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5 Download: 0

드레이프 측정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Title
드레이프 측정에 관한 다차원적 분석
Other Titles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fabric drapability
Authors
신보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창상
Abstract
본 연구는 의류의 외관과 태를 규정하는 주요 인자인 드레이프성에 대해, 의류에서의 착용 조건을 적절히 반영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갖춘 효율적인 평가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직물의 드레이프 특성을 1차원, 2차원, 3차원으로 세분화하여 각 차원에 나타나는 직물의 드레이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710종 시료의 드레이프 계수를 구하여 드레이프 계수 순위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진행하였다. 1차원 강경도 측정은 실제 치마 길이를 고려하여 시료 크기를 선정하였으며, 상부에 왕복운동 기능을 갖춘 기기를 통해 180 rpm에서 옷걸이에 시료를 걸어 동작시킨 후 시료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2차원 드레이프성 측정은 ISO 9073-9에 따라 직경 18 cm 원판에 직경 30 cm인 시료의 드레이프 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는 형성된 드레이프 부분의 윤곽선을 따 면적을 구한 후 드레이프 계수 식을 활용하여 산출되었다. 3차원 드레이프성 측정은 그룹별로 드레이프된 형상을 3D 스캐너로 스캔하였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로 드레이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후 각 차원에서의 인자 중에서 드레이프성을 의미있게 나타낼 수 있는 인자를 찾고자, 이들을 변수로 둔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총 710종 시료의 그룹 분류 결과, 전체 드레이프 계수는 3.64 ~ 95.31 사이에 나타나며 평균은 35.15, 중앙값은 30.19를 나타내었다. 이중 D2 그룹의 값이 3.17로 가장 좁은 범위 내에서 조밀하게 71개의 시료가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후 각 그룹이 속한 범위가 점점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왕복운동을 이용한 1차원 강경도 측정은 각 시료의 특성에 따라 1차원적인 움직임이 다르게 나타나면서 노드의 형태나 노드의 위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시료의 무게가 움직임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드레이프 계수를 이용한 2차원 측정은 시료마다 드레이프 계수가 유사할지라도 드레이프된 형상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드레이프된 형상의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노드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그룹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형성은 D10이 가장 큰 값을, 노드의 수는 D1이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피크각도 표준편차는 D7이 가장 커 노드 사이 간격이 가장 불균일함을 보여주었으며, 전체 노드 평균비율은 D4~D7에 속하는 중간그룹이, 전체 노드 비율 표준편차는 D3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드레이프 노드는 드레이프 형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써, 드레이프 계수가 표현하지 못한 노드에 대한 정보를 노드의 개수, 피크각도의 표준편차, 전체 노드 비율의 평균값, 전체 노드비율의 표준편차가 설명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노드 정보를 드레이프 계수와 함께 적용한다면, 형상에 대한 설명과 함께 더욱 정확한 드레이프성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된다. 3D 스캐너를 활용한 3차원 측정은 드레이프된 정보를 색상으로 표현하여 직관적으로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3차원 드레이프 형상으로부터 평균 원뿔대까지의 최단거리의 평균인 거리평균과, 이들의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 후 표준편차에서 거리평균을 나눈 값인 변동계수를 통해 그룹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중간그룹에 해당하는 D5~D7이 비교적 큰 변동계수를 보이며, 이는 드레이프된 형태가 평균 원뿔대로부터 들쑥날쑥하게 고르지 못함을 의미한다. 반면 D1과 D10인 양 끝 그룹으로 갈수록 변동계수가 작아져 형태 변동성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시료의 1차원적 드레이프성 측정은 실제 의류 크기와 의류 착용 조건을 반영하였기에 실제 의류를 착용했을 때의 드레이프성 결과에 더욱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며, 2차원적인 드레이프성 분석은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드레이프성을 분석할 수 있어 용이성 측면에 의의가 있으며, 3차원적인 드레이프성은 정확성 측면에서 향상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전반적으로 드레이프 계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2차원에서 드레이프가 형성됨에 따라 시료가 접힌 부분인 노드의 비율 표준편차만이 드레이프 계수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드레이프 계수를 갖는 시료가 다른 드레이프 형상을 취할 수 있는 기존 평가법의 한계점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평가인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This study aimed to find an efficient evaluation method for fabric drapability by reflecting its wearing conditions in clothes. Fabric drapability was analyzed by subdividing it into 1D, 2D, and 3D. The drape coefficients of 710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drape coefficient ranking. For one-dimensional drapability, the sample size was determined by skirt length, and the movement was observed at 180 rpm. For two-dimensional measurement of drapability, the drape coefficient of a fabric having a diameter of 30 cm on an 18 cm diameter disk was measured according to ISO 9073-9, and drape shape factor values were also measured. The three-dimensional drapability was measured by scanning the draped shape with a 3D scanner. Afterward, to identify the factors, among all factors in each dimension, that can meaningfully represent drap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one-dimensional drapability using reciprocating motion, the fabric movem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node were different,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weight of the sample and the drape coeffici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movement.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draped shape, factors related to nodes were analyzed by group. As a result, D10 showed the highest value for circularity and D1 showed the highest value for the number of node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eak angle was highest at D7, indicating that the spacing between nodes was the most non-uniform. The average ratio of all nodes was found in the middle group belonging to D4~D7,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otal node ratio was the highest in D3. The drape node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drape shape, and the number of node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eak angle,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node ratio,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otal node ratio provide a clear explanation. Therefore, if such node information is applied in conjunction with the drape coefficient, it is thought that a more accurate evaluation of the drape will be achieved, alo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hape. 3D measurement using a scanner enables intuitive evaluation by expressing draped information in color. The averag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verage truncated cone to the 3D drape shape and their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fter that, a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for each group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hich i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average from the standard deviation. As a result, D5~D7, corresponding to the middle group, showed a relatively high coefficient of variation, which means that the draped shape is uneven from the average truncated cone.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decreases toward the end groups of D1 and D10, indicating that the shape appeared even.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correlation was high with the drape coefficient, and only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ode in two dimensions could not be considered to be correlated with the drape coefficient. Thes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in which samples with similar drape coefficients can take different drape shap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