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다감각 운동 처치 유무에 따른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다감각 운동 처치 유무에 따른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al-time Non-face-to-face Home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and Walking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ulti-sensory Exercise
Authors
김언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real-time home training on the physical fitness and walking of the elderly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ree sensory exercises in the visual, somatosensory, and vestibular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derly women aged 61 to 74 years, and the non-face-to-face real-time multi-sensory home training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eight subjects who performed the same exercise program except multi-sensory exercise in the multi-sensory exercise program.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presence of sensory exercis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physical strength and walking of the elderly. Physical strength was selected as upper limb strength, lower limb strength,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lower body flexibility. The walking variables were the maximum force, peak pressure, and contact area by foot part. SPSS ver. Mann-Whitney's U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lti-sensory exercise treatment using 22.0 statistical program. Wilcoxon's sign ranking 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the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was set to p<.05, an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except for grip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n-face-to-face real-time multi-sensory exercise. On the open and smooth ground of static balance, the one-footed stand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74%). The experimental group's peak pressure (left foot first toe (19%), second toe (19%), right foot middle foot (27%), third toe backbone (10%), fourth toe (51%)), maximum force (left foot second toe (117%), third toe (52%), right foot posterior (87%), middle foot (68%), first toe backbone (104%), fourth toe (88%)), contact area (left foot fourth toe backbone (7%), second toe (18%), right foot middle foot (7%), and the fourth toe (50%))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comparativ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eak pressure (left foot second toe (-25%)), maximum force (left foot posterior (-16%), second toe (-19%), third toe (-20%), right foot mid-foot (-16%)), contact area (left foot posterior (-3%), right foot mid-foot (-9%), and second toe backbone (-11%)) when walking. This means that the soles of the feet were not evenly used. As a result, real-time non-face-to-face home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but upper extremity streng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order to improve upper limb muscle strength,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exercise.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reated the multi-sensory exercises had a positive balance of eyes, evenly using the soles of the foot in the one-footed stand and the walk, and multi-sensory exercise was effective in dynamic and static balance due to the fusion of the visual system, vestibule system, and the natural water-acceptance sensory system. Therefore, multi-sensory home training is worth not only physical strength but also dynamic and static balance and walking ability, which is valuable as a fall prevention program as well as physical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effect of multi-sensory physical exercise by comparing the sensory system to the ability of the elderly rather than physical exercise to improve balance. Multisensory home training exercises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ustainable exercise programs as a way to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isolation as well as prevention of falls.;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계, 고유수용성 감각계, 전정계의 세 가지 감각 운동 처치 유무에 따른 비대면 실시간 홈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61세 이상 74세 미만의 여성 노인이며, 비대면 실시간 다감각 홈트레이닝을 60분씩 주 2회, 12주간 실행하는 실험집단 8명과 다감각 운동프로그램에서 다감각 운동을 제외한 동일 운동프로그램을 실행한 비교집단 9명으로 나누었다. 독립변인은 감각 운동의 유무이며 종속변인은 노인의 체력과 보행이다. 체력은 상지 근력, 하지 근력, 정적 균형, 동적 균형,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하체 유연성으로 선정하였다. 보행 변인은 보행시 발바닥 부위별 족저압력으로 발바닥 부위별 최대 힘, 최대압력, 접지면적이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감각 운동 처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정을 위해 Mann-Whitney의 U test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처치 효과에 대한 집단 내 처치 전과 후 차이 검증을 위해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비대면 실시간 다감각 운동 처치 유무에 따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체력은 악력을 제외하고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적 균형의 눈뜨고 무른 지면 위에서 외발서기는 실험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74%). 실험집단의 보행 시 최대압력(왼발의 첫 번째 발가락(19%), 두 번째 발가락 (19%), 오른발의 중족(27%), 세 번째 발 허리뼈(10%), 네 번째 발가락(51%)), 최대 힘(왼발의 두 번째 발가락(117%), 세 번째 발가락(52%), 오른발의 후족(87%), 중족(68%), 첫 번째 발 허리뼈(104%), 네 번째 발가락(88%)), 접지면적(왼발의 네 번째 발 허리뼈(7%), 두 번째 발가락(18%), 오른발의 중족(7%), 네 번째 발가락(50%))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비교집단은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교집단의 보행 시 최대압력(왼발의 두 번째 발가락 (-25%)), 최대 힘(왼발의 후족(-16%), 두 번째 발가락(-19%), 세 번째 발가락(-20%), 오른발의 중족(-16%)), 접지면적(왼발의 후족(-3%), 오른발의 중족(-9%), 두 번째 발 허리뼈(-1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발바닥을 골고루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실시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은 여성 노인의 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상지 근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상지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 강도와 횟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감각 운동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정적 균형의 눈뜨고 외발서기와 보행에서 발바닥을 골고루 사용하여 다감각 운동이 시각계와 전정계, 고유수용성 감각계의 융합 작용으로 동적, 정적 균형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감각 홈트레이닝은 체력뿐만 아니라 동적·정적 균형과 보행 능력을 향상시켜 여성 노인의 체력은 물론 낙상 예방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력 운동만 하는 것보다 감각계를 노인의 능력에 맟추어 병행하는 다감각 체력 운동의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 다감각 홈트레이닝 운동은 낙상사고 예방은 물론, 고립과 같은 노인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지속 가능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