly where art is connected to emotion and how art education can act as emotional education and help students' emotions. Among these, this researcher felt the need to present an objective basic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rt education and emotional education, and for this purpose, it was set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youth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where youth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is being studied through research trend analysi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o provide emotional education to students more efficiently. As a procedure to achieve the objectives set in this study, first,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emotional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rocedure for selecting paper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papers to be analyzed were collected through cross-analysis of keywords "art edu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paper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21. Third, a total of 34 papers to be analyzed were finally selected with 5 academic journal papers and 29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electing papers to be analyzed. Fourth,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the paper collected according to four analysis criteria: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was identifi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youth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First, it is understood that the trend by research period is steadily increasing in research on youth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from the 1990s to the 2010s. Second, it was found that paper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trend by study subject, followed by secondary integration targeting adolescents regardless of high school students, literature,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trend of each research method was identified as the research method in which literature research and consideration were used to the highest exten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nd was carried out to a simple degree. Fourth, it was found that papers on the subject of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ere published with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trends by research topic,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accounted for a relatively low propor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youth emotional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number of studies was steadily increas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wa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conducted the search based on the same search criteria. In addition, since the propor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high, additional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whose emotional anxiety accelerates due to entrance exams and competition and literature as the basis for suc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is essential, but further theoretic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research to support this. To describe the conclusions mad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rend analysis, objective research o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emotions and art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 objective academic foundation is essential in order for the justifiable proposition that emotions can be expressed and restored through art to be efficiently used in the school field.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elping students solve emotional problems by contributing to the relaxa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self-expression of art and emotional development. Art clearly has the value and power of art alone compared to other subjects. If these curriculum characteristics can be fully exercised to contribute to the pleasant school life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the value of art as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further impro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