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8 Download: 0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자인 영역의 개선방안 연구

Title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자인 영역의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Design Areas based on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uthors
윤혜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 design parts in Art textbooks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conducting an interview with incumbent middle school art teachers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design education. For these purpose, the investigator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materials to examine the concepts of design and the changing process of design education home and abroad. The design classification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design classification system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8) and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2015). A set of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y the composition, unit, and content for the design parts in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 terms of composition, the study analyzed statistics about the percentage of reflecting a design and that of reflection by the design area. In terms of unit, the study analyzed cases of unit titles and learning objectives. In terms of content, the study analyzed cases of learning activities, occupations in the design field, and design works based on new technologies. A total of ten middle school art teachers were selected in a non-contact manner for an interview. By combining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and art teacher interviews, the study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the design parts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rt ➀ and Art ➁ did not reflect designs in constant percentages with deviations between them. There was also imbalance in the percentage of reflection by the design areas including visual and spatial design. Classes are managed differently among schools with art teachers using Art ➀ and Art ➁ in different ways. It is thus needed to set the percentage of reflecting a design similarly so that design education can be provid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use timing and method between Art ➀ and Art ➁. Some publishers left out fashion and textile design from their Art textbooks. Unlike them, visual design accounts for nearly half the content of design parts, which points to big differences among the design areas. Art textbooks should reflect the different design areas evenly and present design content broadly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various methods and approaches in design. Second, Art ➀ and Art ➁ did not offer a fixed composition for their design uni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extbooks focused on certain areas such as advertising when they did not distinguish design units separately, which can lead to learners studying only some of the design areas without comprehensive experiences with all of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design the content of learning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a process of organizing a unit and improving issues in life. Third, the Art textbooks were monotonous in the method of learning activities and did not present learning activities evenly among the design areas, which means that they were not easy to utilize on-site in school. When the analysis results were put together with the interviews with incumbent art teachers, it became clear that the methods of giving a lesson became increasingly diverse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Art textbooks were, however, focused mainly on the content of visual design and developed in a similar fashion, which means that it wa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Taking these school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Art textbooks need to add projects, appreciation, and criticism linked to real life to the list of their learning activity methods or propose the utilization of several media. The topics of learning activities should also be revised and developed to make connections with other subjects and deal with design areas other than visual design actively. Finally, the Art textbooks were not constant in the content and percentage in relation to new technologies and provided only a limited number of design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new technologies. Smart device-based lessons are linked to the cultivation of basic digital competency and real life, expanding in the field of school. It is thus required to connect learning activities to the concepts of new technologies organically and propose methods applicable to the field of school so that design education under the topics of new technologies can be vitalized. In short, the design part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s reflected the concepts of designs extended even to service and experience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ey especially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cultivation of basic digital competency as well a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 The unbalanced composition of different design areas, however, requires supplementation along with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new technologi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esign areas in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design classification criteria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design industry and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them with an interview with art teacher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parts of Art textbooks and contribute to active follow-up studies.;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과 현직 중학교 미술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여 디자인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미술교과서의 디자인 영역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디자인 개념과 국내외 디자인교육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에 디자인 분류를 통계청(2018)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2015)의 디자인 분류체계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 영역 분석기준을 구성, 단원,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구성분석에서는 디자인 반영 비율, 디자인 분야별 반영 비율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였고 단원분석에서는 단원명과 학습목표 사례를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에서는 학습활동, 디자인 분야 직업, 신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에 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중학교 미술교사 인터뷰는 참여자 10명을 선정해 비대면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교과서 분석결과와 미술교사 인터뷰를 종합하여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 영역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➀>과 <미술➁>에서의 디자인 반영 비율은 일정하지 않고 편차가 있으며 시각, 공간 등의 디자인 분야별 반영 비율도 불균형하였다. 현재 학교마다 학급 운영에 차이가 있어 미술교사들은 <미술➀>과 <미술➁>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➀>과 <미술➁>의 사용 시기 및 방법과 상관없이 디자인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디자인 반영 비율을 비슷하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일부 출판사에서 패션・텍스타일디자인을 제외한 것과 달리 시각디자인은 디자인 내용에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디자인 분야별 비중의 차이가 큰 편이다. 그러나 학습자가 디자인에 다양한 방법과 접근방식이 있음을 이해하고 체험하도록 하기 위해선 디자인 분야별 반영 비중을 균등하게 나누어 디자인 내용을 폭넓게 제시해야 한다. 둘째, 디자인 단원이 <미술➀>과 <미술➁>에서 고정적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서 디자인 단원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면 광고와 같은 특정 분야만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디자인 영역을 전반적으로 경험하지 못하고 일부만 학습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단원을 구성하여 생활 속 문제를 개선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활동 방식이 단조롭고 디자인 분야별로 고르게 편성되어 있지 않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았다. 분석결과와 현직 미술교사들의 인터뷰에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수업 진행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과서 내 학습활동은 시각디자인 내용에 치중되어 있고 비슷한 방식들로 전개되고 있어 학교에서 진행하기엔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학교 상황을 고려하여 학습활동 방식은 실생활과 연계된 프로젝트, 감상 및 비평 활동을 추가하거나 여러 매체를 활용하며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활동 주제도 타 교과와 연계하거나 시각디자인 외에 다른 디자인 분야를 적극적으로 다루며 수정 및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교과서별로 신기술 관련 내용과 비중이 일정하지 않으며 신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학습활동이 한정적으로 제시되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은 디지털 기초 소양 함양 및 실생활과 연계되어 학교 현장에서 확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신기술에 관한 개념과 학습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여 신기술을 주제로 한 디자인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 영역은 오늘날 서비스・경험 영역까지 확장된 디자인의 개념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제해결능력, 창의력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초 소양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불균등한 디자인 분야별 구성과 신기술을 활용한 학습활동 내용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산업 현황에 따라 재구성한 디자인 분류기준을 토대로 중학교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 영역을 파악하고 미술교사 인터뷰를 진행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미술교과서 내 디자인 영역의 기초자료로 제시되어 이에 관한 후속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